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보기 : 목록별구성)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19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6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10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9일
2014년 11월 9일
2014년 11월 1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25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3일
2014년 9월 6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30일
2014년 8월 23일
2014년 8월 2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6일
2014년 7월 5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8일
2014년 6월 21일
2014년 6월 14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4일
2014년 5월 17일
2014년 5월 14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6일
2014년 4월 12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4일
2014년 3월 15일
2014년 3월 8일
2014년 3월 1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15일
2014년 2월 8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5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1일
2014년 1월 4일
하본기 24
2013년 12월
2013년 12월 28일
2013년 12월 22일
2013년 12월 14일
2013년 12월 8일
2013년 11월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8일
2013년 11월 3일
2013년 10월
2013년 10월 27일
2013년 10월 18일
2013년 10월 12일
2013년 9월
2013년 9월 28일
2013년 9월 14일
2013년 9월 11일
2013년 1월
2013년 1월 7일
2013년 1월 1일
2012년 12월
2012년 12월 18일
2012년 12월 11일
2012년 12월 5일
2012년 11월
2012년 11월 28일
2012년 11월 24일
2012년 11월 21일
2012년 11월 18일
2012년 11월 16일
2012년 11월 13일
2012년 11월 12일
2012년 11월 10일
2012년 11월 7일
2012년 11월 4일
2012년 11월 2일
2012년 10월
2012년 10월 30일
2012년 10월 28일
2012년 10월 2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내서재
추천 : 0
【저작】
(2017.10.18. 18:39) 
◈ 하본기 24
목   차
[숨기기]
 

1. (원문)

於是蘷行樂, 祖考至, 群后相讓, 鳥獸翔舞, 簫韶九成, 鳳皇來儀, 百獸率舞, 百官信諧。 帝用此作歌曰 : “陟天之命, 維時維幾。” 乃歌曰 : “股肱喜哉, 元首起哉, 百工熙哉!” 皐陶拜手稽首揚言曰 : “念哉, 率爲興事, 愼乃憲, 敬哉!” 乃更爲歌曰 : “元首明哉, 股肱良哉, 庶事康哉!” (舜)又歌曰 : “元首叢脞哉, 股肱惰哉, 萬事墮哉!” 帝拜曰 : “然, 往欽哉!” 於是天下皆宗禹之明度數聲樂, 爲山川神主。
 
 

2. (음역)

어시기행악, 조고지, 군후상양, 조수상무, 소소구성, 봉황래의, 백수솔무, 백관신해。 제용차작가왈 : “척천지명, 유시유기。” 내가왈 : “고굉희재, 원수기재, 백공희재!” 고요배수계수양언왈 : “염재, 솔위흥사, 신내헌, 경재!” 내갱위가왈 : “원수명재, 고굉양재, 서사강재!” (순)우가왈 : “원수총좌재, 고굉타재, 만사휴재!” 제배왈 : “연, 왕흠재!” 어시천하개종우지명도수성악, 위산천신주。
 
 

3. (주석)

1. 기(蘷) - 1-026-주석10 참고.
 
2. 행악(行樂) - 음악을 연주하다.
 
3. 조고(祖考) - 조상의 신령.
 
4. 군후(群后)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사방 제후 및 각 주의 목(牧)과 백(伯)을 가리킨다. 둘째, 광의의 의미로 공경(公卿)을 가리킨다.
 
5. 소소(簫韶)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순(舜) 시대의 음악 명칭이다. 소악(韶樂) 또는 순악(舜樂)이라고 일컫는다. 기원전 3천 년 전에 기원하였고, 일종의 시와 음악과 춤이 결합된 종합적 고전예술이다. 둘째, 일반적으로 미묘하고 신비로운 음악을 가리킨다.
 
6. 9성(九成) - 음악의 각 장절이 끝날 때를 성(成)이라 하고, 그럴 때 마다 필히 다르게 연주를 해야 되는데 그렇게 9번 하는 것을 말한다.
 
7. 의(儀) - 거동하다.
 
8. 솔(率) - 따를.
 
9. 신해(信諧) - 진실로 화목한 모습을 드러내다.
 
10. 작가(作歌) - 노래 가사를 짓다.
 
11. 척천지명(陟天之命) - 하늘의 천명을 삼가 받들어 국가와 백성을 다스리다.
 
12. 유시유기(維時維幾) - 오직 시세의 변화에 순응하고, 오직 말과 행동을 근신하게 하다.
 
13. 고굉희(股肱喜) - 가장 믿는 중요한 신하들이 충성을 다하기를 기뻐하고.
 
