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5년
2015년 12월
2015년 12월 29일
2015년 12월 28일
2015년 12월 27일
2015년 12월 14일
2015년 12월 13일
2015년 12월 12일
2015년 12월 11일
2015년 12월 10일
2015년 12월 9일
2015년 12월 8일
2015년 12월 7일
2015년 12월 1일
2015년 11월
2015년 11월 30일
2015년 11월 29일
2015년 11월 28일
2015년 11월 27일
2015년 11월 26일
2015년 11월 13일
2015년 11월 7일
2015년 11월 6일
2015년 11월 5일
2015년 11월 2일
2015년 11월 1일
2015년 10월
2015년 10월 31일
2015년 10월 29일
2015년 10월 27일
2015년 10월 26일
2015년 10월 25일
2015년 10월 24일
2015년 10월 23일
2015년 10월 22일
2015년 10월 21일
2015년 10월 20일
2015년 10월 16일
2015년 10월 15일
2015년 10월 14일
2015년 10월 13일
2015년 10월 12일
2015년 10월 11일
2015년 10월 10일
2015년 10월 9일
2015년 9월
2015년 9월 26일
2015년 9월 25일
2015년 9월 24일
2015년 9월 23일
2015년 9월 22일
2015년 9월 20일
2015년 9월 19일
2015년 9월 18일
2015년 9월 11일
2015년 9월 9일
2015년 9월 8일
2015년 9월 1일
2015년 8월
2015년 8월 25일
2015년 8월 16일
2015년 8월 3일
2015년 8월 1일
2015년 7월
2015년 7월 30일
2015년 7월 29일
2015년 7월 27일
2015년 7월 22일
2015년 7월 20일
2015년 7월 16일
2015년 7월 9일
2015년 7월 6일
2015년 7월 2일
2015년 7월 1일
2015년 6월
2015년 6월 26일
2015년 6월 16일
2015년 6월 15일
2015년 6월 9일
2015년 6월 8일
2015년 6월 5일
2015년 6월 4일
2015년 6월 2일
2015년 6월 1일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5월 28일
2015년 5월 27일
2015년 5월 26일
2015년 5월 22일
2015년 5월 21일
2015년 5월 19일
2015년 5월 17일
2015년 5월 15일
2015년 5월 13일
2015년 5월 11일
2015년 5월 9일
2015년 5월 8일
2015년 5월 6일
2015년 5월 4일
2015년 5월 2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27일
2015년 4월 24일
2015년 4월 22일
대구 비슬산 대견사, 진달래 축제 (2015.4.22)
2015년 4월 18일
2015년 4월 11일
2015년 4월 8일
2015년 4월 5일
2015년 3월
2015년 3월 24일
2015년 3월 6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21일
2015년 2월 20일
2015년 2월 12일
2015년 2월 11일
2015년 2월 7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28일
2015년 1월 27일
2015년 1월 25일
2015년 1월 11일
2015년 1월 7일
2015년 1월 2일
about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내서재
추천 : 0
달성군(達城郡) # 대견사 # 비슬산 # 진달래 축제
【여행】
(2017.11.17. 10:39) 
◈ 대구 비슬산 대견사, 진달래 축제 (2015.4.22)
대구 달성군 비슬산 제18회 진달래축제가 시작하는 4월 18일에 친구와 함께 다녀왔습니다.
대구 달성군 비슬산 제18회 진달래축제가 시작하는 4월 18일에 친구와 함께 다녀왔습니다. 몇년 전 강화도 진달래 축제에 참가한 기억을 가지고 비슬산 진달래 축제에 갔지만 아직 진달래가 피지 않아 보지 못해 참 아쉬웠지요. 만개하려면 최소한 일주일 정도는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여행 개요
▶ 일시 : 2015년 4월 18일(토)
▶ 코스 : 유가사 코스를 들머리로 천왕봉(1084m)으로 대견봉(1035m)을 거쳐 비슬산 자연휴양림으로 내려오려고 정했으나, 참꽃축제 기간 동안의 교통 통제로 버스의 진입이 불가하여 코스를 변경하여 자연휴양림으로 시작해서 대견사를 거쳐 대견봉(1035m)에서 다시 휴양림으로 내려왔습니다.
▶ 소요거리 약 7.5km이며 약4시간 소요
▶ 특징 : 휴양림 구간은 아스팔트, 휴양림에서 대견사 구간은 계단이 대부분이었고 대견사 옆에 레이더 관측소가 있어 전기자동차(축제 기간은 25인승 버스)를 이용해 대견사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 그럼 사진 속 여행으로 갑니다.
 
