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16년
2016년 12월
2016년 12월 23일
2016년 12월 16일
2016년 12월 9일
2016년 12월 2일
2016년 11월
2016년 11월 25일
2016년 11월 18일
2016년 11월 4일
2016년 10월
2016년 10월 28일
2016년 10월 21일
2016년 10월 14일
2016년 10월 7일
2016년 9월
2016년 9월 30일
2016년 9월 23일
2016년 9월 9일
2016년 9월 2일
2016년 7월
2016년 7월 15일
2016년 7월 8일
2016년 7월 1일
2016년 6월
2016년 6월 24일
2016년 6월 17일
2016년 6월 10일
2016년 6월 3일
2016년 5월
2016년 5월 27일
2016년 5월 20일
2016년 5월 13일
2016년 4월
2016년 4월 29일
2016년 4월 22일
제119강 (2016. 4. 22)
2016년 4월 15일
2016년 4월 8일
2016년 3월
2016년 3월 25일
2016년 3월 11일
2016년 3월 4일
2016년 2월
2016년 2월 26일
2016년 1월
2016년 1월 29일
2016년 1월 22일
2016년 1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학습】
(2017.11.02. 14:00) 
◈ 제119강 (2016. 4. 22)
사기 강의 제119회 보충 설명
- 2016년 4월 22일(금)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受福 - 造(作, 做)福 - 惜福(謙遜, 恭敬)
 
* 歲 - 갑골문, 원래는 도망쳤던 노예의 두 발을 도끼로 잘라서 년말에 제사지내며 다른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다. ;《說文解字》“歲,木星也” ; 步(발, 지나가다)+戌(긴 손잡이 도끼, 소멸하다)=歲 ; 太歲-歲星, 태양계의 木星(大) 기준 ; 달리 肉靈芝(扁鵲기념관에 있음) ; 亞歲-冬至의 별칭 ; 維歲次......
 
* 冊曆 - 달력(1950년경)-매년 중국에 冬至使 파견-귀국해서 왕에게 冊曆 바침-청일전쟁(1894-1895 ;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 붕괴) 이후 없어짐-高宗-양력사용-建陽 년호-궁중과 양반은 여전히 중국식 음력사용 ; 建陽多慶(向陽門第春常在, 積善人家慶有餘)
 
* 丙申年 - 丙(天干-陽火-10干-火) 申(地支-陽金-12支-猴)-火猴(불 원숭이)-火克金의 형세
 
* 동물계 - 척추동물문 - 포유동물강 - 영장목(원숭이) - 고등영장류(고릴라, 오랑우탄, 침팬지-할머니역할, 알코홀 분해능력) - 사람과 - 사람속 - 호모사피엔스종
 
* 2015의 한자 - 昏庸無道(唐, 中宗) ; 중국은 反腐倡廉
 
* 讀書10訣 - 一勤(手不釋卷);二恒(持之以恒);三序(循序漸進);四博(博覽群書);五問(不耻下問);六志(專心致志);七習(温故知新);八思(字斟句酌);九記(勤記筆記) ; 十用(學以致用)
 
* 毛澤東의 4多讀法 - 多讀, 多寫, 多想, 多問(可以一日不吃, 可以一日不睡, 不可一日不讀)
 

 
1. 諸 - 갑골문, 원래는 부락에서 불을 피워 음식을 하면서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 함. ;《說文解字》“諸,辯也”; 여러,《史記》〈陳涉世家〉“諸郡縣苦秦吏”; 之於,《論語》〈衛靈公〉“君子求諸己”; 之乎(그러냐?),《孟子》〈梁惠王上〉“王嘗語莊子以好樂,有諸?”
 
2. 侯 - 갑골문, 원래는 화살을 쏴서 나간 거리만큼의 토지를 하사함(현재 몽고 풍습과 유사) or 활을 가지고 절벽에 매복하여 사냥물을 기다리다 ; 人+厂기슭 엄(한)+矢=侯, 정찰하다 ; 제후,《史記》〈陳涉世家〉“王侯將相寧有種乎”;《後漢書》〈張衡傳〉“自王侯以下莫不逾侈”;《史記》〈項羽本紀〉“未有封侯之赏”;《禮記》〈王制〉“内諸侯祿也,外諸侯嗣也”
 
3. 班 - 금문, 원래는 칼로 옥돌을 반으로 쪼갬 ;《說文解字》“班,分瑞玉”; 이끌다,《左傳》襄公十年“請班師”; 차례
 
4. 賜 - 금문, 자기 집의 재물을 다른 사람 손에 넘김 ; 《說文解字》“賜,予也”;《正字通》“上予下曰賜”;《禮記》〈曲禮〉“長者賜,少者賤者不敢辭”;《列女傳》“大王及宗室所賜幣帛,盡以與軍吏、士大夫”
 
5. 彛 - 고대에 제사지낼 때 술 따르는 그릇 ; 불변의 ; 常規
 
6. 作 - 갑골문, 원래는 칼로 도구를 만듦 ;《說文解字》“作,起也”; 만들다,《孟子》〈梁惠王上〉“始作俑者,其無後乎”; 일하다,《樂府詩集》“日出而作,日入而息”; 하다,《論語》〈子路〉“人而無恒,不可以作巫醫”; 저술하다,《史記》〈屈原列傳〉“屈平之作《離騷》,盖自怨生也”;《史記》〈報任安書〉“仲尼卮而作《春秋》”; 王勃《滕王閣序》“登高作賦,是所望於群公”; 제조하다,《後漢書》〈張衡傳〉“遂乃研核陰陽,妙盡璇機之正,作渾天儀”; 생기다,《孟子》〈公孫丑下〉“由湯至於武丁,賢聖之君六七作”;《孟子》〈告子下〉“困於心,衡於慮,而後作”
 
7. 分 - 갑골문, 원래는 칼로 물체를 둘로 나누는 것 ;《說文解字》“分,別也”; 나누다,《左傳》莊公十年“衣食所安,弗敢專也,必以分人”; 구별하다,《論語》〈微子〉“五穀不分,孰爲夫子!”; 차이, “男女之分 强弱之分 新舊之分”; 본분,《荀子》〈榮辱〉“况夫先王之道、仁義之統、詩書禮樂之分乎?”; 단위,《孫子》〈謀攻〉“殺士三分之一而城不拔者,此攻城之災也”
 
8. 器 - 금문, 원래는 혈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장기 ;《說文解字》“器,皿也”;《老子》“大器晚成, 大音希聲”;《法言》〈先知〉“先自治而后治人之稱大器”; 중용하다,《三國志》〈諸葛亮傳〉“先主器之”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120강 (2016. 4. 29)
• 제119강 (2016. 4. 22)
• 제118강 (2016. 4. 15)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