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16년
2016년 12월
2016년 12월 23일
2016년 12월 16일
2016년 12월 9일
2016년 12월 2일
2016년 11월
2016년 11월 25일
2016년 11월 18일
2016년 11월 4일
2016년 10월
2016년 10월 28일
2016년 10월 21일
제137강 (2016. 10. 21)
2016년 10월 14일
2016년 10월 7일
2016년 9월
2016년 9월 30일
2016년 9월 23일
2016년 9월 9일
2016년 9월 2일
2016년 7월
2016년 7월 15일
2016년 7월 8일
2016년 7월 1일
2016년 6월
2016년 6월 24일
2016년 6월 17일
2016년 6월 10일
2016년 6월 3일
2016년 5월
2016년 5월 27일
2016년 5월 20일
2016년 5월 13일
2016년 4월
2016년 4월 29일
2016년 4월 22일
2016년 4월 15일
2016년 4월 8일
2016년 3월
2016년 3월 25일
2016년 3월 11일
2016년 3월 4일
2016년 2월
2016년 2월 26일
2016년 1월
2016년 1월 29일
2016년 1월 22일
2016년 1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학습】
(2017.11.04. 13:11) 
◈ 제137강 (2016. 10. 21)
사기 강의 제137회 보충설명
- 2016년 10월 21일(금)
* 고대의 인재등용법
1. 有德有才 - 喜-才人-破格重用
2. 有德無才 - 惜-庸人-訓練任用
3. 無德有才 - 忍-小人-制限使用
4. 無德無才 - 怕-廢人-終年不用
 
* 조직원의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리더십 사용
1. 능력-好, 동기부여-好---위임형
2. 능력-好, 동기부여-不---지원형
3. 능력-不, 동기부여-好---코치형
4. 능력-不, 동기부여-불---지시형
 
* 베트남 장군 보응 우엔잡 (2010년에 100살, 프랑스, 미국, 중국과의 전쟁을 승리)
3不 전략
1) 적들이 원하는 시간에 싸우지 않고
2) 적들이 싸우고 싶어 하는 장소에서 싸우지 않고
3) 적들이 생각하지 못한 방법으로 싸운다
 

 
1. 登 - 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음식이 가득 담긴 그릇을 들고 신령에게 바치는 것 ;《說文解字》“登,上車也”; 오르다, 《禮記》〈玉藻〉“登席不由前”; 수확,《孟子》〈滕文公〉“五穀不登,禽獸逼人”; 기록,《周禮》〈司民〉“掌登萬民之數”
 
2. 名 - 갑골문, 원래는 해가 저물어 어두워지자 부모가 아이를 부르는 것 ;《說文解字》“名,自命也。從口,從夕。夕者,冥也。冥不相見,故以口自名”;《禮記》〈内則〉“父執子之右手,咳而名之 ; 일컫다,《正字通》〈日部〉“春,唐人名酒爲春”; 五粮春 ; 칭호,《周書》〈諡法〉“大行受大名,細行受細名”; 명성(유명한),《史記》〈滑稽列傳〉“故西門豹爲鄴令,名聞天下”;《封禪書》引〈周官〉“天子祭天下名山大川, 五岳視三公, 四瀆視諸侯, 諸侯祭其疆内名山大川。四瀆者, 江、河、淮、濟也。天子曰明堂、辟雍, 諸侯曰泮宮。”
 
3. 民 - 갑골문, 날카로운 무기로 전쟁 포로의 눈을 찌르는 것 ;《說文解字》“民,衆萌也”; 백성,《孟子》〈盡心下〉“民爲貴,社稷次之,君爲輕。是故得乎丘民而爲天子, 得乎天子爲諸侯, 得乎諸侯爲大夫. 諸侯危社稷, 則變置。犠牲既成, 粢盛既絜, 祭祀以時, 然而旱乾水溢, 則變置社稷。”;《史記》〈項羽本紀〉“吾入關,秋毫不敢有所近,籍吏民,封府庫,而待將軍”;《淮南子》〈主術訓〉“食者,民之本也;民者,國之本也;國者,君之本也”
 
4. 三 - 갑골문, 원래는 만물을 생기게 하는 천지인 ;《說文解字》“三,天地人之道也”;《老子》“道生一, 一生二,二生三,三生萬物”;《論語》〈爲政〉“吾十有五而志于學,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逾矩”;
 
*《道德經》,《德道經》,《道德真經》、《老子》、《五千言》、《老子五千文》;《漢書》〈東方朔傳〉“年十三學書,三冬,文史足用”; 여러번,《史記》〈屈原賈生列傳〉“一篇之中三致志焉”
 
5. 百 - 갑골문, 원래는 말을 다 못하다 ; 《說文解字》“百,十十也”; 무수한,《詩經》〈大雅〉“千祿百福”
 
6. 六 - 갑골문, 원래는 사방에 벽이 있는 집 ;《說文解字》“六,《易》之數,陰變於六,正於八”;《莊子》〈齊物論〉“六合之外,聖人存而不論”;《管子》〈五行〉“人道以六制”; 韓愈《師說》“六藝經典皆通習之”
 
7. 十 - 갑골문, 원래는 묶어서 뜻을 나타내는 줄(끈) ; 《說文解字》“十,數之具也。一爲東西,丨爲南北,則四方中央備矣”;《抱朴子》〈用刑〉“天下欲反,十室九空”; 陸游《子律至湖上待其歸》“十風五雨歲則熟,左餐右粥身其康”
 
8. 夫 - 갑골문, 원래는 서있는 사람 모양 or 성년 남자가 머리를 묶어 고정시킴 ; 남편,《說文解字》“夫,丈夫也......周制以八寸为尺,十尺爲丈,人長八尺,故曰丈夫” ;《穀梁傳》文公十二年 “男子二十而冠,冠而列丈夫” ;《管子》〈地數〉“凡食鹽之數,一月:丈夫五升少半,婦人三升少半,嬰兒二升少半”; 그(이것), 《論語》〈先進〉“季路問事鬼神。子曰:未能事人,焉能事鬼? 敢問死? 曰:未知生,焉知死?閔子侍側,誾誾如也;子路,行行如也;冉有、子貢,侃侃如也。子樂。若由也,不得其死然。鲁人爲長府。閔子蹇曰:仍舊貫,如之何?何必改作!子曰夫人不言,言必有中”; 무릇,《史記》〈項羽本紀〉“夫秦有虎狼之心”
 
* 服(從) - 갑골문, 손으로 다른 사람의 머리를 눌러서 책상에 앉아있게 하는 것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138강 (2016. 10. 28)
• 제137강 (2016. 10. 21)
• 제136강 (2016. 10. 1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