고속도로 선산휴게소에서 중간 휴식
 
하차한 공영 주차장의 등산 안내도
 
주차장에서 소요거리 이정표
 
주차장에서 자연휴양림 가는길
 
 
비슬산 자연휴양림
 
비슬산 자연휴양림은 대구의 남쪽에 위치한 해발1,084m의 비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435호인 비슬산 암괴류와 천년고찰인 유가사와 소재사, 용봉동 석불입상, 대견사 삼층석탑 등 수많은 불교문화유적이 산재하고 있으며 울창한 숲과 통나무집, 콘도, 청소년수련장, 야영장 등 각종 편의시설이 고루 갖추어진 현대와 자연이 어우러진 천혜의 휴식공간입니다.
 
특히 4월하순부터 해발1,000m지점의 1,000,000m²(약30만평정도)의 광활한 평원에는 참꽃이 만발하여 온 산을 붉게 물들이고 대견봉에서 조화봉까지의 능선을 따라 피어나는 수많은 야생화 그리고 5월 초순에는 철쭉이 장관을 이루며 여름철에는 피서와 야영지로, 가을에는 억새풀과 단풍이, 겨울에는 웅장한 얼음동산과 겨울산행으로 전국 각지의 관광객들이 즐겨 찾고 있는 사계절 전천후 관광의 명소입니다
 
 
계곡
 
비슬산 소재사(消災寺)
 
재앙을 없앤다는 의미의 절 이름은 창건 당시 이름인지도 알 수는 없으나, 대구 광역시 비슬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소재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입니다. 신라 때 창건되었다고 추정되며 1358년(고려 공민왕 7) 진보(眞寶)가 중창한 뒤 1457년(조선 세조 3) 활륜(活輪), 1510년(중종 5) 외암(外巖)이 각각 중건하고 1857년(철종 8)에 법로(法盧)가 중수한 바 있습니다.
 
 
 
제 18회 비슬산 참꽃(진달래 꽃) 축제
2015. 4.18 ~ 26
 
 
 
 
비슬산 자연 휴양림 콘도
 
 
암괴류(岩塊流) : 천연기념물 제435호로 각진 거력으로 이루어진 다량의 암괴가 사면의 최대경사방향 또는 골짜기를 따라 흘러내리는 듯한 상태로 쌓여 형성된 거의 혀 모양의 평면형을 가진 지형을 말합니다.
 
 
 
전기 자동차
 
 
대견사 가는 갈림길로 산길은 2km, 임도(林道)는 4.3km
 
산길
 
 
대견사까지 올라오는 자동차도로가 3층탑 뒤로 보입니다.
 
비비면 생강냄새가 나는 생강나무입니다.
 
암괴류 관찰 전망대에서 찍었습니다.
 
계단이 많습니다.
 
아직 피지 않은 참꽃(진달래) 군락지 : 2015.4.18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김소월 -
 
 
 
 
참선바위
 
 
소원 성취 , 무병장수한다는 기바위
 
형제바위
 
상감바위
 
대견사(大見寺)
 
대견사의 창건에 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으나, 중국 당나라 황제가 절을 지을 곳을 찾던 중 세숫물을 떠놓은 대야에 아름다운 경관이 나타나 이곳을 발견하고 9세기 신라 헌덕왕 때 사찰을 건립하였으며, 대국에서 보였던 절터라 하여 '大見寺'라 하였다는 전설이 전하며, 1227년 일연스님(삼국유사)이 22세의 나이에 승과에 장원급제하여 초임주지로 임명받아 10년간 주석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창건 후 대견사의 역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조선왕조실록』에 대견사의 장육관음석상이 땀을 흘렸다고 조정에 두 차례 보고된 기록(1416년, 1423년)이 남아 있을 뿐이고 절이 폐사된 시기 또한 명확하지 않으며, 1900년(광무4) 영친왕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이재인이 중창하였으나, 1908년(융희 2) 허물어지기 시작하여 1917년에 폐사되었습니다.
 
