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2년
2022년 12월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15일
2022년 11월
2022년 11월 3일
2022년 10월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0일
2022년 10월 13일
2022년 10월 6일
2022년 9월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16일
2022년 9월 2일
2022년 8월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19일
2022년 8월 12일
2022년 8월 5일
2022년 7월
2022년 7월 29일
2022년 7월 22일
2022년 7월 15일
2022년 7월 8일
2022년 6월
2022년 6월 24일
2022년 6월 17일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3일
2022년 5월
2022년 5월 27일
2022년 5월 20일
동양고전 제269강 강의교안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6일
2022년 4월
2022년 4월 27일
2022년 4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 사기 주본기
【학습】
(2023.11.04. 10:37) 
◈ 동양고전 제269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69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2,05,20)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69강(22,05,20) 강의 보충자료
 
 
*《後漢書》〈五行志〉「直如弦, 死道邊, 曲如鉤, 反公侯」--東漢, 順帝, 直臣太尉李固와 權臣大將軍梁冀
 
* 梓 보충설명 《史記》〈貨殖列傳〉「江南出楠梓」 ; 목기 제작하는 사람, 《周禮》〈考工記〉「一曰攻木之工, 凡七工:一日輪人, 制作車輪、車蓋;二曰輿人, 制作車箱;三曰弓人, 制作弓;四曰廬人, 制作廬器(戈、戟、殳、矛等長兵器);五曰匠人, 建造城郭、宮室、門墻、道路,以及開挖溝渠等;六曰車人, 制作耒和大車;七曰梓人, 制作懸挂鍾磬之笱虞, 制作飮器及射侯等。」 ; 《周禮》〈考工記〉의 수공업자의 분류 第一類攻木之工, 凡七工 ; 第二類攻金之工, 凡六工(筑、冶、鳧、栗、段、桃) ; 第三類攻皮之工, 凡五工(函、鲍、韗、韋、裘) ; 第四類設色之工, 凡五工(畵、繢、鍾、筐、㡛) ; 第五類刮磨之工, 凡五工(玉、榔 、雕、矢、磬) ; 第六類摶埴之工,凡二工(陶、瓬)」
 
1.材 - 갑골문, 원래는 기둥, 준비되었지만 아직 사용하지 않은 나무재료 ; 《說文解字》「材, 木梃也」 ; 건축재료, 《莊子》〈人間世〉「自吾執斧斤以隨夫子, 未嘗見材如此其美也」 ; 재료, 《左傳》隱公五年條「其材足以備器用」 ; 五材:金、木、水、火、土也。又六材:木工、金工、皮工、設色之工、刮磨之工、搏埴之工也。百工飾化八材:珠、象、玉、石、土、金、革、羽也 ; 才와 통한다, 才能,能力 ; 人才(완성품,현재형,無德有才) ; 人材(미완성품,미래형,有德無才) ; 人財(재무에 능한 CFO,有德有才) ; 人裁(無德無才) ; 財와 통한다, 財物
 
2.事 - 갑골문, 원래는 필기구를 잡고 글을 쓰는 것, 吏、事、史는 어원이 같다 ; 《說文解字》「事, 職也」 ; 명령, 《墨子》〈尚賢上〉「是在王公大人, 爲政於国家者, 不能以尚賢事能爲政也」 ; 섬기다(侍奉), 《論語》〈学而〉「事父母, 能竭其力.,事君, 能致其身」 ; 일하다, 《論語》〈学而〉「敏於事而愼於言」
 
3.篇 - 篆書, 원래는 죽간 ; 《說文解字》「篇, 書也」 淸代段玉裁의 注「書, 箸也。箸於𥳑牘者也。亦謂之篇。古曰篇。漢人亦曰卷。卷者, 縑帛可捲也。」 ; 詩歌 등 문예저작,《史記》〈屈原賈生列傳〉「一篇之中三致志焉」 ; 《論衡》〈自紀〉「世無一卷, 吾有百篇」 ; 首尾完整한 文章 ; 저서의 일부분(a piece of writing) ; 篇翰(篇章, 篇簡);篇卷(書籍);篇册(書籍);篇典(典籍);篇秩(書籍의 篇卷);篇次(書籍 중 篇章의 順序):篇記;篇條(篇章);篇体(文章의 体裁);篇辭(篇章, 文章);篇題(篇章의 標題);篇首(篇章의 시작);篇末(篇章의 결말) ; 韋編(篇)三節, 《史記》〈孔子世家〉「晚而好易, 序彖、系、象、說卦、文言。讀《易》, 韋編三絶。假我數年, 若是, 我于《易》則彬彬矣。」
 
4.行 - 갑골문, 원래는 사방으로 통하는 십자로 ; 《說文解字》「行, 人之步趨也」 ; 가다, 달리다, 步, 趨, 走, 跑, 逃, 去, 往, 奔 즉 《釋名》「徐行曰步,疾行曰趨,疾趨曰走(跑)」 현재 가고 있슴-行(작은 걸음, 도로를 걸어감) ; 이미 갔다-去 ; 《爾雅》「室中謂之時, 堂上謂之行, 堂下謂之步, 門外謂之趨, 中庭謂之走, 大路謂之奔」 ; 군대 대오, 《史記》〈陳涉世家〉「陳勝、吳廣皆次當行」, 陳勝의 4가지 말(중국 수 천 년 농민반란의 슬로건), 「苟富貴, 勿相忘」, 「燕雀安知鴻鵠之志哉」, 「王侯將相有種乎」, 「伐無道,誅暴秦」 ; 가다, 《禮記》〈中庸〉「君子之道, 譬如行遠必自邇, 譬如登高必自卑」 참고 遠近遐邇-遐方, 遐心, 遐觀, 遐僻(偏遠), 遐籍(古代典籍), 遐荒(荒蕪地), 遐升(死亡), 遐齡(老人) ; 邇來(近來), 邇人(近人, 親近的人), 邇日(近日, 近来);邇年(近年), 邇時(近时, 近来) ; 《老子》「九層之臺, 起於壘土, 千里之行, 始於足下。爲者敗之, 執者失之。是以聖人無爲故無敗, 無執故無失」 ; 《論語》〈述而〉「三人行, 必有我師焉。擇其善者而從之, 其不善者而改之」 ; 《史記》〈屈原賈生列傳〉「屈原至江濱, 被髮行吟澤畔, 顔色憔悴, 形容枯槁」 ; 군주의 임시거주지, 蔡邕, 《獨斷》「天子以四海爲家, 故謂所居爲行在所」
# 사기 주본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70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69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68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