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등록순
|
◈ 조회순
|
|
2025.06.20 |
|
|
【문화】
요즘 날씨가 더워졌다. 마포대교 위에서 한강과 유람선, 밤섬과 북한산 그리고 여의도의 애드벌룬이 보였다. 무더운 여름 시원한 한강바람을 품으면 어떨까?
|
|
|
|
2015.09.18 |
|
|
【여행】
인왕산(仁王山) 호랑이란 말을 들어 보셨지요? 조선시대 호랑이가 궁궐로 내려와 잡았다고 할만큼 인왕산의 산수가 좋았다는 것이지요. 먼저 겸재정선의 그림을 보고 그곳이 어딘지 찾는다.
|
|
|
|
2025.04.08 |
|
|
【문화】
지난 4월 5일 식목일에 나무들이 잘 자랄 수 있게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비 내리는 휴일, 경기도 양주에 있는 기산 저수지 수변 산책로를 걸어보았다. 벚꽃은 아직 피지 않았지만 주변에 카페(찻집)들도 많고 산과 저수지가 만들어 내는 운무(雲霧)로 산책하기 좋았다.
|
|
|
|
2023.07.28 |
|
|
【문화탐방】
최근 영등포구의 인구는 약 38만 명으로 서울의 작은 구(區)이며 주거 환경이 여의도를 제외하면 별로 좋은 편이 아닙니다. 영등포 지역은 경인선과 경부선이 만나는 교통 요지로 산이 없으며 샛강이 옆으로 흐르는 평평한 지역입니다. 여의도 공원이나 선유도 공원처럼 공원이 크고 많지 않으며 일제 강점기 후 방직공장, 맥주공장, 군수 공장 등의 공장지대로 발달하여 노동 운동의 한 면을 장식하였다. 또한 서울 부도심이지만 자연적으로 생긴 쪽방촌 및 집창촌이 있어 낙후된 이미지가 강해 개발 욕구는 크지만 속도는 더디다고 합니다.
|
|
|
|
2024.09.24 |
|
|
【관광】
추석 연휴에 둘러 본 제주입니다.
|
|
|
|
2020.05.18 |
|
|
【여행】
세검정(洗劍亭) 삼거리에 있는 석파랑(石坡廊, 서예가 손재형 옛 가옥)을 둘러봅니다. 봄의 정취를 느끼며 식사를 할 수 있는 한식당으로 운영 중이며 정원은 아름답게 꾸며져 있는데 그 내용에 대해 적습니다.
|
|
|
|
2024.07.15 |
|
【--】
집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가 가장 좋다고 하는데 서울 25개 구청별 맨발 걷기 장소를 알아봅니다.
|
2 | |
|
|
2023.09.04 |
|
|
【문화】
매년 9월이면 정기 국회가 열린다. 민의(民意)에 전당(殿堂)인 국회는 법률을 개정 및 제정하고, 정부에 대한 국정 감사 · 조사를 진행하며 다음 해 예산을 심의한다. 여의도 국회에 들어가기 참 어려운 때가 있었지만, 지금은 누구나 신분증 검사 없이, 어디 무슨일로 들어가냐고 물어보지도 않는다. 참으로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강산만이 아니라 세상도 많이 바뀌었다.
|
|
|
|
2024.06.28 |
|
【--】
가족과 여행 갈 때나 업무차 출장 갈 때 비행기를 타고 가는데 우리나라 국적 항공사 중 어떤 항공사가 보다 안전하고 정시에 출·도착을 잘하는지 3년(2021~2023) 동안 평가한 자료가 있어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 소개한다.
|
1 | |
|
|
2020.08.24 |
|
|
【여행】
휴일 서울 중랑구 용마 폭포 공원에 가보니 코로나 사태로 폭포는 가동 중단이다. 채석장을 공원으로 바꾼 용마폭포 공원을 한 바퀴 돌아보고 중랑 둘레길을 통해 몇 번 갔던 용마산 용마봉에 오르니 코로나19에 밀접, 밀폐, 밀집된 곳을 피해 건강을 유지하고저 산에 오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
|
|
|
2024.06.28 |
|
|
【문화】
가족과 여행 갈 때나 업무차 출장 갈 때 비행기를 타고 가는데 우리나라 국적 항공사 중 어떤 항공사가 보다 안전하고 정시에 출·도착을 잘하는지 3년(2021~2023) 동안 평가한 자료가 있어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 소개한다.
|
1 | |
|
|
2016.06.13 |
|
|
【여행】
가보고 싶어 사전 관람, 해설 예약한 종로구 가회동 백인제 가옥(서울시 민속 문화재 제22호)에 다녀왔습니다.
|
|
|
|
2024.06.25 |
|
|
【문화】
지난 3월에 발표한 기상천 공모 사진 수상작을 올려봅니다. 수상자 여러분 축하합니다!
|
(0) | |
|
|
2020.07.07 |
|
|
【여행】
경정릉에서 북악 하늘 전망대를 거치고 북악팔각정을 지나 백사실 계곡의 추사 김정희 별서(별장) 터에 대하여 이미 포스팅하였다. 백사실 계곡의 오솔길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는 길은 걷기 편한 흙길이다.