14. 원수기(元首起) - 군주의 통치가 성대하게 일어나고.
 
15. 백공희(百工熙) - 많은 관리가 추진하는 사업이 흥성해지고.
 
16. 고요(皐陶) - 1-026-주석6 참고.
 
17. 배수(拜手) - 달리 배수(拜首)라고 쓰며, 무릎을 꿇고 가슴부분에서 두 손을 맞잡고 머리를 손 있는 데까지 숙여 절을 함.
 
18. 계수(稽首) - 1-026-주석25 참고.
 
19. 양언(揚言) - 소리를 높여 말함, 또는 공적으로 하는 공언(公言).
 
20. 념(念) - 천자가 조심해야 할 바를 생각하다.
 
21. 솔(率) - 신하를 거느리다.
 
22. 흥사(興事) - 정치와 교화를 일으키다.
 
23. 신내헌(愼乃憲) - 신중하게 법령을 준수하다.
 
24. 강(康) - 안정되게 추진하다.
 
25. 총좌(叢脞) - 자질구레하다, 난잡하다.
 
26. 타(惰) - 게으르다.
 
27. 휴(墮) - 어그러질, 무너질.
 
28. 배(拜) - 경의를 나타내다.
 
29. 왕(往) - 언제나, 어떠한 경우에도.
 
30. 흠(欽) - 공경하다.
 
31. 종(宗) - 존숭할.
 
32. 수(數) - 이치, 도리.
 
33. 성악(聲樂)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음악으로 백성을 교화하는 것이다. 둘째, 순(舜)이 만든 9소(九韶)의 음악을 가리킨다.
 
 

4. (국역)

그래서 기가 음악을 연주하자, 조상의 신령들이 강림하여 즐겼으며, 사방 제후 및 각 주의 수령인 목과 방국의 우두머리인 백 등 공경들은 서로 자리를 양보하였고, 새와 짐승들도 날아다니며 춤을 추었다. 순 시대의 음악인 소소를 9절까지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서 거동하였고, 많은 짐승들도 따라와서 춤을 추었으며, 많은 관리들도 진정으로 화목한 모습을 드러냈다. 순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노래 가사를 지었다. “하늘의 천명을 삼가 받들어 국가와 백성을 다스리고, 오직 시세의 변화에 순응하고, 오직 말과 행동을 근신하게 할 것이다.” 이어서 노래를 부르기를 “가장 믿는 중요한 신하들은 충성을 다하기를 기뻐하니, 군주의 통치가 성대하게 일어나고, 많은 관리가 추진하는 사업이 흥성해졌다.” 고요가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맞잡아서 땅에 대고, 머리도 땅에 대고 절하면서 큰 소리로 말하기를 “천자가 조심해야 할 바를 생각하고, 신하들을 거느리고 정치와 교화를 일으킬 때는, 신중하게 법령을 준수하고 공경하는 자세로 자신의 직분을 다해야 합니다.” 이에 고요가 다시 노래를 부르기를 “군주가 영명하니, 가장 믿는 중요한 신하들도 어질며, 많은 사업들도 안정되게 추진되고 있구나.” 그러자 순이 다시 노래하기를 “군주가 하찮고 작은 일에 바쁘고, 가슴에 품은 큰 뜻이 없으면, 신하들도 게으르고, 각종 사업이 어그러지는 구나.” 순이 경의를 나타내며 말하기를 “그렇다. 이제부터는 언제나 이러한 도리를 공경하며 따르도록 하시요.” 그래서 천하의 백성들은 모두 우가 만든 밝은 법도와 음악으로 백성을 교화하는 이치를 존숭하였으며, 산과 강을 다스리는 신령의 주재자로 삼았다.
 
 

5. (참고)

상고시대의 궁정음악 - 중국 고대의 궁정음악은 의례성 음악과 오락성 음악으로 구분한다. 의례성 음악은 중대한 의례활동을 거행할 때 사용한다. 즉 태자책봉, 납후(納后), 원단, 동지, 조회, 연회, 제사 등이다. 종류는 황제 시기의 《운문대권(雲門大卷)》, 요 시기의《함지(咸池)》, 순 시기의《대소(大韶)》, 우 시기의《대하(大夏)》, 상 시기의《대호(大濩)》, 주 시기의《대무(大武)》가 있으며, 이것을 총칭해서 6악(六樂) 이라고 한다. 6악은 주나라 시기에는 완전히 보존되었지만,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서는 《대소》와《대무》만 전해지게 되었다.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하본기 25
• 하본기 24
• 하본기 23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