2002년에 실시된 문화재 발굴(시굴)조사에서는 추정건물지 6동, 초석, 암·수막새편 등이 확인되었고, 특히 출토된 암막새에서 '大見寺'의 명문이 확인되어 그 동안 전설로만 구전되어 오던 대견사의 정확한 명칭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와편에 남아있는 '만력 39년' (1611년), '숭정 6년'(1633년) 등의 연호를 통해 1633년까지는 사찰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대견사는 통일신라 혹은 고려 초기에 세워져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중수· 중창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2014년 3월 ‘천년 고찰’ 비슬산 대견사는 강제폐사 100년 만에 중창하여『대견보궁』 현판을 내걸고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시는 적멸보궁, 선당, 산식각, 요사체를 포함한 4개동의 연면적 186㎡ 규모입니다.
 
 
 
 
대견사지 삼층석탑은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42호입니다.
 
 
 
연등이 걸려있습니다.
 
 
 
대견사 마애불
 
 
바위에 붙어 있는 동전들
 
KBS 연속극 "추노" 촬영지 인 대견사탑입니다.
 
주변에 부처바위, 거북바위, 코끼리바위가 있습니다
 
 
대견봉 전망대에서 멀리 레이더 관측소가 보입니다.
 
 
● 비슬산(琵瑟山)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달성군지』에는 비슬산을 일명 포산(苞山)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포산은 수목에 덮여 있는 산이란 뜻입니다. 『내고장 전통 가꾸기』(1981년 간행)에 보면 비슬산은 소슬산(所瑟山)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인도의 범어로 부를 때 일컫는 말이며 중국말로는 포산(苞山)이란 뜻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신라시대에 인도의 스님이 우리나라에 놀러 왔다가 인도식 발음으로 비슬(琵瑟)이라고 해서 이름을 붙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유가사사적(瑜伽寺寺蹟)』에는 산의 모습이 거문고와 같아서 비슬산(琵瑟山)이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일설에 비슬산은 산꼭대기에 있는 바위의 모습이 마치 신선이 거문고를 타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비슬산이라 불렸다고도 합니다
 
북쪽의 팔공산과 더불어 대구의 명산으로 남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비슬산은 대구 앞산에서부터 경산시와 청도군 및 경남 창녕군과 경계를 이루면서 달성군의 가창, 화원, 옥포, 논공, 현풍, 유가등 6개 읍면에 걸쳐 뻗어 있는 큰산으로서 최고봉인 천왕봉天王峰 (해발 1,083.6m)을 중심으로 대견봉, 월광봉, 팔봉, 석검봉, 수도봉을 비롯한 많은 산봉우리들이 수려한 자태를 뽐내고 있으며 빼어난 산세와 계절마다 달리하는 아름다운 모습은 많은 사람들을 불러 모으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용연사(龍淵寺), 유가사(瑜伽寺), 대견사(大見寺) 등 유서깊은 사찰과 문화유적들이 곳곳에 산재되어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야생화의 보고이기도 하고 그중에서도 가장 큰 볼거리는 참꽃 군락지로서 늦은봄 참꽃이 만개할 때 그 모습은 마치 온 산이 불타는 듯한 장관으로 보는 이들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고 있으며, 가을이면 드넓은 억새밭이 대평원을 이루면서 억새가 물결치는 모습 또한 등산객들의 마음을 휘어 잡습니다. 달성군은 비슬산 자락 유가면 용리 물 많고 산림이 잘 우거진 골짜기와 각종 편의시설이 고루 갖추어진 자연휴양림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봄철에 참꽃 필 무렵 비슬산 참꽃제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대견봉 1035m 덧 붙인 표시가 보입니다. 천왕봉과 높이가 바뀐 것을 수정한 것이랍니다.
 
멀리 낙동강이 보입니다.
 
 

 
★ 저녁은 유명하다는 박소선 현풍 할매집 곰탕을 먹었습니다. 단체손님이지만 곰탕은 식어서 나오고, 서빙하는 종업원이 부족해 반찬 공급이 제때이뤄지지 못했습니다. 특히 여성분은 곰탕에서 조미료 냄새가 많이 난다고 하였습니다.
 
★ 여행에서 아쉬웠던 점은 행사 관련하여 차량 통제시간과 장소를 알 수 없어 시간이 많이 지체되어 일정 계획에 차질빚었고, 역시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차량의 도로는 주차로 혼잡하였습니다.
 
