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16년
2016년 12월
2016년 12월 23일
2016년 12월 16일
2016년 12월 9일
2016년 12월 2일
2016년 11월
2016년 11월 25일
2016년 11월 18일
2016년 11월 4일
제139강 (2016. 11. 4)
2016년 10월
2016년 10월 28일
2016년 10월 21일
2016년 10월 14일
2016년 10월 7일
2016년 9월
2016년 9월 30일
2016년 9월 23일
2016년 9월 9일
2016년 9월 2일
2016년 7월
2016년 7월 15일
2016년 7월 8일
2016년 7월 1일
2016년 6월
2016년 6월 24일
2016년 6월 17일
2016년 6월 10일
2016년 6월 3일
2016년 5월
2016년 5월 27일
2016년 5월 20일
2016년 5월 13일
2016년 4월
2016년 4월 29일
2016년 4월 22일
2016년 4월 15일
2016년 4월 8일
2016년 3월
2016년 3월 25일
2016년 3월 11일
2016년 3월 4일
2016년 2월
2016년 2월 26일
2016년 1월
2016년 1월 29일
2016년 1월 22일
2016년 1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학습】
(2017.11.04. 13:19) 
◈ 제139강 (2016. 11. 4)
사기 강의 제139회 보충설명
- 2016년 11월 4일(금)
*《論語》〈述而〉
“三人行, 必有我師焉。擇其善者而從之,其不善者而改之”
 
(주석) - 3, 多 ; - 동행 ; - 效法(스승으로 본받을 만한) ; 善者 - 좋은 방면에서 모방할 만한 것이 있는 사람 ; 不善者 - 나쁜 방면에서 모방할 만한 것이 있는 사람 ; - 타인에게 虛心好學 ; - 스스로 自己反省
 
(결론) 사람들은 자신의 좋은 점만 찾고, 타인의 나쁜 점만 부각시키려고 함. 공자는 자신의 나쁜 점을 찾아서 수양하고, 타인의 좋은 점을 찾아서 배우려고 함.
 
*《論語》〈子路〉
“人而無恒,不可以作巫醫”
 
(주석) (주석) - 오랫동안 덕행을 유지하다, 德行을 수양하다 ; - 하다, 담당하다 ; 巫醫 - a.점을 쳐서 병을 치료하는 사람(안 맞으면 치욕을 당함) ; b.혹은 巫師와 醫師로 구분하기도 함(신석기시대 巫 - 청동기시대 초기巫醫 - 청동기시대 후기巫와 醫로 세분됨) ; c.달리 하늘의 뜻과 醫藥에 대한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배우기 어려운 직업 d.또는 아주 천한 직업 ; 어쨌든 안 맞으면 신의 뜻에 어긋나거나(天意) 사람이 죽거나(生命) 하는 등 심각한 상태를 가져오거나 배우기 힘들고 천한 직업으로.
 
(결론) 《易经》〈恒卦〉“不恒其德, 或承之羞”, 성인의 天意와 生命에 대한 존중 ; 현재도 군자처럼 수양이 된 사람은 자신을 믿고 점을 치지 않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다른 것에 의지하고 점을 친다.
 

 
1. 顯 - 금문, 원래는 실로 보석 등 빛을 내는 물건을 묶어서 머리에 걸음 ; 《說文解字》“顯,頭明飾也”; 드러내다,《韓非子》〈難三〉“故法莫如顯,而術不欲見”; 나타나다, 柳宗元《永州八記》“嘉木立,美竹露,奇石顯”; 모두 아는,《史記》〈孫子吳起列傳〉“孫臏以此名顯天下”;《韓非子》“所說陰爲厚利而顯爲名高者也”
 
2. 亦 - 갑골문, 원래는 사람의 양쪽 겨드랑이 ; 《說文解字》“亦,人之臂亦也”; 또,《左傳》文公七年“先君何罪?其嗣亦何罪”
 
3. 賓 - 갑골문, 원래는 환대받는 손님 ;《說文解字》“賓,所敬也”;《禮記》〈鄕飮酒義〉“賓者,接人以義者也”;《周禮》〈司儀〉“諸侯、諸伯、諸子、諸男之相爲賓也。諸公之臣相爲國客,是散文賓客通稱,對稱則賓尊而客卑,賓大而客小”;《荀子》〈禮論〉“賓出,主人拜送”
 
4. 滅 - 金文, 隸書, 원래는 전란과 화재, 홍수 등으로 촌락과 사람이 전멸하는 것 ;《說文解字》“滅,盡也”;《周禮》〈夏官〉“大司馬之職,掌建邦國之九法,以佐王平邦国……外内亂,鳥獸行,則滅之”;《呂氏春秋》〈愛類〉“昔上古龍門未開,呂梁未發,河出孟門,大溢逆流,無有丘陵沃衍、平原高阜,盡皆滅之,名曰鴻水”;
 
5. 至 - 갑골문, 원래는 집으로 돌아와 누워 휴식하는 or 화살이나 새가 땅에 떨어지는 모양 ; 到의 본래 자, 交의 거꾸로 된 모양 ;《說文解字》“至,鳥飛從高下至地也”;《荀子》〈勸學〉“故不積跬(반걸음 규)步, 無以至千里”:《論語》〈微子〉“至則行矣”《老子》〈小國寡民〉“民至老死不相往來”;《史記》〈李將軍列傳〉“孝武帝時,至代相”; 가장,《荀子》〈正論〉“罪至重而罰至輕,庸人不知惡矣”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140강 (2016. 11. 18)
• 제139강 (2016. 11. 4)
• 제138강 (2016. 10. 28)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