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보기 : 목록별구성)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19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6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10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9일
2014년 11월 9일
2014년 11월 1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25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3일
2014년 9월 6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30일
2014년 8월 23일
2014년 8월 2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6일
2014년 7월 5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8일
2014년 6월 21일
2014년 6월 14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4일
2014년 5월 17일
2014년 5월 14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6일
2014년 4월 12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4일
2014년 3월 15일
2014년 3월 8일
2014년 3월 1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15일
2014년 2월 8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5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1일
2014년 1월 4일
2013년 12월
2013년 12월 28일
2013년 12월 22일
2013년 12월 14일
2013년 12월 8일
2013년 11월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8일
2013년 11월 3일
2013년 10월
2013년 10월 27일
2013년 10월 18일
2013년 10월 12일
2013년 9월
2013년 9월 28일
2013년 9월 14일
2013년 9월 11일
2013년 1월
2013년 1월 7일
2013년 1월 1일
2012년 12월
2012년 12월 18일
2012년 12월 11일
2012년 12월 5일
2012년 11월
2012년 11월 28일
2012년 11월 24일
오제본기 26
2012년 11월 21일
2012년 11월 18일
2012년 11월 16일
2012년 11월 13일
2012년 11월 12일
2012년 11월 10일
2012년 11월 7일
2012년 11월 4일
2012년 11월 2일
2012년 10월
2012년 10월 30일
2012년 10월 28일
2012년 10월 2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내서재
추천 : 0
순(舜) #
【저작】
(2017.10.18. 18:14) 
◈ 오제본기 26
순은 광대한 산림지역에 들어가서 매서운 바람과 우뢰 및 폭우를 만나도 길을 헤매지 않아서, 요는 순이 천하를 계승할 능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알았다.
목   차
[숨기기]
 

1. (원문)

舜入于大麓, 烈風雷雨不迷, 堯乃知舜之足授天下。 堯老, 使舜攝行天子政, 巡狩。 舜得擧用事二十年, 而堯使攝政。 攝政八年而堯崩。 三年喪畢, 讓丹朱, 天下歸舜。 而禹、皐陶、契、后稷、伯夷、蘷、龍、倕、益、彭祖自堯時而皆擧用, 未有分職。 於是舜乃至於文祖, 謀于四嶽, 辟四門, 明通四方耳目, 命十二牧論帝德, 行厚德, 遠佞人, 則蠻夷率服。 舜謂四嶽曰 : “有能奮庸美堯之事者, 使居官相事?” 皆曰 : “伯禹爲司空, 可美帝功。” 舜曰 : “嗟, 然! 禹, 汝平水土, 維是勉哉。” 禹拜稽首, 讓於稷、契與皐陶。 舜曰 : “然, 往矣。” 舜曰 : “棄, 黎民始飢, 汝后稷播時百穀。” 舜曰 : “契, 百姓不親, 五品不馴, 汝爲司徒, 而敬敷五敎, 在寬。” 舜曰 : “皐陶, 蠻夷猾夏, 寇賊姦軌, 汝作士, 五刑有服, 五服三就 ; 五流有度, 五度三居 : 維明能信。” 舜曰 : “誰能馴予工?” 皆曰垂可。 於是以垂爲共工。 舜曰 : “誰能馴予上下草木鳥獸?” 皆曰益可。 於是以益爲朕虞。 益拜稽首, 讓于諸臣朱虎、熊羆。 舜曰 : “往矣, 汝諧。” 遂以朱虎、熊羆爲佐。 舜曰 : “嗟! 四嶽, 有能典朕三禮?” 皆曰伯夷可。 舜曰 : “嗟! 伯夷, 以汝爲秩宗, 夙夜維敬, 直哉維靜絜。” 伯夷讓蘷、龍。 舜曰 : “然。 以蘷爲典樂, 敎稚子, 直而溫, 寬而栗, 剛而毋虐, 簡而毋傲 ; 詩言意, 歌長言, 聲依永, 律和聲, 八音能諧, 毋相奪倫, 神人以和。” 蘷曰 : “於! 予擊石拊石, 百獸率舞。” 舜曰 : “龍, 朕畏忌讒說殄僞, 振驚朕衆, 命汝爲納言, 夙夜出入朕命, 惟信。” 舜曰 : “嗟! 女二十有二人, 敬哉, 惟時相天事。” 三歲一考功, 三考絀陟, 遠近衆功咸興。 分北三苗。
 
