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16년
2016년 12월
2016년 12월 23일
2016년 12월 16일
2016년 12월 9일
2016년 12월 2일
2016년 11월
2016년 11월 25일
2016년 11월 18일
2016년 11월 4일
2016년 10월
2016년 10월 28일
2016년 10월 21일
2016년 10월 14일
2016년 10월 7일
2016년 9월
2016년 9월 30일
2016년 9월 23일
2016년 9월 9일
2016년 9월 2일
2016년 7월
2016년 7월 15일
2016년 7월 8일
2016년 7월 1일
제128강 (2016. 7. 1)
2016년 6월
2016년 6월 24일
2016년 6월 17일
2016년 6월 10일
2016년 6월 3일
2016년 5월
2016년 5월 27일
2016년 5월 20일
2016년 5월 13일
2016년 4월
2016년 4월 29일
2016년 4월 22일
2016년 4월 15일
2016년 4월 8일
2016년 3월
2016년 3월 25일
2016년 3월 11일
2016년 3월 4일
2016년 2월
2016년 2월 26일
2016년 1월
2016년 1월 29일
2016년 1월 22일
2016년 1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학습】
(2017.11.04. 10:57) 
◈ 제128강 (2016. 7. 1)
사기 강의 제128회 보충설명
- 2016년 7월 1일(금)
* 삼일 운동(×) - 삼일 (抗日)抗爭 기념일-일제 附逆者들이 비하하는 말
 
*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이 잘못하는 일이다.
《論語》〈衛靈公〉“過而不改,是謂過矣”
《論語》〈學而〉“過則勿憚改”
《左傳》宣公二年“人非聖賢, 孰能無過! 過而能改, 善莫大焉”~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1. 武 - 갑골문, 원래는 무기를 들고 작전하러 나감 ; 《說文解字》“武,楚莊王曰..“夫武,定功戢兵。故止戈爲武(전쟁을 그치게 하는 것, 인의와 평화를 보호하는 실력)” ; 止戈와 動戈 ; 무력,《左氏春秋》宣公十二年“臣聞克敵,必示子孫,以無忘武功。楚莊王回答..非爾所知也,夫文,止戈爲武(夫文止戈爲武)”;《韓非子》〈五蠹〉“德不厚而行武”; 반보,《國語》〈周語下〉“夫目之察度也, 不過步武尺寸之間(古以六尺爲步, 半步爲武)”; 3尺-六尺爲步,半步爲武
 
2. 王 - 갑골문, 전쟁에서 사용하는 가장 큰 도끼 ; 《說文解字》“王,天下所歸往也”(董仲舒曰..古之造文者,三畫而連其中謂之王。三者,天、地、人也,而參通之者王也。또 孔子曰..一貫三爲王);《六書故》“王,有天下曰王。帝與王一也。周衰,列國皆僭號自王。秦有天下,遂自尊爲皇帝。漢有天下,因秦制稱帝,封同姓爲王,名始亂矣”;《詩經》〈小雅〉“溥(普)天之下,莫非王土, 率土之濱 莫非王臣”; 통치하다,《商君書》“周不法商,夏不法虞,三代異勢,而皆可以王”
 
3. 徵 - 갑골문, 征과 통, 원래는 조정에서 불의한 지역을 토벌하는 것 ;《說文解字》“徵,召也”;《爾雅》“以量度成賈而徵”;《周禮》〈司市〉“各掌其縣之政令徵比”;《周禮》〈縣正〉“徵唯所欲”;《儀禮》〈鄕射禮〉“王使來徵聘”;《左传》宣公九年“發徵期會”;《史記》〈貨殖列傳〉“徵拜郞中”;《後漢書》〈張衡傳〉“徵拜尙書”; 조건 있게 초빙하는 것,《左傳》宣公九年“王使來徵聘”; 강제로 관청에서 민간의 인력과 물력을 거두는 것,《孟子》〈盡心下〉“有布縷之徵,粟米之徵”; 분명한 흔적,《荀子》“觀國之强弱貧富有徵”; 정벌(征),東征(討)西討(伐)南征北戰
 
4. 牧 - 갑골문, 원래는 손에 작대기를 들고 소(양)를 방목함 ;《周禮》〈牧人〉“掌 牧六牲(소, 말, 돼지, 양, 개, 닭)”;《說文解字》“牧,養牛人也”;《左傳》昭公七 年“馬有圉,牛有牧”; 《爾雅》〈釋地〉“郊外謂之牧”
 
5. 君 - 갑골문, 원래는 지팡이를 잡고 명령을 내리다 ; 《說文解字》“君,尊也”; 尹(통치자)+口=君 ; 고대에 大夫 이상 토지가 있는 통치자를 통칭함 ; 군주,《荀子》〈禮論〉“君者,治辨之主也”; 제후의 아들(신릉군, 평원군...) ; 상대의 존칭(남녀 가리지 않음, 諸君), 杜甫《江南逢李龜年》“落花時節又逢君”; 부부간의 통칭, 杜甫《新婚别》君行雖不遠,守邊赴河陽 ; 처가 남편의 부모를 부를 때, 君舅, 君姑 ; 덕 있는 사람,《孟子》〈公孫丑下〉“君子有不戰”; 漢代에 여성의 이름으로 많이 사용, 許平君(宣帝 1황후), 霍成君(宣帝 2황후), 王昭君(落雁, 흉노 單于 부인, 春來不似春의 주인공), 王政君(元帝 황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129강 (2016. 7. 8)
• 제128강 (2016. 7. 1)
• 제127강 (2016. 6. 24)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