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보기 : 목록별구성)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19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6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10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9일
2014년 11월 9일
2014년 11월 1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25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3일
2014년 9월 6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30일
2014년 8월 23일
2014년 8월 2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6일
2014년 7월 5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8일
2014년 6월 21일
2014년 6월 14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4일
2014년 5월 17일
2014년 5월 14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6일
2014년 4월 12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4일
2014년 3월 15일
2014년 3월 8일
2014년 3월 1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15일
2014년 2월 8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5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1일
2014년 1월 4일
2013년 12월
2013년 12월 28일
2013년 12월 22일
2013년 12월 14일
2013년 12월 8일
2013년 11월
2013년 11월 22일
하본기 15
2013년 11월 8일
2013년 11월 3일
2013년 10월
2013년 10월 27일
2013년 10월 18일
2013년 10월 12일
2013년 9월
2013년 9월 28일
2013년 9월 14일
2013년 9월 11일
2013년 1월
2013년 1월 7일
2013년 1월 1일
2012년 12월
2012년 12월 18일
2012년 12월 11일
2012년 12월 5일
2012년 11월
2012년 11월 28일
2012년 11월 24일
2012년 11월 21일
2012년 11월 18일
2012년 11월 16일
2012년 11월 13일
2012년 11월 12일
2012년 11월 10일
2012년 11월 7일
2012년 11월 4일
2012년 11월 2일
2012년 10월
2012년 10월 30일
2012년 10월 28일
2012년 10월 2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내서재
추천 : 0
【저작】
(2017.10.18. 18:37) 
◈ 하본기 15
목   차
[숨기기]
 

1. (원문)

道九川 : 弱水至於合黎, 餘波入于流沙。 道黑水, 至于三危, 入于南海。 道河積石, 至于龍門, 南至華陰, 東至砥柱, 又東至于盟津, 東過雒汭, 至于大邳, 北過降水, 至于大陸, 北播爲九河, 同爲逆河, 入于海。 嶓冢道瀁, 東流爲漢, 又東爲蒼浪之水, 過三澨, 入于大別, 南入于江, 東匯澤爲彭蠡, 東爲北江, 入于海。 汶山道江, 東別爲沱, 又東至于醴, 過九江, 至于東陵, 東迆北會于匯, 東爲中江, 入于海。 道沇水, 東爲濟, 入于河, 泆爲滎, 東出陶丘北, 又東至于荷, 又東北會于汶, 又東北入于海。 道淮自桐柏, 東會于泗、沂, 東入于海。 道渭自鳥鼠同穴, 東會于灃, 又東北至于涇, 東過漆、沮, 入于河。 道雒自熊耳, 東北會于澗、瀍, 又東會于伊, 東北入于河。
 
 

2. (음역)

도구천 : 약수지어합려, 여파입우류사。 도흑수, 지우삼위, 입우남해。 도하적석, 지우용문, 남지화음, 동지지주, 우동지우맹진, 동과낙예, 지우대비, 북과강수, 지우대륙, 북파위구하, 동위역하, 입우해。 파총도양, 동류위한, 우동위창랑지수, 과삼서, 입우대별, 남입우강, 동회택위팽려, 동위북강, 입우해。 문산도강, 동별위타, 우동지우례, 과구강, 지우동릉, 동이북회우회, 동위중강, 입우해。 도연수, 동위제, 입우하, 일위형, 동출도구북, 우동지우하, 우동북회우문, 우동북입우해。 도회자동백, 동회우사、기, 동입우해。 도위자조서동혈, 동회우풍, 우동북지우경, 동과칠、저, 입우하。 도낙자웅이, 동북회우간、전, 우동회우이, 동북입우하。
 
 

3. (주석)

1. 9천(九川) - 약수(弱水), 흑수(黑水), 하수(河水), 양수(瀁水), 강수(江水), 연수(沇水), 회수(淮水), 위수(渭水), 락수(洛水)를 9천(九川)이라고 한다. 또는 9주(九州)의 큰 강을 가리킨다.
 
2. 약수(弱水) - 2-013-주석4 참고.
 
