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109강 (2015. 12. 18)
사기 강의 제109회 보충 설명
- 2015년 12월 18일(금)
10. 相 - 갑골문, 원래는 나무위에 올라가 먼 곳을 정찰함 ;《說文解字》“相,省視也”; 관찰하다,《史記》〈平原君虞卿列傳〉“勝(平原君趙勝)不敢復相士”; 용모《史記》〈李將軍列傳〉“豈吾相不當侯邪?”; 보조하다,《論語》〈衛靈公〉“固相師之道也”; 재상,《史記》〈項羽本紀〉“趙歇爲王,陳餘爲將,張耳爲相”;《史記》〈陳涉世家〉“王侯將相寧有種乎?”; 서로,《禮記》〈學記〉“故曰教學相長也”;《史記》〈平原君虞卿列传〉“平原君竟與毛遂偕。十九人相與目笑之而未發也”
 
11. 治 - 원래는 흙과 돌로 쌓은 웅덩이 ; 다스리다,《韓非子》〈五蠹〉“是以厚賞不行,重罰不用,而民自治”;《荀子》〈天論〉“禹以治,桀以亂,治亂非天也”;《孟子》〈滕文公上〉“或勞心,或勞力。勞心者治人,勞力者治於人。治於人者食人,治人者食於人”;《莊子》〈馬蹄〉“伯樂善治馬”; 경영하다,《史記》〈越王句踐世家〉“父子治産, 居無幾何, 致産數十万”
 
12. 召 - 갑골문, 원래는 술과 음식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것 ;《淮南子》〈脩務〉“楚人有烹猴而召其鄰人, 以爲狗羹而甘之。後聞其猴也,據地而吐之,盡瀉其食。此未始知味者也”; 부르다,《說文解字》“召,呼也......以言曰召,以手曰招”;《史記》〈李將軍列傳〉“於是天子乃召拜廣爲右北平太守”;《荀子》〈勸學〉“故言有召祸也,行有招辱也”; 兎死狗烹
 
13. 公 - 갑골문(분배+음식물), 원래는 음식물을 균등하게 나눠줌 ; 金文, 개인 소유를 모두에게 나눠줌 ; 篆書, 《說文解字》“公,平分也”; 八(반대)+厶(개인 私)=公 ;《韓非子》〈五蠹〉“背厶謂之公,或說,分其厶以與人謂公”; 정의로운,《史記》〈屈原賈生列傳〉“讒諂之蔽明也,邪曲之害公也,方正之不容也”; 국가의 업무,《論語》〈雍也〉“有澹台滅明者. 行不由徑,非公事未嘗至於偃(子游名,武城宰)之室也”; 제후국 군주,《左傳》襄公十一年“三分公室,而各有其一”;《公羊傳》“公,爵名,五等之首曰公; 其余大國稱侯; 小國稱伯、子、男”; 자신보다 나이 많은 남자의 존칭,《史記》〈項羽本紀〉“公其怒,不敢獻”; 남편, 老公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110강 (2016. 1. 8)
• 제109강 (2015. 12. 18)
• 제108강 (2015. 12. 11)
(2017.11.02. 13:12)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