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보기 : 목록별구성)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19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6일
주본기 14
2015년 1월
2015년 1월 10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9일
2014년 11월 9일
2014년 11월 1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25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3일
2014년 9월 6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30일
2014년 8월 23일
2014년 8월 2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6일
2014년 7월 5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8일
2014년 6월 21일
2014년 6월 14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4일
2014년 5월 17일
2014년 5월 14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6일
2014년 4월 12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4일
2014년 3월 15일
2014년 3월 8일
2014년 3월 1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15일
2014년 2월 8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5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1일
2014년 1월 4일
2013년 12월
2013년 12월 28일
2013년 12월 22일
2013년 12월 14일
2013년 12월 8일
2013년 11월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8일
2013년 11월 3일
2013년 10월
2013년 10월 27일
2013년 10월 18일
2013년 10월 12일
2013년 9월
2013년 9월 28일
2013년 9월 14일
2013년 9월 11일
2013년 1월
2013년 1월 7일
2013년 1월 1일
2012년 12월
2012년 12월 18일
2012년 12월 11일
2012년 12월 5일
2012년 11월
2012년 11월 28일
2012년 11월 24일
2012년 11월 21일
2012년 11월 18일
2012년 11월 16일
2012년 11월 13일
2012년 11월 12일
2012년 11월 10일
2012년 11월 7일
2012년 11월 4일
2012년 11월 2일
2012년 10월
2012년 10월 30일
2012년 10월 28일
2012년 10월 2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내서재
추천 : 0
【저작】
(2017.10.19. 09:55) 
◈ 주본기 14
居二年, 聞紂昏亂暴虐滋甚, 殺王子比干, 囚箕子。 太師疵、少師彊抱其樂器而奔周。 / 2년이 지나고, 주왕은 정치를 어지럽히고 포악한 행동이 날이 갈수록 심해졌고, 왕자 비간을 살해하였으며 기자를 감옥에 가뒀다. 태사 자와 소사 강은 그들의 악기를 가지고 주나라로 도망갔다.
목   차
[숨기기]
 

1. (원문)

居二年, 聞紂昏亂暴虐滋甚, 殺王子比干, 囚箕子。 太師疵、少師彊抱其樂器而奔周。 於是武王徧告諸侯曰 : “殷有重罪, 不可以不畢伐。” 乃遵文王, 遂率戎車三百乘, 虎賁三千人, 甲士四萬五千人, 以東伐紂。 十一年十二月戊午, 師畢渡盟津, 諸侯咸會。 曰 : “孶孶無怠!” 武王乃作太誓, 告于衆庶 : “今殷王紂乃用其婦人之言, 自絶于天, 毁壞其三正, 離逖其王父母弟, 乃斷棄其先祖之樂, 乃爲淫聲, 用變亂正聲, 怡說婦人。 故今予發維共行天罰。 勉哉夫子, 不可再, 不可三!”
 
 

2. (음역)

거이년, 문주혼란포학자심, 살왕자비간, 수기자。 태사자、소사강포기악기이분주。 어시무왕편고제후왈 : “은유중죄, 불가이불필벌。” 내준문왕, 수솔융거삼백승, 호분삼천인, 갑사사만오천인, 이동벌주。 십일년십이월무오, 사필도맹진, 제후함회。 왈 : “자자무태!” 무왕내작태서, 고우중서 : “금은왕주내용기부인지언, 자절우천, 훼괴기삼정, 이적기왕부모제, 내단기기선조지악, 내위음성, 용변란정성, 이열부인。 고금여발유공행천벌。 면재부자, 불가재, 불가삼!”
 
 

3. (주석)

 
1. 주(紂) - 3-029-주석5 참고.
 
2. 자심(滋甚) - 갈수록 심해지다.
 
3. 비간(比干) - 3-032-주석7 참고.
 
4. 기자(箕子) - 3-033-주석10 참고.
 
5. 태사(太師) - 3-033-주석5 참고.
 
6. 자(疵) - 3-033-주석5 참고.
 
7. 소사(少師) - 3-033-주석6 참고.
 
8. 강(彊) - 3-033-주석6 참고.
 
9. 주(周) - 1-029-주석20 참고.
 
10. 무왕(武王) - 3-032-주석31 참고.
 
11. 편고(徧告) - 두루 알리다.
 
12. 제후(諸侯) - 1-002-주석3 참고.
 
13. 은(殷) - 3-001-주석1 참고.
 
14. 필(畢) - 모두, 다함께.
 
15. 문왕(文王) - 3-031-주석7 참고.
 
16. 준(遵) - 따를.
 