|
|
|
|
2024.06.14 |
|
|
【문화】
5월에 다녀왔던 서울 종로구 익선동을 다시 다녀왔다. 종로 3가 6번 출구를 중심으로 생긴 길거리 문화를 느끼고 이곳은 과거에 지나갔던 그곳과는 다른 세상이었다. 특히 야간에는 거의 불야성을 이룬다.
|
|
|
|
2019.07.08 |
|
|
【여행】
구름이 낀 휴일 근처의 서울 강서구 봉제산 둘레길을 걸었다. 나지막한 산인 봉제산(鳳啼山,117m)은 등촌동과 화곡동에 걸쳐 있다. 따라서 봉제산 둘레길(총 7km)은 여러 곳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중간에 노점과 배드민턴장, 쉼터, 체력 단련장 등으로 인근 주민들의 장소다..
|
|
|
|
2024.03.06 |
|
|
【관광】
제주 사려니 숲을 걸어보았다. 비를 맞는 삼(杉)나무가 쭉쭉 뻗은 곳에 무장애 데크길을 걸어보니 피톤치트가 더 많은 것 같다.
|
|
|
|
2019.01.31 |
|
|
【여행】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식물원과 공원을 결합한 "서울 식물원(Seoul Botanic Park, botanicpark.seoul.go.kr)"이 임시 개장했다. 5월에 정식 개장하는 서울 보타닉 파크는 주제원, 호수원, 열린숲, 습지원의 4개 영역, 약 50만㎡ 면적(여의도 공원의 2.2배)으로 식물도 배우고 시민들에게 여가와 휴식을 주고 시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만든 곳이다.
|
|
|
|
2024.03.03 |
|
|
【문화】
제주 함덕해수욕장 야경입니다. 추운 날씨였지만 휴대폰으로 ...
|
|
|
|
2019.10.18 |
|
|
【여행】
자유로 타고 한강변을 따라 달리다 보면 일산을 지나 파주에 다다르면 오두산 통일 전망대가 좌측에 눈에 들어온다. 오두산 바로 못 미쳐 우측에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 한눈에 들어오는 곳에 천년고찰 검단사(黔丹寺)가 있다. 사찰 뒷산(18세기 지도에 검단산이라 표시되어 검단산이라 칭함)에서의 전망은 엄청 좋으며 능선을 따라 걸어봤습니다.
|
|
|
|
2023.11.09 |
|
|
【관광】
강원도 춘천의 김유정 역에서 김유정 문학촌을 둘러보고 김유정이 태어난 금병산(金甁山, 652m) 아래 증리(시루 甑 + 마을里, 실레 마을의 실레는 "시루"의 사투리)의 실레 이야기 길을 다녀와 글을 올린다.
|
|
|
|
2016.03.05 |
|
|
【여행】
파주 보광사 방문기의 4번째로 응진전(나한전), 산신각, 원통전(관음전)에 대하여 포스팅한다.
|
|
|
|
2023.10.30 |
|
|
【여행】
주말에 충북 진천(鎭川)에 다녀왔다. 서울을 출발할 때 비가 내려 우산 가지고 가면서 일정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걱정했지만, 다행스럽게 진천에는 비가 오후 2시 넘어 비가 내려 다니는데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함께해 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
|
|
2015.10.12 |
|
|
【여행】
부여는 10여년 전에 다녀왔습니다.그 때와 지금이 다른 것은 백제 역사를 알고 간다는 것이지요.
|
|
|
|
2023.10.27 |
|
|
【여행】
서해선 지하철을 이용해 시흥 소래산과 성주산에 다녀와 후기를 적습니다. 소래산은 299.4m이고, 성주산 정상은 군부대가 점유하고 있어 정상에 올라갈 수 없었고 6각정자에서 소새울 역방향으로 내려왔습니다.
|
|
|
|
2025.06.20 |
|
|
【문화】
요즘 날씨가 더워졌다. 마포대교 위에서 한강과 유람선, 밤섬과 북한산 그리고 여의도의 애드벌룬이 보였다. 무더운 여름 시원한 한강바람을 품으면 어떨까?
|
|
|
|
2023.10.21 |
|
|
【여행】
조선 왕릉으로 2019년 개방한 온릉(溫陵,무료입장)은 조선 제11대 중종의 왕비 단경왕후(端敬王后) 거창신씨(居昌愼氏, 1487~1557)의 능이다. 단경왕후는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뒤 생전에 복위되지 못한 채 사망했기에 묘소가 친정 선산에 조성되었으며, 1739년(영조 15) 복위되면서 온릉(溫陵)으로 조성되었다.
|
|
|
|
2025.04.08 |
|
|
【문화】
지난 4월 5일 식목일에 나무들이 잘 자랄 수 있게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비 내리는 휴일, 경기도 양주에 있는 기산 저수지 수변 산책로를 걸어보았다. 벚꽃은 아직 피지 않았지만 주변에 카페(찻집)들도 많고 산과 저수지가 만들어 내는 운무(雲霧)로 산책하기 좋았다.
