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16년
2016년 12월
2016년 12월 23일
2016년 12월 16일
2016년 12월 9일
2016년 12월 2일
2016년 11월
2016년 11월 25일
2016년 11월 18일
2016년 11월 4일
2016년 10월
2016년 10월 28일
2016년 10월 21일
2016년 10월 14일
2016년 10월 7일
2016년 9월
2016년 9월 30일
2016년 9월 23일
2016년 9월 9일
2016년 9월 2일
2016년 7월
2016년 7월 15일
2016년 7월 8일
2016년 7월 1일
2016년 6월
2016년 6월 24일
2016년 6월 17일
2016년 6월 10일
2016년 6월 3일
2016년 5월
2016년 5월 27일
2016년 5월 20일
2016년 5월 13일
2016년 4월
2016년 4월 29일
2016년 4월 22일
2016년 4월 15일
2016년 4월 8일
2016년 3월
2016년 3월 25일
2016년 3월 11일
2016년 3월 4일
2016년 2월
2016년 2월 26일
제113강 (2016. 2. 26)
2016년 1월
2016년 1월 29일
2016년 1월 22일
2016년 1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학습】
(2017.11.02. 13:30) 
◈ 제113강 (2016. 2. 26)
사기 강의 제113회 보충 설명
제113강, 2016년 2월 26일 사마천의 사기 강의
*唾面自乾 - 《隋唐嘉話》, 모욕을 참고 견디다
 

 
1. 史 - 갑골문, 원래는 필기구를 들고 기록하는 사람 ; 갑골문의 위쪽은 中, 중은 깃발에서 유래하고 점차 仲으로 통용되어 판단하여 결정하다는 뜻이 되고, 다시 글을 쓰는 도구로 변함. 또는 책을 넣어두는 그릇이라는 설도 있음. 아래쪽은 필기구를 든 사람을 나타냄. 즉 史官을 가리킴. 주나라시기 등장.《禮記》〈玉藻〉“動則左史(內史)書之,言則右史(太史)書之”; 분류《新唐書》〈藝文志〉“列經、史、子、集四庫”; 左史右經(많은 책을 읽거나 혹은 소장하고 있음)
 
2. 佚 - 원래는 없어져 보이지 않는 사람, 은거하고 있는 사람 ; 도망,《孟子》〈公孫丑上〉“柳下惠不羞污君,不卑小官;進不隱賢,必以其道;遺佚而不怨,阨窮而不憫”;《荀子》〈宥坐〉“居不隱者思不遠,身不佚者志不廣”; 소실,《逸周書》“牛馬畜獸有郊佚者,取之不詰”; 《論衡》“宣帝之時,得佚《尙書》及《易》、《禮》各一篇”; 방탕,《論語》〈季氏篇〉“益者三樂(쾌락),損者三樂(쾌락)。樂(쾌락)節禮樂(음악),樂(쾌락)道人之善,樂(쾌락)多賢友,益矣。樂(요)驕樂(음악),樂(요)佚游(음악),樂(요)宴樂(음악),損矣”; 안일(逸), 舍佚而爲勞 ; 아름다운, 佚女
 
3. 展 - 갑골문, 원래는 단추 같은 것을 풀고 입구를 펼치다 ; 이동하다 ;《說文解字》“展,轉也”;《紅樓夢》“展眼已是夏末秋初”; 몸을 돌려 옷을 벗다,《周礼》〈天官〉“掌王后之六服,褘衣,揄狄,闕狄,鞠衣,展衣,緣衣,素沙”; 펴다,《莊子》〈盗跖〉“盗跖大怒,兩展其足,案劍瞋目”; 연장,《史記》〈王溫鉥列傳〉“令冬月益展一月,卒吾事矣”
 
4. 九 - 갑골문, 원래는 손을 뻗어 구덩이 안을 더듬는 것 ;《楚辭》〈九辨〉“九者, 陽之數, 道之綱紀也”; 崇九 풍속(客家族) ; 九牛一毛-《史記》〈報任安書〉“假令僕伏法受誅,若九牛亡一毛,與螻(땅강아지 루)蟻何以異?”사마천, 李陵 장군, 무제, 궁형(腐刑), 자살을 생각하면서... ;《釋文》“九宜爲久.,久, 老也”; 중국인이 좋아하는 숫자, 9,8,6
 
5. 鼎 - 갑골문, 원래는 고대 요리용 그릇으로 3足 2耳 ; 성대 ; 국가, 재상, 3공을 비유하는데 사용 ; 신뢰, 一言九鼎. 酌婦
 
6. 保 - 갑골문, 원래는 애기를 업고 있는 ;《說文解字》“保,養也”; 유아를 보육하는 여자,《禮記》〈内則〉“國君世子生,…保受,乃負之”;《孟子》〈藤文公上〉“儒者之道,古之人若保赤子”; 애기 싸는 포대기,《後漢書》〈桓郁傳〉“昔成王幼小,越在襁保”; 상점에서 일하는 하인(남자 하인은 酒保, 여성은 酒母 ? )
 
7. 玉 - 갑골문, 원래는 실로 꿴 보석 ; 《說文解字》“玉,石之美者。有五德:潤澤以溫,仁之方也(仁人);鰓理自外,可以知中,義之方也(義士);其聲舒揚,부以遠聞,智之方也(智士);不橈而折,勇之方也(勇士);銳廉而不技,絜之方也(廉士)”;《南史》〈王僧達傳〉“大丈夫寧當玉碎,安可以沒沒求活”;《禮記》〈聘儀〉“昔者君子比德於玉焉. 溫潤而澤, 仁也”;
《孟子》〈萬章下〉“集大成也者,金聲而玉振之也。金聲也者,始條理也;玉振之也者,終條理也。始條理者,智之事也;終條理者,聖之事也。”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114강 (2016. 3. 4)
• 제113강 (2016. 2. 26)
• 제112강 (2016. 1. 29)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