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101강 (2015. 10. 16)
사기 강의 제101회 보충 설명
제101강, 2015, 10월, 16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98강 이음
3. 生 - 갑골문, 원래는 초목이 땅위로 자라남 ;《易義》“自無出有曰生” ;《孫子兵法》〈九地〉“陷之死地而後生”;《論語》〈顔淵〉“愛之欲其生, 惡之欲其死”;《孟子》〈告子下〉“然後知生于憂患, 而死于安樂也”
 
4. 太 - 금문, 원래는 가장 큰 정도 or 초과하다 ; 大, 泰와 통용《史記》“漢有天下太半,而諸侯皆附之”
 
5. 顚 - 원래는 머리 위 ;《玉篇》“山頂曰顚”;“本末曰顚末”, 本末顚倒
 
6. 閎 - 원래는 골목의 공용문 ; 부락, 촌락의 공공 의사를 논의하는 곳 ; 門+公=閎 ; 屋의 깊숙한 곳 ; 宏과 통용, 大 ;
 
7. 夭 - 갑골문, 원래는 요염하게 일어나서 춤을 추는 모양 or 초목이 무성하고 아름다움 ; 막 출생한 동물 ; 단명,《釋名》“少壯而死曰夭(夭折, 夭亡)”;《孟子》〈盡心上〉“夭壽不貳,修身以俟之”;《莊子》〈齊物論〉“天下莫大于秋毫之末,而泰山爲小 ; 莫壽于殤子,而彭祖爲夭”
 
8. 執 - 갑골문, 범인의 두 손을 수갑으로 채움 ;《說文解字》“執,捕罪人也”; 꽉 쥐다,《史记》〈管晏列传赞〉“太史公曰:晏子諫說,犯君之颜,此所謂 “進思盡忠,退思補過” 者哉!假令晏子而在,余雖爲之執鞭,所忻慕焉”;《史記》〈魏公子列傳〉“公子執轡(비)愈恭”; 장악, 견지. 실행, 증명서, 붕우(執友-志同道合의 朋友,简稱“執”), 성씨, 불교용어(허망 분별지심)
 
9. 衛 - 갑골문, 원래는 성을 순찰하며 지킴 ; 지키다,《說文解字》“衛,宿衛也”;《國語》〈鲁語下〉“有貨,以衛身也”; 성씨, 漢 武帝 황후 衛子夫(舞姬에서 皇后로), 衛靑
 
10. 立 - 갑골문, 원래는 앞을 보고 서있음 ; 즉위,《史記》“三十日不還,則請立太子爲王”; 세우다,《戰國策》“乃立宗廟于薛”; 제정(창건)하다,《史記》〈陳涉世家〉“復立楚國之社稷”; 賈誼《過秦論》“商君佐之,内立法度”
 
11. 南 - 갑골문, 원래는 북 등 악기를 끈으로 묶은 것 or 악기 ; 남쪽,《易經》〈說卦〉“聖人南面而聽天下”;《莊子》〈盜跖〉“凡人有此一德者,足以南面稱孤矣”
 
12. 卒 - 갑골문, 죽은 사람의 옷을 묶어 고정시킴 ; 끝나다,《韩非子》〈解老〉“人 始於生而卒於死”; 병졸,《吕氏春秋》〈簡選〉“在車曰士,步曰卒”; 마침내,《史 記》〈廉頗藺相如列傳〉“卒廷見相如, 畢禮而歸之”; 끝나다,《論語》〈子張〉“有 始有卒者,其惟聖人乎!”
 
13. 從 - 갑골문, 원래는 두 사람이 같이 걸어가는 모양 ; 따르다,《淮南子》〈泛論〉“禽獸可羈(勒)而從也”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102강 (2015. 10. 23)
• 제101강 (2015. 10. 16)
• 제100강 (100회 특강)
(2017.11.01. 20:4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