|
|
|
|
2023.10.18 |
|
|
【여행】
지난 달 중앙도서관에서 주관하는 부산 가는 행사(해방 공간)에 신청하였는데 운 좋게 선정되어 부산에 1박 2일 다녀왔다. 둘째 날 비가 내렸지만 풍경 몇 컷을 올려봅니다. 도움 주신 조갑상 교수, 도서관 여러분 감사합니다.
|
|
|
|
2023.06.11 |
|
|
【여행】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여 청와대가 개방한지 1년이 넘었다. 청와대는 이미 둘러보았고 청와대 위의 백악산 등산로까지 개방하였지만 가지 못했었다. 개방한지 오래되어 탐방객이 적을 거라 생각하여 청와대 뒤쪽을 등산하려고 춘추관 쪽에 갔으나 행사로 출입을 통제했다. 그날 행사가 있는 줄 일반인들은 어찌 미리 알 수 있으랴?
|
|
|
|
2023.09.08 |
|
|
【문화】
9월 8일은 24절기 중 백로(白露)로 백로는 이슬이 내리기 시작한다는 때다. 점점 가을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요 겨울을 대비하는 계절이다. 마찬가지로 국회도 올해 국정 전반에 대해 질문하고 내년도 예산을 심의한다. 오늘은 국회 산책로에 이어 국회에 가면 참관할 수 있는 국회의사당과 국회 박물관을 비롯하여 걸으면서 좋은 곳을 찾아보았다.
|
|
|
|
2021.12.06 |
|
|
【여행】
11월의 마지막 휴일에 몇 번 다녀온 안양의 삼성산(三聖山) 삼막사(三幕寺)에 또 다녀왔습니다. 갔었던 등산로를 이용하지 않고 아스팔트 도로를 따라 걸어 삼막사에 가보았습니다. 허가된 차량만 다니는 도로라 자전거 라이딩하시는 분들이 보입니다. 자전거로 힘들게 올라가시는 분들과 씽씽 신나게 내려가시는 분들이 보여 걸을 때 주의가 필요했지요. 그렇지만 도로 옆에 좋은 글귀와 위치를 표시한 안내판이 중간중간에 있어 좋았습니다.
|
|
|
|
2023.09.04 |
|
|
【문화】
매년 9월이면 정기 국회가 열린다. 민의(民意)에 전당(殿堂)인 국회는 법률을 개정 및 제정하고, 정부에 대한 국정 감사 · 조사를 진행하며 다음 해 예산을 심의한다. 여의도 국회에 들어가기 참 어려운 때가 있었지만, 지금은 누구나 신분증 검사 없이, 어디 무슨일로 들어가냐고 물어보지도 않는다. 참으로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강산만이 아니라 세상도 많이 바뀌었다.
|
|
|
|
2019.10.16 |
|
|
【여행】
경기도 파주 헤이리에서 오두산 통일 전망대 방향으로 가다 보면 좌측에 파주 국가대표 축구장이 나오고 옆에 천년고찰 검단사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검단사 주차장에는 파주 살래길(둘레길) 방향표지가 있다.
|
|
|
|
2023.07.28 |
|
|
【문화탐방】
최근 영등포구의 인구는 약 38만 명으로 서울의 작은 구(區)이며 주거 환경이 여의도를 제외하면 별로 좋은 편이 아닙니다. 영등포 지역은 경인선과 경부선이 만나는 교통 요지로 산이 없으며 샛강이 옆으로 흐르는 평평한 지역입니다. 여의도 공원이나 선유도 공원처럼 공원이 크고 많지 않으며 일제 강점기 후 방직공장, 맥주공장, 군수 공장 등의 공장지대로 발달하여 노동 운동의 한 면을 장식하였다. 또한 서울 부도심이지만 자연적으로 생긴 쪽방촌 및 집창촌이 있어 낙후된 이미지가 강해 개발 욕구는 크지만 속도는 더디다고 합니다.
|
|
|
|
2016.06.09 |
|
|
【여행】
서울 북촌(종로구 계동)에는 인촌 김성수(仁村 金性洙,1891~1955, 65세) 선생이 살았던 고택이 있습니다. 개방을 하지 않아 안을 볼 수 없으며 오직 안내판이 있을 뿐입니다.
|
|
|
|
2023.07.09 |
|
|
【여행】
지난 6월 원주에 사는 동창을 만나 뮤지엄 산과 소금산 출렁다리, 잔도, 스카이 타워, 울렁다리를 함께 식사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기에 사진 몇장을 올립니다.
|
|
|
|
2015.09.25 |
|
|
【여행】
추분이 지나고 한가위가 가까이 오고 있다. 겸재 정선의 장동8경첩의 마지막편이다.
