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보기 : 목록별구성)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19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6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10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9일
2014년 11월 9일
2014년 11월 1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25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3일
2014년 9월 6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30일
2014년 8월 23일
2014년 8월 2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6일
2014년 7월 5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8일
2014년 6월 21일
은본기 30
2014년 6월 14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4일
2014년 5월 17일
2014년 5월 14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6일
2014년 4월 12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4일
2014년 3월 15일
2014년 3월 8일
2014년 3월 1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15일
2014년 2월 8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5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1일
2014년 1월 4일
2013년 12월
2013년 12월 28일
2013년 12월 22일
2013년 12월 14일
2013년 12월 8일
2013년 11월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8일
2013년 11월 3일
2013년 10월
2013년 10월 27일
2013년 10월 18일
2013년 10월 12일
2013년 9월
2013년 9월 28일
2013년 9월 14일
2013년 9월 11일
2013년 1월
2013년 1월 7일
2013년 1월 1일
2012년 12월
2012년 12월 18일
2012년 12월 11일
2012년 12월 5일
2012년 11월
2012년 11월 28일
2012년 11월 24일
2012년 11월 21일
2012년 11월 18일
2012년 11월 16일
2012년 11월 13일
2012년 11월 12일
2012년 11월 10일
2012년 11월 7일
2012년 11월 4일
2012년 11월 2일
2012년 10월
2012년 10월 30일
2012년 10월 28일
2012년 10월 2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내서재
추천 : 0
【저작】
(2017.10.18. 20:43) 
◈ 은본기 30
목   차
[숨기기]
 

1. (원문)

帝紂資辨捷疾, 聞見甚敏 ; 材力過人, 手格猛獸 ; 知足以距諫, 言足以飾非 ; 矜人臣以能, 高天下以聲, 以爲皆出己之下。 好酒淫樂, 嬖於婦人。 愛妲己, 妲己之言是從。 於是使師涓作新淫聲, 北里之舞, 靡靡之樂。 厚賦稅以實鹿臺之錢, 而盈鉅橋之粟。 益收狗馬奇物, 充仞宮室。 益廣沙丘苑臺, 多取野獸蜚鳥置其中。 慢於鬼神。 大冣樂戱於沙丘, 以酒爲池, 縣肉爲林, 使男女倮相逐其閒, 爲長夜之飮。
 
 

2. (음역)

제주자변첩질, 문견심민 ; 재력과인, 수격맹수 ; 지족이거간, 언족이식비 ; 긍인신이능, 고천하이성, 이위개출기지하。 호주음악, 폐어부인。 애달기, 달기지언시종。 어시사사연작신음성, 북리지무, 미미지악。 후부세이실녹대지전, 이영거교지속。 익수구마기물, 충인궁실。 익광사구원대, 다취야수비조치기중。 만어귀신。 대취악희어사구, 이주위지, 현육위임, 사남녀나상축기간, 위장야지음。
 
 

3. (주석)

1. 자(資) - 천부적.
 
2. 변(辨) - 말 잘할 변(辯) 과 동일.
 
3. 첩질(捷疾) - 민첩, 신속.
 
4. 격(格) - 때려죽이다.
 
5. 거(距) - 거부하다 거(拒)와 동일.
 
6. 식비(飾非) - 자신의 나쁜 점을 감쌈.
 
7. 긍(矜) - 뻐기다, 으스대다.
 
8. 출기지하(出己之下) - 자신과 비교할 수 없다.
 
9. 음(淫) - 탐할, 심할, 미혹할.
 
10. 폐(嬖) - 총애하다.
 
11. 달기(妲己) - 유소씨(有蘇氏)의 미녀이고 노래와 춤에 뛰어났다. 하나라의 말희(妺喜), 상나라의 달기(妲己), 주나라의 포사(褒姒), 춘추시대의 여희(驪姬)를 4대 경국지색(傾國之色)으로 일컫는다.
 
12. 사연(師涓) - 이름은 연(延)이고 사는 악사(樂師)의 의미이며, 달리 사연(師延)이라 일컫는 음악가이다. 춘추시기 위(衛)나라의 유명한 음악가이고, 민간 음악의 수집과 거문고 연주 및 대량의 신곡을 작성하였다.
 
13. 음성(淫聲)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고대에는 아악(雅樂)을 정성(正聲)이라하고 속악(俗樂)을 음성이라고 하였다. 둘째, 음란하고 사악한 음악을 가리키기도 한다.
 
14. 북리지무(北里之舞) - 일종의 궁중 무도이고, 춤추는 사람은 나체로 온 몸에 술을 뿌리며 자유분방한 형식으로 춤추는 방식을 가리킨다.
 
