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87강 (2015년 5. 15)
사기 강의 제87회 보충설명
제87강, 2015년 5월 15일 사마천의 사기 강의
4. 共 - 갑골문, 원래는 진귀한 물건을 받들어 올려 제사를 지냄, 함께 무거운 책임이 나 재난을 같이 짊어지다 ; 바치다,《周禮》〈羊人〉“共其羊牲”; 함께,《論語》〈公冶長〉“願車馬,衣輕裘,與朋友共,敝之而無憾”; 같다,《孟子》〈滕文公上〉“夏曰校, 殷曰序,周曰庠;學則三代共之......設爲庠序學校以教之。庠者,養也;校 者,教也;序者,射也”; 함께,《韓非子》〈外儲說右上〉“仁義者,與天下共其所有 而同其利者也”; 恭, 供과 통한다.
 
* 학교 - 《漢書》〈平帝紀〉“郡國曰學,縣、道、邑侯國曰校”
* 중국학제 - 小學 6年、初中3年、高中3年
 
5. 步 - 갑골문, 큰길에서 두 발로 걸어 다님 ; 걸음,《禮記》〈曲禮〉“步路馬必中道 ”; 보폭,《荀子》〈勸學〉“不積跬步,無以至千里”;《禮記》〈祭義〉“跬步而不 敢忘,孝也”
 
6. 止 - 갑골문, 원래는 다리(脚) ; 머무르다《搜神記》“南陽西郊有一亭,人不可止,止則有 禍”;《韓詩外傳》“樹欲靜而風不止,子欲養而親不待也”; 단지(只,僅僅)“止此一家”
 
7. 勉 - 원래는 힘쓰다 ; 免(면제)+力=勉끌고 가다, 돕다, 노력 : 힘쓰다,《國語》〈越語〉“父勉其子,兄勉其弟,婦勉其夫”;《商君書》〈墾令〉“國安不殆,勉農而 不偸”; 노력을 다하다,《論語》〈子罕〉“喪事不敢不勉”;《史記》〈魏公子列傳〉“公子勉之矣,老臣不能從”;《論衡》“知力耕可以得穀,勉貿可以得貨”
 
8. 伐 - 갑골문, 원래는 다른 사람의 머리를 베다 ; 人+戈=伐 ;《左傳》“凡師有鐘鼓 曰伐,無曰侵 ;《史記》〈廉頗藺相如列傳》“其後秦伐趙”; 口誅筆伐;伐叛(討伐叛 逆);자랑하다,《史記》〈淮陰侯列傳〉“不伐己功,不矜己能”; 좌절시키다,《孫 子》〈謀攻〉“故上兵伐謀,其次伐交,再次伐兵”; 비평,《論衡》〈問孔》“伐孔子 之說,何逆于禮”; 공적,《史記》〈魏公子列傳〉“北救趙而西却秦,此五霸之伐也 ”;《史記》〈項羽本紀〉“自矜功伐,奮其私智而不師古”
 
9. 五 - 갑골문, 원래는 목화토금수 등 우주의 구성요소 ;《說文解字》“五,五行也” ;《史记》〈項羽本紀〉“吾令人望其氣,皆爲龍虎,成五采,此天子氣也”
 
10. 六 - 갑골문, 원래는 사방이 담으로 막힌 집
 
11. 七 - 갑골문, 원래는 분할해야 할 필요가 있는 큰 수 ;《漢書》〈律曆志〉“七 者,天地四時人之始也”
 
* 중국인의 숫자관념 ; 上-6(六六大順), 9(天長地久) ; 中-8(發財, 18은 要發, 아파 트 18층은 18層地獄), 0(圓滿), 2(好事成雙) ; 下-1(要), 5(我), 7(吃) ; 下下-3(升 과 傷, 13과 13층), 4(四喜臨門-死, 핸드폰번호 싸다 ; 4, 14, 34, 44층...)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88강 (2015. 5. 22)
• 제87강 (2015년 5. 15)
• 제86강 (2015년 5. 8)
(2017.11.01. 18:1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