|
|
|
|
2023.06.11 |
|
|
【여행】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여 청와대가 개방한지 1년이 넘었다. 청와대는 이미 둘러보았고 청와대 위의 백악산 등산로까지 개방하였지만 가지 못했었다. 개방한지 오래되어 탐방객이 적을 거라 생각하여 청와대 뒤쪽을 등산하려고 춘추관 쪽에 갔으나 행사로 출입을 통제했다. 그날 행사가 있는 줄 일반인들은 어찌 미리 알 수 있으랴?
|
|
|
|
2016.04.30 |
|
|
【여행】
2016년 5월의 첫날이자 첫 일요일인 1일은 근로자의 날이며 종묘에서 종묘대제가 봉행되는 날로 종묘대제에 대하여 미리 알아본다.
|
|
|
|
2023.06.03 |
|
|
【여행】
몇 년 전에 다녀온 임진각 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있다. 민통선 안에 안 가고 멀리 북한 땅이 보이고 실향민들이 북한 고향을 그리워 제사지내는 망배단이 있는 곳, 녹슨 열차가 있는 곳, 그리고 평화누리 공원이 있으며 민통선 안에 들어가려면 들리는 곳으로 알고 있는데 가보니 곤돌라 등 놀이 시설과 평화누리 공연장 옆에 캠핑장이 새롭게 보였다. 안보 중심 관광지에서 국민들 휴식시설과 놀이시설로 잠차 바뀌고 있다. 숲길 찾기 어려워 날씨에 맞는 모자와 복장 및 신발을 준비하세요!
|
|
|
|
2016.03.03 |
|
|
【여행】
새로 지은 해탈문에서 부도전을 지나 만세루와 만세루에 걸린 목어(木魚)를 설명한데 이어 오늘은 보광사 범종과 영각전 및 석불전에 대하여 포스팅한다.
|
|
|
|
2023.05.21 |
|
|
【여행】
서울 서대문 구청 옆의 홍제천에 인공으로 폭포를 만들어 시민들의 휴식처로 제공하고 있으며 폭포 위쪽으로 꽃 동산이 자리 잡고 있어 한번 가봤습니다.
|
|
|
|
2020.05.26 |
|
|
【여행】
세검정 삼거리의 석파랑(서예가 손재형 옛 가옥)에서 세검정로를 따라 올라가면 세검정(洗劍亭)이 나온다.
|
|
|
|
2023.03.08 |
|
|
【여행】
제주도 1박2일 여행이라면 어디를 갈까?
|
|
|
|
2018.09.26 |
|
|
【여행】
추석 연휴를 잘 보내셨는지요? 경인 아라뱃길의 시작점인 인천 정서진과 아라폭포(인공폭포)에 이어 매화동산으로 마무리합니다.
|
|
|
|
2022.10.24 |
|
|
【여행】
소나무(松. Pine) 하면 얼른 떠오르는 울진 소광리 대왕 소나무(아래 좌측, 연합뉴스 사진) 과 세금 내는 예천의 석송령(石松靈, 아래 우측, 이호신 화가님) 그리고 속리산 정 2품송(正2品松)이 생각납니다. 다녀온 정 2품 소나무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
|
|
|
2015.09.24 |
|
|
【여행】
겸재 정선의 인왕산과 백악산의 장동8경 그림첩 속에 있는 장소를 찾아가는 것으로 전편의 필운대, 백호정, 수성동 계곡에서 통인시장을 우측으로 하고 송석원 터(松石園址), 자수궁 터(慈壽宮址), 인곡정사 터(仁谷精舍), 가재우물 터, 청휘각(晴暉閣) 안내판이 있는 곳으로 갑니다.
|
|
|
|
2022.09.30 |
|
|
【여행】
서울 성북구 우이동과 경기도 양주시 교현리를 연결하는 우이령( 소귀고개) 길에 다시 다녀왔습니다
|
|
|
|
2022.10.24 |
|
|
【여행】
소나무(松. Pine) 하면 얼른 떠오르는 울진 소광리 대왕 소나무(아래 좌측, 연합뉴스 사진) 과 세금 내는 예천의 석송령(石松靈, 아래 우측, 이호신 화가님) 그리고 속리산 정 2품송(正2品松)이 생각납니다. 다녀온 정 2품 소나무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
|
|
|
2022.07.31 |
|
|
【여행】
지난 일요일 국립 광릉 수목원(최영태 원장)에 다녀왔습니다. 비가 내릴 거라는 예보가 있었지만 구름만 끼었고 비는 내리지 않아 다행이었습니다.
|
|
|
|
2020.03.02 |
|
|
【여행】
강화도 정족산성 안에 있는 전등사(대한 불교 조계종 소속)에 다녀와 본 것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정족산성(삼랑성) 동문,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 공격을 막아낸 양헌수 승전비(梁憲洙 勝戰碑), 소나무 사이로 난 흙길, 대조루(對潮樓), 기와 교체 공사 중인 대웅보전(大雄寶殿), 중생의 질병을 고쳐준다는 약사여래가 있는 약사전(藥師殿)을 이미 소개했고 오늘은 명부전(冥府殿), 삼성각(三聖閣), 극락암(極樂庵), 약수터 및 송나라 철종(鐵鐘)이 있는 종각과 사물(운판, 법고, 범종, 목어)이 있는 범종각(현판 없음)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
2022.05.22 |
|
|
【여행】
코로나19로 인해 제한적이던 해외여행이 정부의 해외 입국자에 대한 자가 격리 면제 조치로 급격하게 늘어날 전망이다. 여행 가는 설렘에 면세점 쇼핑이 빠질 순 없어 면세점의 면세 한도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
|
|
2019.05.11 |
|
|
【여행】
2563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휴일, 201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산에 있는 7개 사찰 중의 하나인 공주 마곡사에 다녀왔습니다.