15. 미미지악(靡靡之樂) - 부드럽고 약하며 의기소침한 모양의 음악을 가리킨다.
 
16. 부세(賦稅) - 전부(田賦)와 기타 세수(稅收)의 총칭이다. 점차 인구수에 따라서 군역 및 군수품을 징수하는 것을 부라고 하고, 토지 및 공상 경영에 따라서 재물을 징수하는 것을 세라고 일컬었다.
 
17. 녹대(鹿臺) - 상나라 조가(朝歌) 성안의 높은 돈대이고, 크기는 3리(里)이며 높이는 1천 척(尺)이다. 위주현(衛州縣) 서남쪽에 있다.
 
18. 거교(鉅橋) - 창고 이름이다. 달리 거록수(鉅鹿水)의 커다란 다리를 가리킨다.
 
19. 인(仞) - 가득 찰 인(牣)과 동일.
 
20. 사구(沙丘) - 고대의 지명으로 현재의 하북성(河北省) 광종현(廣宗縣)이다.
 
21. 원(苑) -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실 정원으로, 하북성 광종현에 유적이 남아있다.
 
22. 대(臺) - 누대.
 
23. 비조(蜚鳥) - 날 비(飛)와 동일, 나는 새.
 
24. 만(慢) - 오만불손.
 
25. 취(冣) - 모일 취(聚)와 동일.
 
26. 현(縣) - 매달다 현(懸)과 동일.
 
27. 나(倮) - 알몸, 벌거숭이 나(裸)와 동일.
 
28. 장야(長夜) - 밤새도록.
 
 

4. (국역)

주왕은 천부적으로 말을 잘하고, 행동이 민첩하며, 듣고 본 지식이 뛰어났고, 힘이 보통사람보다 강하여 맨손으로 맹수를 때려 죽였으며, 지혜는 신하의 충고하는 말을 거절하기에 충분하고, 말재주는 자신의 나쁜 점을 감싸기에 충분하였으며, 자신의 재능으로써 신하들에게 으스대고, 자신의 명성으로써 천하에 드높였으며, 다른 사람은 모두 자신의 아래에 있어서 비교할 수 없다고 여겼다. 그는 술 마시기를 좋아하고 음악에 미혹되었으며 여성을 매우 좋아하였다. 달기를 총애하여 달기의 말은 모두 따랐다. 그래서 연이라는 악사에게 새로운 속악(또는 음란하고 사악한 곡)을 작곡하게 하고, 나체로 춤추며 온 몸에 술을 뿌리며 자유분방한 형식으로 춤추는 북리라는 춤을 추게 하였으며, 부드럽고 약하며 의기소침한 형식의 음악을 연주하였다. 세금을 증가시켜서 성안의 높은 돈대인 록대에 돈을 가득 채우고, 그리고 거교라는 창고에 곡식을 가득 채웠다. 게다가 개와 말과 기이한 물건을 거둬들여서 궁실을 가득하게 채웠다. 또 사구에 있는 왕실 정원과 누대를 확장하고, 야생동물과 나는 새들을 대량으로 잡아서 그 안에 두고 길렀다. 귀신 섬기는 일에도 오만불손하였다. 사구에서 대규모로 모여서 각종 음악과 유희를 즐겼는데, 술로써 연못을 만들고 고기를 매달아서 숲처럼 만들었으며, 남자와 여자로 하여금 벌거벗게 하고 그 사이에서 서로 잡으러 쫓아다니게 하면서 밤새도록 술을 마셨다.
 
 

5. (참고)

주지육림(酒池肉林) - 고사성어이다. 원래는 상(商)나라의 주왕(紂王)이 달기(妲己)와 어울려 극도로 황음무도하고 사치한 생활을 가리켰고, 후대에 이르러는 술과 안주가 매우 많음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역대 왕조의 말기 군주는 대부분 흉폭하고 향락을 추구하였으며, 상나라의 주왕도 예외가 아니었다. 또한 상나라의 귀족과 백성들도 술 마시기를 좋아하였는데, 그 증거로 상나라의 청동기는 술그릇과 술잔이 매우 많이 출토되었다. 현대 과학으로 당시 상나라의 청동 술그릇과 술잔을 분석한 결과, 청동기에 주석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상나라 사람들이 술을 마시면 주석 성분이 용해되어 중독 현상을 일으키고 신체 상황이 심각하게 쇠약해지게 된다. 그래서 주(周)나라가 통치 하면서부터는 상나라 사람들의 거주지에 금주령을 내리고 엄격하게 실행한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은본기 31
• 은본기 30
• 은본기 29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