17. 융거(戎車) - 전차.
 
18. 호분(虎賁)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용감한 군사를 가리킨다. 둘째, 왕궁을 지키거나 군주를 호위하는 군사를 가리킨다.
 
19. 갑사(甲士) - 광의의 의미로 군사를 가리킨다. 달리 갑옷을 입은 군사를 말한다.
 
20. 맹진(盟津) - 3-032-주석32 참고.
 
21. 함(咸) - 모두.
 
22. 자자(孶孶) - 부지런히 힘쓰는 모양. 자자(孜孜)와 동일.
 
23. 태서(太誓) - 《고문상서(尙書)》의 편명으로 달리 태서(泰誓)로 쓴다.
 
24. 훼괴(毁壞) - 무너뜨림.
 
25. 3정(三正) - 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하력(夏曆)은 1년의 시작이 1월이고, 은력(殷曆)은 1년의 시작이 12월이고, 주력(周曆)은 1년의 시작이 11월으로 1년의 시작이 다른데 이것을 3정이라고 한다. 둘째, 천정(天正, 농력(農曆)11월). 지정(地正, 농력12월), 인정(人正, 농력1월)을 가리킨다. 셋째, 정덕(正德), 이용(利用), 후생(厚生)을 3사(三事)라고 하는데, 3사가 바로 3정이다. 여기서는 이것의 의미를 채용하였다.
 
26. 이적(離逖) - 소원하다.
 
27. 단기(斷棄) - 절교하여 돌아보지 않음.
 
28. 음성(淫聲) - 3-030-주석13 참고.
 
29. 정성(正聲) - 아악(雅樂)으로 순수하고 바른 음악, 또는 음률에 부합하는 표준적인 소리를 가리킨다.
 
30. 이열(怡說) - 기쁘다.
 
31. 발(發) - 무왕을 가리킨다.
 
32. 공(共) - 공경할 공(恭)과 동일.
 
33. 부자(夫子) - 고대에 남자에 대한 존칭이다. 여기서는 군사들을 가리킨다.
 
 

4. (국역)

2년이 지나고, 주왕은 정치를 어지럽히고 포악한 행동이 날이 갈수록 심해졌고, 왕자 비간을 살해하였으며 기자를 감옥에 가뒀다. 태사 자와 소사 강은 그들의 악기를 가지고 주나라로 도망갔다. 그래서 무왕은 제후들에게 두루 알리며 말하기를 “상나라는 무거운 죄를 지었으니, 다함께 정벌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문왕의 유훈을 좇아서 드디어 전차 300대, 용감한 무사 3,000명, 갑옷 입은 군사 45,000명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나아가 주왕을 정벌하였다. 11년 12월 무오일에 군사들은 모두 맹진을 건넜고 제후들도 모두 모였다. 무왕이 말하기를 “부지런히 힘쓰고 나태하지 마라.” 무왕은 이에 〈태서〉를 작성해서 많은 군사들에게 알렸다. “지금 상나라 주왕은 여인의 말만 따르고 스스로 하늘의 천명과 단절하였으며, 스스로 그 덕을 바르게 하는 정덕, 사물이나 사람으로 하여금 효능을 발휘하게 하는 이용, 백성의 생활을 부유하게 하는 후생의 3정을 무너뜨리고, 부모형제를 멀리 하였으며, 선조가 제정한 음악을 폐지하고, 음란한 음악을 만들었으며, 순수하고 바른 음악인 아악을 변경하여 어지럽게 해서 여인을 기쁘게 하였다. 그런 까닭에 현재 나 발은 하늘의 벌을 공경하며 실행하려고 한다. 군사들은 분투하라, 다음번을 기다릴 수 없고, 다다음번은 더욱 기다릴 수 없다. ”
 
 

5. (참고)

주나라의 군사제도 - 중앙군은 6군(1군은 12,500명으로 오(伍)5명, 양(兩)25명, 족(族)100명, 사(師)500명, 여(旅)2,500명, 군(軍)12,500명) 제도가 있다. 군사를 지휘하는 무관으로는 사씨(師氏), 아려(亞旅) 등의 호칭이 있었다. 군사는 보병으로 조직된 돌격대를 호분(虎賁)이라 일컬었고, 전차병도 있어서 보병과 같이 작전을 수행하였다. 전차병은 천자는 1만승을 보유하고 있었으며(萬乘之國), 제후국은 1천승을 보유하고 있었다(千乘之國). 1승(乘)에는 마부, 활 쏘는 자, 창 쓰는 자 3명이 탑승하였고 보병 25명이 예속되었다.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주본기 15
• 주본기 14
• 주본기 13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