|
|
|
|
2021.12.06 |
|
|
【여행】
11월의 마지막 휴일에 몇 번 다녀온 안양의 삼성산(三聖山) 삼막사(三幕寺)에 또 다녀왔습니다. 갔었던 등산로를 이용하지 않고 아스팔트 도로를 따라 걸어 삼막사에 가보았습니다. 허가된 차량만 다니는 도로라 자전거 라이딩하시는 분들이 보입니다. 자전거로 힘들게 올라가시는 분들과 씽씽 신나게 내려가시는 분들이 보여 걸을 때 주의가 필요했지요. 그렇지만 도로 옆에 좋은 글귀와 위치를 표시한 안내판이 중간중간에 있어 좋았습니다.
|
|
|
|
2019.05.02 |
|
|
【여행】
충남 서산 상왕산(象王山)아래 마음을 연다는 개심사(開心寺)에 다녀와 후기를 적고 있다. 지난번 일주문(一柱門), 사각형 연못, 범종각(梵鐘閣), 안양루(安養樓)에 이어 사찰 중심인 대웅보전(大雄寶殿)과 주변 건물인 무량수각, 심검당, 5층 석탑에 대해 알아본다. 대웅보전(1484년 중창, 보물 143호)과 그 안의 목조 아미타불 좌상(고려 후기, 보물 1619호)은 1592년 임진왜란 피해를 받지 않아 원형에 가깝게 볼 수 있었다.
|
|
|
|
2021.11.02 |
|
|
【여행】
지난 10월에 고양시 행주산성과 행주산성 둘레길을 걸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은 행주산성에서 왜군 3만명을 권율 장군 지휘하에 2,300명이 물리친 전승지로 역사적인 장소입니다.
|
|
|
|
2015.11.29 |
|
|
【여행】
이미 수종사의 일출, 수종사와 세조 관련 스토리, 일주문부터 대웅보전까지는 포스팅했다. 오늘은 수종사에서 제일 높은 산령각(山靈閣), 응진전(應眞殿), 종각(鐘閣) 그리고 해탈문(解脫門)에 대해 포스팅한다.
|
|
|
|
2021.10.29 |
|
|
【여행】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다. 일본은 독도가 자기 나라 땅이라 우기고 있다. 역사적 자료로 보거나 한국이 실질 지배를 하고 있는데 말이다. 독도의 날을 맞이하여 임진왜란 때 왜군을 크게 무찌른 행주대첩의 행주산성(幸州山城. 사적 56호. 무료입장. 월요일 휴관)과 한강을 낀 행주산성 둘레길을 걸었습니다.
|
|
|
|
2015.09.19 |
|
|
【여행】
1편에 올려야 했던 내용으로 <산수화>란 책을 펴낸 고연희 교수. 성심 성의를 다하는 강의 모습이 선하다.
|
|
|
|
2021.10.05 |
|
|
【여행】
서울을 남북으로 갈라놓고 동서로 흐르는 한강에 놓인 한강 대교 가운데 노들섬이 음악 중심의 복합 문화공간으로 2019년 9월 개장했다고 하여 한강 대교 남단의 용양봉저정 공원(전망대)을 둘러보고 한강 대교의 하류 쪽 인도를 통해 노들섬까지 걸어갔습니다.
|
|
|
|
2015.04.22 |
|
|
【여행】
대구 달성군 비슬산 제18회 진달래축제가 시작하는 4월 18일에 친구와 함께 다녀왔습니다.
|
|
|
|
2021.09.29 |
|
|
【여행】
6.25 전쟁(1950.6.25~1953.7.27) 때 서울을 수복하고 국군이 38선을 돌파해 북한으로 진격하는 날을 기념해 만든 10월 1일은 국군의 날이다. 국군의 날을 맞이하여 미리 서울 용산의 옛 육군본부 자리에 세워진 전쟁 기념관 (The War Memorial Of Korea)에 다녀와 포스팅합니다.