3. 합려(合黎) - 하천의 명칭으로 강곡수(羌谷水),선수(鮮水),부표수(覆表水)로 일컫고, 현재는 부투하(副投河),장액하(張掖河)로 일컫는다. 또는 산의 명칭을 가리키고, 난문산(蘭門山),궁석산(窮石山)으로 일컫는다.
 
4. 유사(流沙) - 1-008-주석11 참고.
 
5. 흑수(黑水) - 2-012-주석2 참고.
 
6. 삼위(三危) - 1-018-주석19 참고.
 
7. 남해(南海) - 양주(揚州) 동쪽의 큰 바다를 가리킨다.
 
8. 적석(積石) - 2-013-주석26 참고.
 
9. 용문(龍門) - 2-013-주석27 참고.
 
10. 화음(華陰) - 화산(華山) 북쪽을 가리킴.
 
11. 지주(砥柱) - 2-014-주석10 참고.
 
12. 맹진(盟津) - 오늘날의 맹진현(孟津縣)을 가리키고, 하남성(河南省) 중서부에 있다.
 
13. 낙(雒) - 2-010-주석35 참고.
 
14. 예(汭) - 2-013-주석8 참고.
 
15. 대비(大邳) - 대비산(大邳山)을 가리키고,달리 여양동산(黎陽東山),청단산(青壇山)으로 일컬으며 여양(黎陽) 남쪽에 있다.
 
16. 강수(降水) - 발원지는 둔류현(屯留縣) 서남쪽이고 동북으로 흘러서 기주(冀州)에 이르렀다가 바다로 흘러간다.
 
17. 대륙(大陸) - 2-005-주석21 참고.
 
18. 파(播) - 헤칠, 흩뜨림.
 
19. 9하(九河) - 1-027-주석16 첨고.
 
20. 역하(逆河) - 황하가 바다로 유입되는 곳으로, 바닷물 조류의 영향을 받아서 생긴 명칭이다.
 
21. 파총(嶓冢) - 2-012-주석5 참고.
 
22. 양(瀁) - 양수(瀁水)를 가리키고, 발원지는 롱서(隴西) 저도현(氐道縣) 파총산(嶓冢山)이다.
 
23. 한(漢) - 2-010-주석6 참고.
 
24. 창랑(蒼浪) - 창랑수(蒼浪水)를 가리키고, 달리 하수(夏水)라고 일컬으며 무당현(武當縣)에 있다.
 
25. 삼서(三澨) - 삼서수(三澨水)를 가리키고, 달리 삼삼수(三參水)라고 일컬으며 경릉현(竟陵縣)에 있다.
 
26. 대별(大別) - 2-014-주석26 참고.
 
27. 강(江) - 장강을 가리킨다.
 
28. 회(匯) - 물이 돌아서 흘러 모이다.
 
29. 팽려(彭蠡) - 2-009-주석4 참고.
 
30. 북강(北江) - 팽려택(彭蠡澤)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강.
 
31. 문산(汶山) - 2-012-주석4 참고.
 
32. 별(別) - 나누일, 갈라질.
 
33. 타(沱) - 2-010-주석10 참고.
 
34. 예(醴) - 예수(醴水)를 가리키고, 달리 풍수(澧水)라고 일컬으며 호남성(湖南省) 서북쪽에 있다. 발원지는 상식현(桑植縣) 북쪽이고 동정호(洞庭湖)로 흘러들어간다.
 
35. 9강(九江) - 2-010-주석8 참고.
 
36. 동릉(東陵) - 지역 명칭이다.
 
37. 이(迆) - 비스듬히 갈, 여기서는 넘칠 일(溢)의 의미이다.
 
38. 회(匯) - 여기서는 팽려택(彭黎澤)을 가리킨다.
 
39. 중강(中江) - 사천성(四川省) 중부에 있다.
 
40. 연수(沇水) - 발원지는 원현(垣縣) 동쪽 왕옥산(王屋山)이다.
 
41. 제(濟) - 2-006-주석1 참고.
 
42. 일(泆) - 넘칠 일(溢).
 