 

2. (음역)

순입우대록, 열풍뇌우불미, 요내지순지족수천하。 요로, 사순섭행천자정, 순수。 순득거용사이십년, 이요사섭정。 섭정팔년이요붕。 삼년상필, 양단주, 천하귀순。 이우、고요、설、후직、백이、기、용、수、익、팽조자요시이개거용, 미유분직。 어시순내지어문조, 모우사악, 벽사문, 명통사방이목, 명십이목논제덕, 행후덕, 원영인, 즉만이솔복。 순위사악왈 : “유능분용미요지사자, 사거관상사?” 개왈 : “백우위사공, 가미제공。” 순왈 : “차, 연! 우, 여평수토, 유시면재。” 우배계수, 양어직、설여고요。 순왈 : “연, 왕의。” 순왈 : “기, 여민시기, 여후직파시백곡。” 순왈 : “설, 백성불친, 오품불순, 여위사도, 이경부오교, 재관。” 순왈 : “고요, 만이활하, 구적간궤, 여작사, 오형유복, 오복삼취 ; 오류유도, 오도삼거 : 유명능신。” 순왈 : “수능순여공?” 개왈수가。 어시이수위공공。 순왈 : “수능순여상하초목조수?” 개왈익가。 어시이익위짐우。 익배계수, 양우제신주호、웅비。 순왈 : “왕의, 여해。” 수이주호、웅비위좌。 순왈 : “차! 사악, 유능전짐삼례?” 개왈백이가。 순왈 : “차! 백이, 이여위질종, 숙야유경, 직재유정결。” 백이양기、용。 순왈 : “연。 이기위전악, 교치자, 직이온, 관이율, 강이무학, 간이무오 ; 시언의, 가장언, 성의영, 율화성, 팔음능해, 무상탈륜, 신인이화。” 기왈 : “어! 여격석부석, 백수솔무。” 순왈 : “용, 짐외기참설진위, 진경짐중, 명여위납언, 숙야출입짐명, 유신。” 순왈 : “차! 여이십유이인, 경재, 유시상천사。” 삼세일고공, 삼고출척, 원근중공함흥。 분배삼묘。
 
 

3. (국역)

