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보기 : 목록별구성)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19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6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10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9일
2014년 11월 9일
2014년 11월 1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25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3일
2014년 9월 6일
주본기 4
2014년 8월
2014년 8월 30일
2014년 8월 23일
2014년 8월 2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6일
2014년 7월 5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8일
2014년 6월 21일
2014년 6월 14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4일
2014년 5월 17일
2014년 5월 14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6일
2014년 4월 12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4일
2014년 3월 15일
2014년 3월 8일
2014년 3월 1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15일
2014년 2월 8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5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1일
2014년 1월 4일
2013년 12월
2013년 12월 28일
2013년 12월 22일
2013년 12월 14일
2013년 12월 8일
2013년 11월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8일
2013년 11월 3일
2013년 10월
2013년 10월 27일
2013년 10월 18일
2013년 10월 12일
2013년 9월
2013년 9월 28일
2013년 9월 14일
2013년 9월 11일
2013년 1월
2013년 1월 7일
2013년 1월 1일
2012년 12월
2012년 12월 18일
2012년 12월 11일
2012년 12월 5일
2012년 11월
2012년 11월 28일
2012년 11월 24일
2012년 11월 21일
2012년 11월 18일
2012년 11월 16일
2012년 11월 13일
2012년 11월 12일
2012년 11월 10일
2012년 11월 7일
2012년 11월 4일
2012년 11월 2일
2012년 10월
2012년 10월 30일
2012년 10월 28일
2012년 10월 2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내서재
추천 : 0
【저작】
(2017.10.19. 09:54) 
◈ 주본기 4
慶節卒, 子皇僕立。 皇僕卒, 子差弗立。 差弗卒, 子毁隃立。 毁隃卒, 子公非立。 / 경절이 사망하고 아들 황복이 즉위하였다. 황복이 사망하고 아들 차불이 즉위하였다. 차불이 사망하고 아들 훼유가 즉위하였다. 훼유가 사망하고 아들 공비가 즉위하였다.
목   차
[숨기기]
 

1. (원문)

慶節卒, 子皇僕立。 皇僕卒, 子差弗立。 差弗卒, 子毁隃立。 毁隃卒, 子公非立。 公非卒, 子高圉立。 高圉卒, 子亞圉立。 亞圉卒, 子公叔祖類立。 公叔祖類卒, 子古公亶父立。 古公亶父復脩后稷、公劉之業, 積德行義, 國人皆戴之。 薰育戎狄攻之, 欲得財物, 予之。 已復攻, 欲得地與民。 民皆怒, 欲戰。 古公曰 : “有民立君, 將以利之。 今戎狄所爲攻戰, 以吾地與民。 民之在我, 與其在彼, 何異。 民欲以我故戰, 殺人父子而君之, 予不忍爲。” 乃與私屬遂去豳, 度漆、沮, 踰梁山, 止於岐下。 豳人擧國扶老攜弱, 盡復歸古公於岐下。 及他旁國聞古公仁, 亦多歸之。 於是古公乃貶戎狄之俗, 而營築城郭室屋, 而邑別居之。 作五官有司。 民皆歌樂之, 頌其德。
 
 

2. (음역)

경절졸, 자황복입。 황복졸, 자차불입。 차불졸, 자훼유입。 훼유졸, 자공비입。 공비졸, 자고어입。 고어졸, 자아어입。 아어졸, 자공숙조류입。 공숙조류졸, 자고공단보입。 고공단보부수후직、공류지업, 적덕행의, 국인개대지。 훈육융적공지, 욕득재물, 여지。 이복공, 욕득지여민。 민개노, 욕전。 고공왈 : “유민입군, 장이이지。 금융적소위공전, 이오지여민。 민지재아, 여기재피, 하이。 민욕이아고전, 살인부자이군지, 여부인위。” 내여사속수거빈, 도칠、저, 유양산, 지어기하。 빈인거국부로휴약, 진복귀고공어기하。 급타방국문고공인, 역다귀지。 어시고공내폄융적지속, 이영축성곽실옥, 이읍별거지。 작오관유사。 민개가악지, 송기덕。
 
 

3. (주석)

 
1. 경절(慶節) - 4-003-주석24 참고.
 
2. 황복(皇僕) - 고대 주(周) 종족의 수령으로 경절의 아들이다.
 
3. 차불(差弗) - 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황복의 아들이다.
 
4. 훼유(毁隃) - 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차불의 아들이다.
 
5. 공비(公非) - 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훼유의 아들이다.
 
6. 고어(高圉) - 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공비의 아들이다.
 
7. 아어(亞圉) - 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고어의 아들이다.
 
8. 공숙조류(公叔祖類) - 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아어의 아들이다.
 
9. 고공단보(古公亶父) - 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공숙조류의 아들이다. 고는 옛날 석(昔)과 같고 공은 작위이며, 이름은 단보이다, 달리 주나라 태왕(太王)으로 일컫는다. 위로는 후직(后稷)과 공류(公劉)의 업적을 계승하고 아래로는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의 태평성세를 가져오게 한 정치가, 개혁가, 군사가이다.
 
10. 후직(后稷) - 1-026-주석8 참고.
 
11. 공류(公劉) - 4-003-주석8 참고.
 
12. 국인(國人) - 주나라 시기에 성읍(城邑) 및 그 주위에 거주하던 백성을 가리킨다. 주로 공상업에 종사하였다. 참고로 야인(野人)은 성읍 바깥에 거주하는자이고 농업에 종사하였다. 국인과 야인은 모두 자유민이고 노예가 아니다.
 