43. 형(滎) - 형택(滎澤)을 가리키고, 황하 연안의 제수(濟水)가 넘쳐서 모여 이루어진 저수지이다.
 
44. 도구(陶丘) - 고대의 지명으로 달리 부구(釜丘)라고 일컬으며, 산동성(山東省) 정도현(定陶縣西) 남쪽이다.
 
45. 하(荷) - 2-011-주석12 참고.
 
46. 문(汶) - 2-007-주석21 참고.
 
47. 회(淮) - 2-008-주석3 참고.
 
48. 동백(桐柏) - 2-014-주석22 참고.
 
49. 사(泗) - 2-008-주석21 참고.
 
50. 기(沂) - 2-008-주석5 참고.
 
51. 위(渭) - 2-012-주석24 참고.
 
52. 조서(鳥鼠) - 2-013-주석17 참고.
 
53. 동혈(同穴) - 새와 쥐는 암수가 같은 동굴에서 살기 때문에 조서동혈(鳥鼠同穴)이라고 한다. 조서산(鳥鼠山) 또는 조서동혈산은 위수(渭水)의 발원지이다.
 
54. 풍(灃) - 2-013-주석11 참고.
 
55. 경(涇) - 2-013-주석5 참고.
 
56. 칠(漆) - 2-013-주석9 참고.
 
57. 저(沮) - 2-006-주석9 참고.
 
58. 웅이(熊耳) - 2-014-주석20 참고.
 
59. 간(澗) - 2-011-주석8 참고.
 
60. 전(瀍) - 2-011-주석7 참고.
 
61. 이(伊) - 2-011-주석5 참고.
 
 

4. (국역)

9개 하천을 다스렸다. 약수에서 합려수까지 이르렀고, 나머지 물 흐름은 유사로 흘러 들어가게 하였다. 흑수를 다스리고 삼위까지 이르렀으며, 남해로 흘러 들어가게 하였다. 황하를 다스리고, 적석산에서부터 용문산까지 이르렀으며, 남쪽으로는 화산 북쪽까지 이르렀고, 동쪽으로는 지주산까지 이르렀으며, 또 동쪽으로는 맹진에 이르렀고, 다시 동쪽으로는 낙수의 북쪽을 지나고, 대비산에 이르렀으며, 북쪽으로는 강수를 지나서 대륙택까지 이르렀으며, 북쪽으로 흩뜨려져서 9개의 하천이 되고, 다시 하나로 합류하게 하여 역하가 되었으며,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 파총산에서 양수를 다스리고, 동쪽으로 흘러서 한수가 되었으며, 다시 동쪽으로 창랑수가 되고, 삼서수를 지나서 대별산으로 흘러 들어갔으며, 남쪽의 장강으로 흘러 들어갔고, 동쪽으로 물이 돌아나가서 팽려택이 되었으며, 또 동쪽으로 북강이 되고,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 문산에서 장강을 다스리고, 동쪽으로 갈라져서 타수가 되고, 또 동쪽으로 예수에 이르고, 9강을 지나서 동릉에 이르렀으며, 동쪽으로 넘쳐흘러서 북쪽의 팽려택에 모였고, 또 동쪽으로 중강이 되어서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 연수를 다스리고 동쪽으로 제수가 되었으며, 황하로 유입되었고, 강물이 넘쳐서 형택이 되었고, 동쪽으로 도구 북쪽으로 흘러 들어갔으며, 또 동쪽으로 하택에 이르렀고, 다시 동북쪽의 문수와 합해졌고, 다시 동북으로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 동백산에서부터 황하를 다스렸고, 동쪽의 사수와 기수를 만나고, 동쪽으로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 조서산(조서동혈산)에서부터 위수를 다스리고, 동쪽의 풍수와 만나고, 또 동북으로 경수에 이르렀으며, 동쪽으로 칠수와 저수를 지나서 황하로 흘러 들어갔다. 웅이산에서부터 낙수를 다스리고, 동북의 간수와 전수와 만나고, 또 동쪽의 이수와 만나서 동북쪽으로 황하로 흘러 들어갔다.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하본기 16
• 하본기 15
• 하본기 1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