순은 광대한 산림지역에 들어가서 매서운 바람과 우뢰 및 폭우를 만나도 길을 헤매지 않아서, 요는 순이 천하를 계승할 능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알았다. 요는 나이가 들자 순으로 하여금 천자의 정치를 대신하게 하고 전국을 시찰 다니게 했다. 순은 등용되어 20년 동안 정치를 담당하였고, 요는 그로 하여금 천자를 대신하게 하였다. 요를 대신하여 통치한지 8년 만에 요가 사망하였다. 3년 상이 끝나고 요의 아들 단주에게 천자의 자리를 양보했지만, 세상 사람들이 모두 순에게 귀의하였다. 우, 고요, 설, 후직, 백이, 기, 용, 수, 익, 팽조는 요 시기에 모두 등용되었지만 직책이 구분되지는 않았다. 그래서 순은 요의 시조 사당에 가서 사방의 제후들과 모의하여, 궁전 사방의 문을 열고 사방 백성의 의견을 받아들여 상호 소통시켰으며, 12주의 수령에게 요의 훌륭한 덕행을 논의하게 명령하였고, 백성들에게 후한 덕을 베풀며 아첨하는 사람을 멀리하니 주변의 오랑캐들도 모두 복종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누가 능히 분발하여 요의 업적을 크게 빛내는데 공적을 세울 수 있다면, 그에게 재상의 직무를 담당할 관직을 주려고 한다.” 모두 말하기를 “우(백우)를 수리와 토목건축을 담당하는 사공으로 임명하면 요의 업적을 크게 빛낼 수 있습니다.” 순이 말하기를 “아, 옳다. 우, 당신이 가서 치수와 토목사업을 처리 하시요. 오직 부지런한 마음가짐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합니다.” 우는 무릎 꿇고 절하며 후직, 설, 고요에게 양보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내가 말 한대로 하시요. 지금 바로 가서 임무를 수행 하시요.” 순이 말하기를 “기, 백성들에게 굶주린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데 당신이 농사를 담당하는 관직을 담당하고 시기에 맞추어 여러 가지 곡식을 심도록 하시요.” 순이 말하기를 “설, 백관들이 서로 화목하지 못하고 인, 의, 예, 지, 신 등 5상으로도 순화시키지 못했다. 당신이 민중의 교화와 행정사무를 담당하는 사도가 되어서 공경하게 부, 모, 형, 제, 자에 관한 5가지 가르침을 베풀도록 하시요. 오직 관대한 마음가짐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됩니다.” 순이 말하기를 “고요, 사방의 이민족들이 중원을 어지럽히고 안팎으로 온갖 나쁜 짓을 저지르니, 당신이 법률을 담당하는 관리인 사가 되어 이마에 죄수 도장을 찍는 묵형, 코를 베는 의형, 발 뒷굼치를 자르는 비형, 생식기를 제거하는 궁형, 사형시키는 대벽형 등 5종류의 형벌을 집행 하시요. 5종류의 형벌을 집행하여 백성을 복종시키려면 수형자의 신분에 따라서 각기 다른 3곳 즉 들판, 조정, 저자거리에서 시행해야 됩니다. 5종류의 귀양을 보내는 것도 각기 원칙이 있는데, 5가지 원칙은 즉 유배를 당하는 죄인은 죄의 경중에 따라서 3곳(4예, 9주, 천리 바깥)으로 보내야 합니다. 오직 공명정대한 마음가짐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백성들이 믿음으로 복종합니다.” 순이 말하기를 “누가 능히 나의 각종 토목건축을 담당할 수 있습니까? ” 모두 수가 적당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수로 하여금 공공의 직책을 담당하게 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누가 능히 높고 낮은 곳, 풀과 나무, 날짐승 뭍짐승을 관리할 수 있습니까?” 모두 익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익을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에 임명하였다. 익이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리며 주호, 웅비 등 여러 신하에게 양보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가시요. 당신이 적합합니다.” 그리고는 주호, 웅비로 하여금 익을 보좌하게 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누가 능히 내가 실행하는 하늘과 땅과 종묘에 지내는 3가지 제사 의례를 담당할 수 있습니까?” 모두 백이가 적합하다고 말했다. “오, 백이, 당신을 제사와 의례를 담당하는 질종으로 임명하니 아침이나 저녁을 막론하고 오직 공경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고, 또 정직과 정숙, 청결한 마음가짐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합니다.” 백이는 기와 용에게 양보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알겠다. 기를 음악을 담당하는 전악으로 임명하니, 귀족의 아이들을 가르치되, 정직하면서도 온화하게, 너그러우면서도 엄격하게, 강하면서도 사납지 않게, 간소하고 질박하면서도 오만하지 않게 하시요. 시는 사람의 감정을 표현한 것이고, 노래는 시의 음조를 길게 늘인 것이며, 소리는 노래의 음률이 부합하게 하는 것이고, 음률은 5성(음률의 기본이 되는 궁, 상, 각, 치, 우의 다섯 음계)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니, 8가지 악기가 내는 소리가 능히 조화를 이루어 서로 어긋나지 않게 하고, 신과 인간이 모두 음악을 통해서 서로 화합하게 하시요.” 기가 말하기를 “아, 제가 석경(돌로 만든 경쇠)을 치면 모든 동물들이 잇따라 춤을 출 것입니다.” 순이 말하기를 “용, 나는 남을 헐뜯거나 거짓말을 하며 나의 백성을 놀라게 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꺼리므로, 당신을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납언으로 임명하니 새벽부터 저녁까지 나의 명령을 전달하고 오직 믿음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합니다.” 순이 말하기를 “아, 당신들 22명은 공경하게 직책을 수행하고, 오직 하늘이 나에게 맡긴 일을 완성할 수 있도록 시시각각 보좌를 해 주시요.” 순은 3년마다 업적을 심사하고 3차례 심사를 거쳐서 승진 또는 강등하니, 먼 곳이나 가까운 곳을 막론하고 각종 사업이 모두 흥성해졌다. 또 3묘족을 분산시켰다.
 