|
|
|
|
2023.10.30 |
|
|
【여행】
주말에 충북 진천(鎭川)에 다녀왔다. 서울을 출발할 때 비가 내려 우산 가지고 가면서 일정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걱정했지만, 다행스럽게 진천에는 비가 오후 2시 넘어 비가 내려 다니는데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함께해 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
|
|
2021.09.24 |
|
|
【여행】
며칠 전 한강과 북한산, 인왕산, 남산, 노들섬 그리고 한강대교, 한강철교, 원효대교, 서강대교, 성산대교 등이 아주 잘 보이는 용양봉저정(龍驤鳳䎝亭) 공원 전망대에 다녀와 포스팅합니다. 공원 이름이 특이한 것은 정조 임금이 부친인 사도세자 묘(융릉)를 수원 화성에 모셨고 그곳으로 오갈 때 한강 다리에 배다리(주교, 舟橋)를 놓아 한강 남단(동작구 본동)에서 쉬던 장소를 용양봉저정이라 지었답니다.
|
|
|
|
2021.10.05 |
|
|
【여행】
서울을 남북으로 갈라놓고 동서로 흐르는 한강에 놓인 한강 대교 가운데 노들섬이 음악 중심의 복합 문화공간으로 2019년 9월 개장했다고 하여 한강 대교 남단의 용양봉저정 공원(전망대)을 둘러보고 한강 대교의 하류 쪽 인도를 통해 노들섬까지 걸어갔습니다.
|
|
|
|
2021.09.10 |
|
|
【여행】
서울 서대문구 백련사를 둘러보고 백련산 정상과 둘레길인 초록 숲길을 걸어보았다. 편안한 숲길에서 만나는 3곳의 전망대에서는 북한산(삼각산), 인왕산, 남산 타워, 안산, 관악산과 멀리 인천 계양산까지 보입니다.
|
|
|
|
2020.11.30 |
|
|
【여행】
2019년 한국에는 968개의 전통 사찰(절, 가람, 승원)이 등록되어 있으며 총 사찰 수는 17,100 개로 추정합니다. 유명한 사찰들은 전망이 좋은 산자락이나 풍광 좋은 곳에 위치해 아름답습니다.
|
|
|
|
2021.09.06 |
|
|
【여행】
서울 서대문구 백련산(228m) 기슭의 백련사(白蓮寺)에 다녀와 포스팅합니다.
|
|
|
|
2020.10.19 |
|
|
【여행】
시화 방조제의 "달 전망대"와 "시화 나래 공원"을 지나 대부도로 진입해서 제일 가보고 싶은 곳은 대부 해솔길 1코스의 "구봉도 낙조 전망대(Sunset Observatory)"다. 1코스는 산행 구간과 해안 구간으로 이뤄졌으며, 주차장에서 "개미허리 아치교"까지 가는데 산행 구간보다 바다가 보이는 해안 길이 더 좋았다.
|
|
|
|
2021.08.21 |
|
|
【여행】
서울 마포 상암동과 영등포구 양펑동을 연결하는 서울 월드컵 대교가 올 9월에 개통된다고 하여 잘 보이는 곳을 찾다 억새로 유명한 하늘공원에 다녀왔습니다.
|
|
|
|
2020.06.23 |
|
|
【여행】
성북구 정릉과 사직공원을 연결하는 드라이브 코스인 북악 스카이웨이는 자동차 전용 도로였다가 노무현 대통령 때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물론 군부대 지역이 있어 제한적이지만 정릉의 하늘 한마당에서 하늘 전망대를 거쳐 북악 팔각정을 지나 세검정쪽으로 내려왔다. 찻길 옆이지만 한번 걸어볼 만한 코스다.
|
|
|
|
2021.08.17 |
|
|
【여행】
2002년 한일 월드컵은 신나고 즐거워 한마음으로 응원했습니다. 서울 월드컵 경기장에서 가까운 마포구 상암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이어주는 월드컵 대교 공사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
|
|
2020.04.01 |
|
|
【여행】
봄이면 꽃구경을 해야 제대로 봄이 온 것 같은데 올핸 그렇지 못하다.
|
|
|
|
2021.07.29 |
|
|
【여행】
휴일 경기 시흥 연꽃 테마파크에 다녀왔다. 가보니 넓은 곳을 연꽃들이 아직 만개하지 않았고 그늘이 필요한데 원두막은 코로나로 폐쇄되었고 전망대도 입구가 막혀 있다. 그렇지만 몇몇 분은 멋진 사진을 담으려고 망원렌즈에 양산도 준비하셨다. 이곳 연꽃 구경은 8월 초,중순이 좋을 듯하다
|
|
|
|
2019.10.03 |
|
|
【여행】
지난 9월 28일 김포 지하철(김포공항 ↔양촌)이 개통되었다. 한번 타보고 싶어 지하철로 갈 수 있는 김포지역의 갈 만한 곳의 하나인 김포 장릉과 주변을 둘러보았다. 김포공항 지하철 환승역에서 김포 지하철(2량)을 타고 사우역(김포시청)에 내려 3번 출구로 나왔다. 직진해 우측에 김포 시청을 끼고 약 15분 걸으면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된 장릉(章陵)이다. 장릉을 관람하고 장릉을 둘러싼 장릉산(150m) 둘레길을 돌았다..
|
|
|
|
2021.07.23 |
|
|
【여행】
연(蓮)은 흙탕물에서 자라면서 맑고 향기로운 꽃을 피워, 더러움 속에서 물들지 않고 청정함으로 피어난다는 부처의 상징이며 군자의 풍모를 지녔다 하여 선비들이 사랑한 꽃으로 알려져있다.