13. 대(戴) - 존중하여 받들다.
 
14. 훈육(薰育) - 1-005-주석7 참고.
 
15. 융적(戎狄) - 4-003-주석5 참고.
 
16. 이(已) - 오래지 않아서.
 
17. 유민(有民) - 백성, 민중.
 
18. 소위(所爲) - 소이(所以)와 동일하고, 원인, 목적의 의미이다.
 
19. 사속(私屬) - 집안의 식솔.
 
20. 빈(豳) - 4-003-주석26 참고.
 
21. 칠(漆) - 4-003-주석12 참고.
 
22. 저(沮) - 4-003-주석13 참고.
 
23. 양산(梁山) - 옹주(雍州) 호치현(好畤縣) 서북쪽에 있다.
 
24. 기하(岐下) - 기산(岐山) 아래를 가리킨다. 이곳은 주(周) 문화의 발상지이고, 섬서성(陜西省) 부풍현(扶風縣) 서북쪽에 있으며, 남쪽에 주원(周原)이 있다.
 
25. 휴(攜) - 끌다.
 
26. 폄(貶) - 감소, 제거의 의미.
 
27. 읍별거지(邑別居之) - 읍락을 설치하고 따로따로 거주하다.
 
28. 5관(五官) - 상(商)나라와 주(周)나라 시기 정사를 담당하던 고급 관직으로, 사도(司徒), 사마(司馬), 사공(司空), 사토(司土), 사구(司寇)를 가리킨다. 달리 광의의 의미로 백관을 가리킨다.
 
29. 유사(有司) - 관리.
 
 

4. (국역)

경절이 사망하고 아들 황복이 즉위하였다. 황복이 사망하고 아들 차불이 즉위하였다. 차불이 사망하고 아들 훼유가 즉위하였다. 훼유가 사망하고 아들 공비가 즉위하였다. 공비가 사망하고 아들 고어가 즉위하였다. 고어가 사망하고 아들 아어가 즉위하였다. 아어가 사망하고 아들 공숙조류가 즉위하였다. 공숙조류가 사망하고 아들 고공단보가 즉위하였다. 고공단보는 다시 후직과 공류가 했던 일을 다스리고, 덕을 쌓고 의로움을 실행하였으며, 성읍 및 그 주위에 거주하던 백성인 국인들이 모두 그를 추대하였다. 서북방의 이민족 훈육과 융적이 그를 공격하고 재물을 얻으려고 하니 재물을 주었다. 오래지 않아서 다시 공격하고 토지와 백성을 차지하려고 하였다. 백성이 모두 분노하여 그들과 전쟁하려고 하였다. 고공이 말하기를 “백성이 군주를 세우는 것은 장차 백성들을 이롭게 하려는 것이다. 지금 융적이 공격하여 전쟁하려는 목적은 우리의 토지와 백성이다. 백성들이 우리 쪽에 있거나 그들과 더불어 저쪽에 있거나 무엇이 다르겠는가! 백성들이 나와의 연고로 인하여 전쟁하려는 것은, 다른 사람의 부친과 자식을 살해하면서 그들의 군주가 되려는 것과 같으므로, 나는 참을 수 없다.” 이에 집안의 식솔과 더불어 드디어 빈을 떠났으며, 칠수와 저수를 건너고 양산을 넘어서 기산 아래에 정착하였다. 빈 지역의 백성들은 온 나라에서 모두 노인은 부축하고 어린이는 이끌면서, 전부 기산의 아래에 정착하고 있는 고공에게 다시 귀의하였다. 게다가 그의 주변 나라에서까지 고공이 어질다는 것을 듣고 또한 대다수가 그에게 귀의하였다. 그래서 고공은 융적의 습속을 폐지하고 성곽과 집을 건축하였으며, 그리고 백성을 몇 개 읍락으로 나누어 거주하게 하였다. 또 사도, 사마, 사공, 사토, 사구 등 5종류의 고급관직을 설치하고 관리를 두었다. 그래서 백성들은 모두 《시경》의 〈천작(天作)〉편과 〈비궁(閟宮)〉편에 실린 것처럼 시와 노래를 지어 그의 은덕을 칭송하였다.
 
 

5. (참고)

기산(岐山)에서 봉황새가 운 까닭 - 고공단보(古公亶父)는 외적의 침입으로 종족을 이끌고 기산(岐山)으로 이동하였다. 기산은 바로 주 종족의 발상지로 여겼으며, 기산 아래의 평야가 바로 주원(周原)이다. 《국어(國語)》〈주어(周語)〉에 보면 기산은 봉황새가 울어서 달리 봉황산이라고 일컬었다. 봉황새는 전설중의 불사조이고, 길상을 나타내며 흥성과 발전을 상징한다고 한다. 즉 고공단보의 기산 개척과 봉황새의 울음은 미래에 주 종족의 흥성과 발전을 상징하는 표시이다. 그 외에 고공단보는 성곽과 가옥을 지어 부락민들로 하여금 나누어 거주하게 하였고, 5관(五官)과 담당 부서를 두어 통치하게 하는 등 개혁을 단행하였다. 그의 이러한 개혁은 계급 사회와 국가 기구의 초보적 형태가 구비되었음을 나타내주고 있었다. 이후에 무왕(武王)이 상나라를 멸망시키게 되는 실력의 기초는 바로 이 시기에 갖추게 되었던 것이다.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주본기 5
• 주본기 4
• 주본기 3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