 
 

4. (주석)

1. 순(舜) - 1-016-주석8 참고.
 
2. 대록(大麓)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천자의 업무를 대신하는 것이다. 둘째, 광대한 산림을 가리킨다.
 
3. 요(堯) - 1-012-주석3 참고.
 
4. 단주(丹朱) - 1-015-주석3 참고.
 
5. 우(禹) - 황제(黃帝)의 현손(玄孫)으로 하후씨(夏后氏)이고 이름은 문명(文命)이며 호는 우이다. 후세에 존칭해서 대우(大禹), 하우(夏禹)라고 일컬었고 도산씨(涂山氏)의 여성을 부인으로 맞이하여 아들 계(啓)를 낳았다. 우는 순의 시대에 하백(夏伯)이라는 작위를 받고 사(似)라는 성씨를 하사 받았다. 순을 계승한 이후에는 하 부락연맹의 창시자로 국호를 하(夏)라고 하였고 안읍(安邑)을 도읍지로 삼았으며 대략 기원전 21세기이다. 하 왕조는 우에서 시작하여 걸(桀)에 이르기까지 14대 17왕의 대략 400여년 존속하였다
 
6. 고요(皐陶) - 전설에 요와 순 시기의 법률을 담당하는 관리인 사(士), 사사(士師), 대리(大理)이고, 후대에 옥관(獄官) 또는 옥신(獄神)으로 일컬어졌다. 전욱(顓頊)과 추도씨(鄒屠氏)의 7번째 아들이고 이름은 정견(庭堅)이고 臯陶, 臯繇 등으로 쓴다. 요, 순, 우와 더불어 상고시대 4성(四聖)으로 일컬었다.
 
7. 설(契) - 곡(嚳)의 아들이고 요(堯)의 이복동생이며 성은 자(子)이고 생모는 간적(簡狄)이다. 전설에 의하면 모계 씨족사회 기간에 간적이라는 여인이 해안가에서 목욕을 하다가 현조(玄鳥)가 낳은 알을 삼킨 후에 상(商)의 시조인 설을 낳았다고 한다. 이것은 발해만의 여러 부족에 존재하던 조(鳥) 토템을 반영한 것이다. 나중에 우를 도와 치수에 공을 세워서 상 지역을 하사받았다.
 
8. 후직(后稷) - 서주(西周)의 시조 기(棄)의 별칭이다. 그의 어머니 강원(姜嫄, 곡의 부인)은 거인의 발자취를 따라 걷다가 임신하여 기를 낳았다고 한다. 기는 성장하면서 농사짓는 것을 좋아하여 오곡을 심고 농업에 종사하였다. 요의 통치 시기에는 농사(農師)에 임명되었고, 순의 통치 시기에는 그를 합(郃)이라는 지역에 봉하고 후직이라 일컬었다. 달리 농사를 담당하는 관직을 일컫는다.
 
9. 백이(伯夷) - 염제(炎帝)의 14대 손자이고 공공(共工)의 종손(從孫)으로 요와 순시대의 인물이다. 상(商)나라 말기 고죽국(孤竹國) 군주의 아들 백이(伯夷)와는 다른 인물이다.
 
10. 기(夔) - 기(棄)로 쓰며 후직의 내용을 참고.
 
11. 용(龍) - 요순시기의 인물.
 
12. 수(倕) - 요순시대의 인물로 활, 쟁기, 보습 등을 잘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13. 익(益) - 성씨는 영(嬴)이고 고요(皐陶)의 아들이다. 대비(大費), 백예(栢翳), 백예(伯翳) 등으로 일컬었고, 그의 자손들은 익으로 성씨를 삼아서 익씨의 시조가 되었다. 전해오는 말에 축목과 수렵에 능했고 우물을 파는 기술을 발명하여 우물의 신(井神)으로 일컬어졌다.
 