|
|
|
|
2018.10.17 |
|
|
【여행】
남·북·미 관계 개선과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문대통령의 2018년 유럽 순방 때 교황(敎皇)의 북한 방문을 성사시키고자 10월 18일 교황을 만나 초청의사를 전달한다. 교황의 북한 첫 방문이 이뤄지길 바란다.
|
|
|
|
2021.07.05 |
|
|
【여행】
서울 둘레길 8코스 걷기 중 우이동 도선사로 가는 방향 표시가 보였다. 그래서 8코스 마지막 날 조계종 소속의 우이동 도선사에 다녀왔다. 삼각산(북한산) 도선사하면 ①음양 풍수설로 유명한 도선국사가 지었고 ②마애불 입상(磨崖佛立像)이 있으며 ③ 1960년대 청담 대종사(靑潭大宗師)가 사찰을 다시 세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
|
|
|
2018.10.03 |
|
|
【여행】
추석 연휴 때 운현궁(雲峴宮)에서 창덕궁(昌德宮, 추석 연휴 무료 입장)으로 간다. 경복궁처럼 대칭이 아니고 자연 지형과 조화를 이룬 창덕궁은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경복궁이 다시 지어질 때까지 조선의 중심이었으며,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1883년 고종(高宗)이 어려 아버지 흥선대원군이 섭정을 할 때 창덕궁과 운현궁은 연결되어 있었지만 일제 강점기에 율곡로가 생기면서 갈라졌다. 창덕궁 전각(殿閣)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
|
|
|
2021.06.29 |
|
|
【여행】
서울 둘레길 8 코스(구파발~ 도봉산역)의 아직 못 걸은 마지막 구간(우이역~ 도봉산역)은 도봉산역에서 우이역을 지나 우이동 도선사까지 걸어 전 구간 157km를 마무리 지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니 지도를 보지 않아 좋았고 이정표를 따라 걸으니 편하네요! 서울 둘레길 8코스는 북한산 둘레길과 겹치는 구간으로 북한산과 도봉산을 잘 볼 수 있지만 너무 긴 34.5km의 코스다.
|
|
|
|
2018.05.21 |
|
|
【여행】
|
|
|
|
2021.06.23 |
|
|
【여행】
서울 둘레길 8코스는(구파발역~도봉산역) 총 34.5km다. 구파발에서 평창동을 거쳐 정릉을 지났지만 아직 걷지 못한 화계사 입구에서 우이역(흰 구름길~순례길~소나무 숲길)까지 걸었다. 빨리 걸으면 금방 갈 수 있지만 맛있는 음식을 아껴 먹듯 여유 있게 걸었다. 이제 남은 구간은 7.4km이다.
|
|
|
|
2015.07.22 |
|
|
【여행】
7월 16일 사전 예약한 경복궁 경회루(국보 제224호) 내부를 40분간 관람하였다. 경복궁에 여러 번 다녔지만 경회루 안을 보지 못해 이번 기회에 문화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돌아봤다.
|
|
|
|
2021.06.16 |
|
|
【여행】
서울 둘레길 8코스(구파발역~도봉산역, 34.5km)를 걷고 있습니다. 구파발역에서 구기동까지(구름정원길~옛성길)는 이미 걸었고, 이어 구기동에서 화계사 입구(평창마을길~명상길~솔샘길~흰구름길)까지 걸었습니다. 평창동 둘레길은 그늘이 없는 포장도로라 다른 구간보다 걷기엔 별로였다. 솔샘길 중간의 숲속 북한산 자락길(정릉 초등학교 옆)은 편안한 무장애 나무 데크로 걷는 분들이 많네요!
|
|
|
|
2015.06.04 |
|
|
【여행】
누구나 여행 후기를 잘 쓰고 싶어 한다. 재미나게 쓰고 싶다. 나도 마찬가지다. 여행 글쓰기 대한 강의를 듣고 여행작가분과 동행하는 강화도 여행후기다. 115년 된 한옥성당인 대한성공회 강화성당과 강화도령이 살던 용흥궁 후기에 이어 오늘은 제3편 고려궁지(高麗宮址.궁궐터)와 강화산성에 대하여 포스팅한다.
|
|
|
|
2021.06.10 |
|
|
【여행】
서울 둘레길 8코스(구파발역~도봉산역, 총 34.5km, 중급 코스)를 걸어 서울 둘레길 걷기를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우선 구파발역에서 구기동까지(구름 정원 길+ 옛성길) 걷다 보면 보이는 개천, 다리, 꽃, 전망대, 북한산, 숲, 사찰 등 사진을 올립니다. 서울 둘레길 8코스는 북한산 둘레길 구간과 같지만 이정표는 따로 표시하고 있네요!
|
|
|
|
2022.07.31 |
|
|
【여행】
지난 일요일 국립 광릉 수목원(최영태 원장)에 다녀왔습니다. 비가 내릴 거라는 예보가 있었지만 구름만 끼었고 비는 내리지 않아 다행이었습니다.