★ 주변 볼거리
 
▶유가사 (瑜 : 아름다운 옥 유, 伽 : 절 가,寺 : 절 사)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로 827년(흥덕왕 2)도성(道成)이 창건하였고, 889년(진성여왕 3) 탄잠(坦岑)이 중창하였으며 1047년(문종 1)에 학변(學卞)이 중수하였으며, 1452년(문종 2)에 일행(逸行)이 중수하였습니다. 전성기에는 3,000여 명의 승려들이 머물렀으나, 임진왜란의 전화로 소실되었습니다.
 
그 뒤 1682년(숙종 8)에 도경화상(道瓊和尙)이 대웅전을 보수하였으며, 다시 낙암(洛巖)이 중수하였고 일제강점기에 반포된「31본사사찰령」에는 유가사가 동화사의 수반말사(首班末寺)로 되어 있어 당시 유가사의 사세가 컸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1976년에 대웅전과 용화전을 중창하였으며, 1979년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용화전(龍華殿)·나한전·산령각·범종루(梵鐘樓)·천왕문(天王門)·백화당(白華堂)·동산실(東山室)이 있고 대웅전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고, 정면 4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인 범종루는 취적루(翠滴樓)로 불리기도 합니다.
 
문화재로는 괘불(掛佛), 삼층석탑, 15기의 부도 등이 있는데 이 중 괘불은 주변의 마을 주민들이 가뭄이나 질병, 적군의 침입 등으로 어려움을 당할 때마다 봉안하고 소원을 빌었다 하며 특히, 가뭄이 심할 때에는 괘불에 소원을 빌고 대견사터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내렸다고 합니다.
 
삼층석탑은 높이 364㎝이며, 아래쪽에 있었던 원각사터에서 1920년에 옮겨온 고려시대 양식을 띤 작품이며 또, 이곳에 있는 15기의 석종형 부도는 도굴의 화를 입지 않아 온전히 보존되어 있는데, 낙암당(洛巖堂)·월호(月湖)·휴영당(休影堂)·설청(雪淸)·해백(海白)·경수(景修)·진흘(眞汔)·명학(明學)·처명(處明)·사옥(思玉)·영규(靈圭)·도경·풍렬(豊烈)·하초(夏初)·세민(世敏) 등의 부도입니다. 부속암자로는 비구니들의 수도처인 수도암(修道庵)과 경상북도의 3대 수도처 중의 하나인 도성암(道成庵)이 있습니다
 
▶도동서원(達城道東書院)
 
1605년(선조 38) 지방 유림의 공의(公議)로 김굉필(金宏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고 1607년 ‘道東(도동)’이라고 사액되었으며, 1678년(숙종 4) 정구(鄭逑)를 추가 배향하였습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毁撤) 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로 1964년 전면 보수하였으며, 경내의 건물로는 사당(祠堂)·중정당(中正堂)·거인재(居仁齋)·거의재(居義齋)·수월루(水月樓)·환주문(喚主門)·내삼문(內三門)·장판각(藏板閣)·고직사(庫直舍) 등이 있습니다.
 
도동서원강당사당부장원(道東書院講堂祠堂附墻垣)은 보물 제350호로 지정되었고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맞배지붕으로 된 사당에는 김굉필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정구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좌우에는 창건 당시에 그린 벽화 2점이 있습니다.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된 강당인 중정당은 원내의 여러 행사 및 학문의 강론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장원(墻垣)이 부속되었고 거인재와 거의재는 각각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로서, 유생들이 기거하던 곳입니다.
 
매년 2월과 8월 중정(中丁)에 향사(享祀)를 지내고 있으며, 소장전적은 하사서적(下賜書籍)인 『춘추(春秋)』 10권, 『오경백편(五經百篇)』 5권, 『경현록(景賢錄)』 등 95종 529책이 있으며 그 밖에 하사제기(下賜祭器)인 상준(象尊)·희준(犧尊)·궤(簋)·보(簠)·작(爵)·촛대(燭臺) 등의 유물이 있으며, 재산으로는 대지 1200평, 전답 5000평, 임야 3정보 등이 있습니다.
달성군(達城郡) # 대견사 # 비슬산 # 진달래 축제
【여행】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 강남 봉은사 방문기 (2015.4.24)
• 대구 비슬산 대견사, 진달래 축제 (2015.4.22)
• 정감록, 십승지十勝地 그리고 여행지 -후편- (2015.4.18)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