14. 팽조(彭祖) - 성은 전(籛)이고 씨는 팽(彭)이며 이름은 전(翦)이다. 꿩 요리에 능해서 요의 신임을 받았고 나중에 대팽(大彭)을 봉지로 받아서 대팽씨국이 되었다. 전설에 팽씨의 조상이고 부인이 49명이며 자식이 54명이고 860살까지 살았다고 한다.
 
15. 문조(文祖) - 1-016-주석23 참고.
 
16. 4악(四嶽) - 1-015-주석10 참고.
 
17. 4문(四門) - 1-016-주석19 참고.
 
18. 12목(十二牧) - 요, 순 시기의 행정구획 제도이다. 12주는 기주(冀州), 연주(兗州), 청주(靑州), 서주(徐州), 형주(荊州), 양주(揚州), 예주(豫州), 양주(梁州), 옹주(雍州), 유주(幽州), 병주(幷州), 영주(營州)이고 목(牧)은 각 주의 수령이다. 또 1-017-주석15와 32 참고.
 
19. 만이(蠻夷) - 광의의 의미로 화하(華夏) 중원민족 이외의 이민족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협의의 의미로는 남방과 동방에 거주하는 이민족을 가리킨다.
 
20. 분용(奮庸) - 분은 기(起)이고, 용은 공(功)을 나타낸다. 즉 노력해서 공적을 세우는 것을 말함.
 
21. 거관(居官) - 관직을 담당.
 
22. 상사(相事) - 재상의 직무
 
23. 사공(司空) - 중국 고대의 관직 명칭으로 수리와 토목 건축을 담당한다. 사마(司馬), 사구(司寇), 사사(司士), 사도(司徒)와 더불어 5관(五官)이라고 일컫는다.
 
24. 수토(水土) - 수리와 토목
 
25. 계수(稽首) -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맞잡아서 땅에 대고, 머리도 땅에 대고 절하는 최상의 의례이다. 즉 중국 고대에 상대방에게 공경을 나타내기 위하여 행하는 의례로 《주례(周禮)》에 나타나는 9배(九拜) 중의 하나이다. 참고로 9배는 계수, 돈수(頓首), 공수(空首), 진동(振動), 길배(吉拜), 흉배(凶拜), 기배(奇拜), 포배(褒拜), 숙배(肅拜)가 있다. 즉 신분과 등급이 다른 사회 구성원에게, 각기 다른 상황에서 사용되도록 규정된 의례이다
 
26. 5품(五品) - 5상(인, 의, 예, 지, 신)을 말함. 또는 부, 모, 형, 제, 자를 가리킨다.
 
27. 사도(司徒) - 요, 순 시기에 이미 설치된 관직 명칭으로 민중의 교화와 행정사무 등을 담당한다.
 
28. 부(敷) - 펼, 베풀.
 
29. 5교(五敎) - 1-024-주석13 참고.
 
30. 구적간궤(寇賊姦軌) - 구궤적간(寇軌賊姦), 외구내적(外寇內賊)으로도 쓰며, 구(寇)는 외부에서 나쁜 짓을 하는 것이고 적(賊)은 내부에서 나쁜 짓을 하는 것을 말한다.
 
31. 사(士)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요순(堯舜) 시기의 법률, 형벌, 감옥을 담당하는 관리인 사(士), 사사(士師), 대리(大理)이다. 둘째, 신분제에서 통치계급으로 왕-제후-경-대부-사에서 최하 등급이다. 상(商)나라와 서주(西周), 춘추(春秋) 시기에는 귀족계층으로 대부분 경(卿)과 대부(大夫)의 가신(家臣)이었다. 춘추 말년 이후에는 점차 통치계급 중에서 지식분자를 가리키게 되었다. 전국시대에는 학사(學士), 용사(勇士), 방사(方士), 책사(策士) 등으로 세분되었다.
 
32. 5형(五刑) - 1-017-주석38 참고.
 
33. 복(服) - 담당하다. 집행하다.
 
34. 5복(五服)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왕이 직접 통치하는 지역인 왕기(王畿) 이외에 500리 씩 순차적으로 구획을 정했는데 가까운 곳에서부터 후복(侯服), 전복(甸服), 수복(綏服), 요복(要服), 황복(荒服)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둘째, 5등급의 상복(喪服)을 말한다. 여기서는 5가지 형벌을 집행하는 것을 말한다.
 