|
|
|
|
2021.06.07 |
|
|
【여행】
강원도 동해시 두타산 베틀바위를 보고 무릉 계곡으로 내려오면 천년고찰이라는 삼화사가 보인다. 미국 CNN이 선정한 한국의 아름다운 절에 선정되었던 삼화사는 무릉 계곡 관리사무소에서 올라오는 우측에 있습니다.
|
|
|
|
2021.03.26 |
|
|
【여행】
조선 태조 이성계가 기도했다는 의정부 석굴암(회룡사 위쪽)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
|
|
|
2021.06.01 |
|
|
【여행】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두타산 베틀바위에 다녀왔습니다. 550m 높이의 베틀바위는 2020년 8월 개방된 곳으로 뾰족하게 솟은 바위들이 절경(絶景)이네요. 40년간 출입 금지로 오래된 소나무 군락이 기암괴석과 잘 어우러져 있으며 새로 만든 산행길로 이정표가 잘 돼있고 안전하므로 한번 다녀오시길 추천합니다. 아울러 단원 김홍도 화가가 그릴 정도로 멋있는 무릉 계곡도 함께 보실 수 있어 더 좋습니다.
|
|
|
|
2020.06.15 |
|
|
【여행】
서울 북한산(836 m)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방문객이 가장 많은 산으로 서울의 허파 역할을 한다. 삼각산으로 불리는 북한산은 북한산 둘레길(21구간으로 구성, 총 71.5km), 서울 둘레길 8 코스(구파발역~도봉산역), 그리고 북한산 자락길 코스(서대문구, 성북구)가 있다. 이름만 들어서는 구별이 잘 안된다.
|
|
|
|
2021.05.24 |
|
|
【여행】
수락산에서 내려오는 길에 둘러 본 학림사는 원효(616~686)대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었으며 중수를 거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비탈길에 지어진 작고 조용한 절로 옛 건물은 적지만 멀리 불암산이 보이는 풍광은 좋은 위치임을 알려준다.
|
|
|
|
2020.01.09 |
|
|
【문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서원(조선 중기 이후 학문 연구와 선현제향 先賢祭享을 위하여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에 대해 적습니다. 영주의 "소수서원"에 이어 오늘은 경주 "옥산서원"에 알아봅니다. 경주 옥산서원은 1572년 세워졌고 1574년 "옥산(玉山)"이란 편액을 받은 사액(賜額,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음)서원으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1491~1553)을 모시는 서원입니다. 특히 회재가 머물던 독락당은 아름다운 주변 경관과 잘 어울립니다.
|
|
|
|
2021.05.17 |
|
|
【여행】
휴일(5/9) 경기 남양주의 수락산(水落山) 흥국사에서 수락산으로 갔다가 수락산 학림사(鶴琳寺) 쪽으로 내려왔습니다. 흥국사란 사찰 이름은 고양시 노고산, 여수 등에 있지요
|
|
|
|
2019.10.30 |
|
|
【여행】
폐 채석장을 에머랄드 빛 호수와 예술 공간으로 만든 포천 아트밸리에서 명성산 억새축제장과 산정호수로 가려고 출발했다. 도로가 차량으로 차있어 명성산 억새장은 포기하고 산정호수를 돌아보려고 산정호수 하동 주차장에 주차하고 호수변을 산책하였다.
|
|
|
|
2021.05.14 |
|
|
【여행】
서울 둘레길 1코스 구간을 걷다 다녀온 조계종 소속의 학도암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
4 | |
|
|
2019.10.21 |
|
|
【여행】
파주 오두산 통일 전망대(統一 展望臺)에 오랜만에 다녀왔습니다. 오두산 전망대(3,000원/성인)는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군사 요충지로 북한 땅이 보이는 곳에 세워진 건물입니다. 북한의 관산과 약 2.1km 떨어져 있고 이곳 망원경으로 임진강 너머 북한 주민이 보이네요!
|
|
|
|
2021.05.10 |
|
|
【여행】
서울 둘레길을 오랜만에 걸어 보고 싶었다. 이번 봄엔 난이도가 높아 힘들다는 1코스 도봉산역에서 당고개역을 지나 화랑대역 구간을 걸었다. 수락(638m)과 불암산(508m) 옆을 통과하는 코스라 오르막과 내리막이 많았고 전망대도 여러 개이며 특히 당고개에서 화랑대역 구간(1-2)의 숲속 길은 길고 많았다.
|
(0) | |
|
|
2019.10.10 |
|
|
【여행】
휴일 새로 개통한 김포 지하철을 타고 김포 장릉(章陵. 사적 제201호, 인조의 부모능)을 돌아봤다. 아시다시피 조선 왕릉은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문화재청에서 유지 관리하고 있다. 왕릉이 비슷비슷해 별 재미가 없지만 아는 만큼 보이므로 장릉에 대하여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고 산책로와 연지(蓮池) 및 저수지를 걸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