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16년
2016년 12월
2016년 12월 23일
2016년 12월 16일
2016년 12월 9일
2016년 12월 2일
2016년 11월
2016년 11월 25일
2016년 11월 18일
2016년 11월 4일
2016년 10월
2016년 10월 28일
2016년 10월 21일
2016년 10월 14일
2016년 10월 7일
2016년 9월
2016년 9월 30일
2016년 9월 23일
2016년 9월 9일
2016년 9월 2일
2016년 7월
2016년 7월 15일
2016년 7월 8일
2016년 7월 1일
2016년 6월
2016년 6월 24일
2016년 6월 17일
2016년 6월 10일
2016년 6월 3일
2016년 5월
2016년 5월 27일
2016년 5월 20일
2016년 5월 13일
2016년 4월
2016년 4월 29일
2016년 4월 22일
2016년 4월 15일
2016년 4월 8일
2016년 3월
2016년 3월 25일
제116강 (2016. 3. 25)
2016년 3월 11일
2016년 3월 4일
2016년 2월
2016년 2월 26일
2016년 1월
2016년 1월 29일
2016년 1월 22일
2016년 1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학습】
(2017.11.02. 13:59) 
◈ 제116강 (2016. 3. 25)
사기 강의 제116회 보충설명
- 2016년 3월 25일(금)
3. 祠 - 원래는 제사 때 예를 올리는 것 ; 唐, 玄應《一切經音義》“祠,祭也,天祭也。祀,地祭也”;《公羊傳》桓公八年“春曰祠,夏曰灼,秋曰嘗,冬曰蒸”;《爾雅》〈釋天〉“春祭曰祠”;《禮記》〈月令〉“仲春之月祠不用犧牲, 用圭璧及皮幣”
 
4. 軍 - 금문, 원래는 전차와 사병이 균등하게 배치됨 ;《說文解字》“軍,圜圍也。四千人爲軍”; 군대,《周禮》〈小司徒〉“五旅爲師,五師爲軍”;《周禮》〈夏官〉“凡制軍,萬有二千五百人爲軍。王六軍,大國三軍,次國二軍,小國一軍”;《三國志》〈諸葛亮傳〉“亮身率諸軍攻祁山”
 
*고대 군사편제
보병 - 伍(5人)〈營(5伍)〈團(4營)〈旅(5團)〈師(5旅)〈軍(5師)
차병 - 乘(30명)〈隊(5乘)〈卒(10隊)〈師(2卒)
- 말 4마리, 마차 위 3명, 마차 아래 7명, 마차주위 15명, 잡역5명
 
5. 罷 - 원래는 罷官, 免去, 解除,《史記》〈魏其武安侯列傳〉“竇太后大怒,乃罷逐趙綰、 王臧等”; 疲, 疲劳 , 쇠약 ; 弱, 무능, 실패
 
6. 兵 - 갑골문, 원래는 두 손으로 짧은 도끼를 들고 전투하는 병졸 ;《說文解字》“兵,械也”; 무기,《周禮》〈司兵〉“掌五兵(戈、殳、戟、酋矛、夷矛)”;《荀子》〈議兵〉“古之兵,戈、矛、弓、矢而已矣”;《孟子》〈梁惠王上〉“兵刃既接,弃甲曳兵而走”;《史记》〈項羽本紀〉“乃令騎皆下馬步行,持短兵接戰”; 군대,《史記》〈廉頗藺相如列傳〉“趙亦盛設兵待秦,秦不敢動”
 
* 戈 殳 戟 酋矛 夷矛
 
7. 西 - 갑골문, 원래는 고대에 여성이 짐을 꾸리는 포대 ; 새가 새집에 들어감,《說文解字》“西,鳥在巢上, 日在西方而鳥棲”; 초청, 東主西賓, 作東(請客, shot↔dutch pay) ; 《儀禮》〈喪服》“故有東宮、有西宮、有南宮、有北宮,異居而同財,有餘則歸之宗,不足則資之宗”
 
8. 歸 - 원래는 여자 출가, “女人……以夫爲家,故謂嫁曰歸也” ; 止+婦=歸 출가하는 것 ; 歸寧, 歸安-출가한 여자가 친정집에 부모를 뵈러 가는 것 ; 歸省-남녀불문, 결혼불문하고 부모님을 찾아뵈는 것 ; 歸宗-출가한 딸이 부모 집으로 가는 것, 또는 시집에서 쫒겨나서 친정으로 돌아가는 것 ;《左傳》莊公二十八年“凡諸侯之女歸寧曰來, 出曰來歸”; 돌아오다,《史記》〈高祖本紀〉“大風起兮, 雲飛揚, 威加海内兮, 歸故鄕 ;《論語》〈先進〉“冠者五六人,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
 
9. 行 - 갑골문, 원래는 사방으로 통하는 십자로 ; 《說文解字》“行,人之步趨也”;가다, 달리다, 跑, 逃, 去, 往, 奔 ; 군대대오,《史記》〈陳涉世家〉“陳勝、吳廣皆次當行”;《禮記》〈中庸〉“君子之道,辟如行遠必自邇,辟如登高必自卑”; 蔡邕《獨斷》“天子以四海爲家,故謂所居爲行在所”;《老子》“千里之行,始於足下”;《論語》〈述而〉“三人行, 必有我師焉。擇其善者而從之,其不善者而改之”;《史記》〈屈原賈生列傳〉“屈原至江濱,被髮行吟澤畔,颜色憔悴, 形容枯槁”
 
10. 狩 - 갑골문, 원래는 손에 무기를 들고 사냥개를 데리고 사냥하는 것 ; 《說文解字》“狩,犬田(田獵)也”;《爾雅》“冬獵爲狩”;《左傳》隱公五年“春蒐(사냥할 수),夏苗,秋獮(가을사냥 선),冬狩”
 
11. 記 - 원래는 책에 쓰다 ;《說文解字》“記, 疏(標注)也”;《後漢書》〈應奉傳〉“凡所經履, 莫不暗記”
 
12. 政 - 갑골문, 원래는 무력으로 정벌하고 폭력으로 통치하는 것 ;《說文解字》“政,正也”; 무력정복,《大戴禮記》〈用兵〉“諸侯力政,不朝於天子”; 바로잡다,《論語》〈爲政〉“政者,有所改更匡正”; 다스리다,《後漢書》“蓋善政者,視俗而施教,察失而立防,威德更興,文武迭用”; 정치,《韓非子》〈内儲說下〉“州吁果殺其君而奪之政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117강 (2016. 4. 8)
• 제116강 (2016. 3. 25)
• 제115강 (2016. 3. 11)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