35. 3취(三就) - 고대에 사형을 당하는 자는 신분에 따라서 각기 다른 3곳에서 형벌을 받았는데, 큰 죄는 들판에서 대부(大夫)는 조정에서 사(士)는 저자거리에서 형벌을 받는 것을 말한다.
 
36. 5류(五流) - 5형을 받는 죄인을 관대하게 처리하여 유배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37. 도(度) - 원칙, 체계.
 
38. 5도(五度)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5가지 귀양 보내는 원칙을 말한다. 둘째, 5가지 도량 단위로 분(分), 촌(寸), 척(尺), 장(丈), 인(引)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첫째의 의미이다.
 
39. 3거(三居) - 거는 처소를 말한다. 즉 고대에 유배를 당하는 죄인을 죄의 경중에 따라서 장소를 달리하는데, 큰 죄를 지은 자는 4예(四裔)로 다음은 9주(九州)의 밖으로, 그 다음은 천리(千里) 밖으로 유배 보냈다.
 
40. 공(工) - 토목건축 업무를 담당하는 관직.
 
41. 공공(共工) - 1-015-주석5 참고.
 
42. 짐우(朕虞) - 고대에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 명칭이다. 달리 우(虞) 한 글자를 쓰기도 한다.
 
43. 주호(朱虎) - 순 시기의 관리로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을 담당했다고 한다.
 
44. 웅비(熊羆) - 순 시기의 관리로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을 담당했다고 한다.
 
45. 해(諧) - 적합하다, 이루다, 화합하다.
 
46. 3례(三禮) - 하늘과 땅과 종묘에 제사지내는 의례를 말한다.
 
47. 질종(秩宗) - 제사와 의례를 담당하는 관직 명칭으로 후대에는 예부(禮部)를 가리키는 칭호로 사용하였다.
 
48. 전악(典樂) - 조정의 음악을 담당하는 관직.
 
49. 율(栗) - 엄격, 공손함.
 
50. 언의(言意) - 말과 뜻으로 즉 시는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
 
51. 장언(長言) - 시나 노래를 소리 높여 길게 부르는 것.
 
52. 의영(依永) - 음률이 노래와 부합하는 것을 말함.
 
53. 화성(和聲) - 5성(五聲)이 조화를 이룸.
 
54. 8음(八音) - 광의의 의미로 음악을 가리킨다. 협의의 의미로 악기를 제작하는 8종류의 악기 재료로, 금(金-쇠), 석(石-돌), 사(絲-실), 죽(竹-대나무), 포(匏-바가지), 토(土-흙), 혁(革-가죽), 목(木-나무)을 가리킨다.
 
55. 격석(擊石) - 석경(石磬)을 쳐서 연주하는 것.
 
56. 부석(拊石) - 위와 동일.
 
57. 솔무(率舞) - 잇따라 춤을 추다.
 
58. 참설(讒說) - 참언, 남을 헐뜯는 말.
 
59. 진위(殄僞) - 위선, 거짓
 
60. 진경(振驚) - 놀라게 하다.
 
61. 납언(納言) -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관직.
 
62. 시상(時相) - 시시각각
 
63. 출척(絀陟) - 인사상의 승진과 강등을 말한다.
 
64. 중공(衆功) - 1-014-주석40 참고.
 
65. 분배(分北) - 나누다, 분리하다.
 
66. 3묘(三苗) - 1-018-주석10 참고.
 
 

5. (참고)

우(禹)의 역사상 공헌 - 우의 역사상 공헌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인과 가정을 살피는 것보다 국가를 먼저 생각하는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정신이다. 둘째, 전면적으로 지리형세를 관찰하기 위하여 9주(九州)를 답사하고, 여기서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하천과 호수 및 산맥을 수리하고 소통시키는 종합적인 공사를 진행하였다. 셋째, 9주의 토지와 생산물을 조사하여 조공품(朝貢品)과 세금을 부과하고 운송을 위한 육로와 수로를 개통하여 전국적인 공부(貢賦) 체계를 완성하였다.
순(舜) #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오제본기 27
• 오제본기 26
• 오제본기 2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2)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