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2년
2022년 12월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15일
2022년 11월
2022년 11월 3일
2022년 10월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0일
2022년 10월 13일
2022년 10월 6일
2022년 9월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16일
동양고전 제285강 강의교안
2022년 9월 2일
2022년 8월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19일
2022년 8월 12일
2022년 8월 5일
2022년 7월
2022년 7월 29일
2022년 7월 22일
2022년 7월 15일
2022년 7월 8일
2022년 6월
2022년 6월 24일
2022년 6월 17일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3일
2022년 5월
2022년 5월 27일
2022년 5월 20일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6일
2022년 4월
2022년 4월 27일
2022년 4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 논어 위정편 # 사기 주본기
【학습】
(2023.11.04. 12:18) 
◈ 동양고전 제285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85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2,09,16)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85강(22,09,16) 강의 보충
 
 
* 김희곤선생님 질문
1. 數의 여러 가지 발음-수(shù, shǔ) 삭(누차, 빈번, 자주, 친밀, 친근, 세밀, 가까이... shuò), 그리고 형용사로 쓰일 때 촉(세밀한, 조밀한 cù)-촉은 몇 개의 古文 외에는 거의 사용 안함.
2. 한국에서 발음 촉
(예문1) 《孟子》〈梁惠王上〉「數(촉)罟不入洿池, 魚鱉不可勝食也」
3. 중국에서 발음-삭(shuò) or 촉(cù) 등으로 책마다 다름
(예문2) 중국 사전에서 발음은 삭 or 촉, 그러나 삭(shuò)이 많고 일부만 촉으로 읽는다.
(1) 《廣韵》 shuò ; 北宋, 陳彭年과 丘雍 저작, 1008년 완성
(2) 《集韵》〈燭韵〉「數(삭shuò, 촉cù), 細也」 「數(삭, 촉)罟不入洿池, 魚鱉不可勝食也」 趙歧注..數(삭, 촉)罟, 密網也」 ; 北宋, 丁度 등, 1039년 완성
(3)(예문3) 《呂氏春秋》〈辯土〉「慎其種, 勿使數(삭, 촉), 亦無使疏」
(4)(예문4) 《史記》〈蘇秦列傳〉「地名雖小, 然而田舍 廬廡之數(삭, 촉), 曾無所芻牧」
(5)(예문5) 唐, 柳宗元 《小石城山記》「其疏數(삭, 촉)偃仰, 類智者所說施也」
(6)(예문6) 《論語》〈里仁〉「朋友數(삭), 斯疏矣」
(7)(예문7) 《孔子家語》〈賢君〉「故夫不比于數(삭), 而比于疏, 不亦遠乎」
4. 한국출처 -《大漢韓辭典》,博文出版社,1964(수, 삭) ; 《漢韓大字典》,民衆書林,1981(수, 삭, 촉)
5. 중국출처 -《說文解字》 ; 《廣韵》 ; 《集韵》 ; 《康熙字典》 ; 《新華字典》 ; 《現代漢語詞典》 ; 《漢語大字典》-대부분 수와 삭 ; 《漢字源流大典》,華語敎學出版社,1993-수(shù, shǔ)와 삭(shuò), 촉(cù) 처음 등장
6. 일본출처 -《字通》(수すう, 삭さく, 촉そく-數罟そくに, 한국어 소쿠리?)
7. 결론 - 촉의 발음은 삭 or 촉 통용, 발음은 책마다 다르고 통일성이 없으며, 촉은 古文의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현재는 거의 삭으로 통일하는 경향이 있는 걸로 보임.
 
 

 
《論語》〈爲政〉 注釋
12.子曰:君子不器
 
 
注釋)
1. 君子 - 인격 고상하고 도덕 품행을 갖춘 사람 ; 타인에 대한 존칭(先生) ; 고대에 지위가 높은 사람 ; 고대에 부인이 남편을 일컬을 때 호칭 ; 才、德、学겸비한 선비 ; 美酒 ; 竹의 아름다운 별칭 ; 차를 마시고 마지막에 맹물로 입가심 할 때의 물(君子茶) 또 原典에서는 《論語》〈爲政〉「子貢問君子, 子曰:先行其言, 而後從之」 ; 《論語》〈爲政〉「子曰: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
2. 器 - 器具, 器皿 - 각각 한 부분에서 전용하는 용도가 있음 ; 工具 ; 또 原典에서는 《禮記》〈學記〉「大道不器。鄭玄注:謂聖人之道, 不如器施于一物」 ; 《論語》〈爲政〉「君子不器。《何晏集解》引用 包咸曰:器者各周其用, 至于君子, 無所不施」 ; 《易經》〈系辞〉「形乃謂之器」 器는 바로 形;形은 무엇인가? 形은 바로 相이다. 그래서 君子不器는 바로 君子不相과 같다. 《易經》〈系辞〉「形而上者謂之道, 形而下者謂之器」 즉 道是整体, 道是系统。器是工具, 器是容器。道有主動性, 器爲被動性。道是思想, 器爲身体」
3. 君子不器의 다양한 해석
1) 군자는 그릇처럼 한 방면에 국한되지 않는다.(朱子)
2) 군자는 다방면의 재능을 갖춘다(孔子-天道, 地道, 人性)
3) 군자는 수단에 구속되지 않고, 또 그 배후의 목적을 생각하지도 않는다.
4) 군자는 타인의 도구가 되지 않는다.
5) 군자는 실용과 이익적 가치추구를 최종 목적으로 하지 않고, 無用의 大道를 추구하는 것을 더 가치 있게 여긴다.
 
 

 
〈周本紀〉 注釋
 
1. 道 - 갑골문, 원래는 사거리 도로 ; 《說文解字》「道, 所行道也。從辵, 從首」 ; 도로, 《诗》〈小雅〉「周道如砥, 其直如矢」 ; 《史記》〈陳涉世家〉「会天大雨, 道不通」 ; 수로, 《左傳》昭公十三年「晋侯会吳子于良, 水道不可, 吳子辞乃還. 孔穎達疏:謂水路不通」 ; 《史記》〈河渠書〉「延道弛兮離常流, 蛟龍騁兮方遠游」 ; 통로, 《管子》〈君臣下〉「四肢六道, 身之体也。尹知章注:六道謂上有四窍, 下有二窍也」 ; 일정, 《三国志》〈魯肅傳〉「到夏口, 聞曹公已向荆州, 晨夜兼道」 ; 방향(위), 《史記》〈游俠列傳〉「北道姚氏, 西道諸杜, 有道仇景, 東道趙他、羽公子……此皆鄕者朱家之羞也。司馬貞《索隱》 引用 蘇林曰:道, 猶方也」 ; 종류, 《禮記》〈檀弓上〉「且臣聞之, 哭有二道:有愛而哭之, 有畏而哭之」 ; 항렬, 《儀禮》〈喪服〉「其夫属乎父道者, 妻皆母道也;其夫属乎子道者, 妻皆婦道也。鄭玄注:道, 猶行也」 ; 방법, 《商君書》〈更法〉「治世不一道, 便国不必法古」 ; 기예(술), 《周禮》〈春官〉「凡有道者, 有德者, 使教焉。鄭玄注:道, 多才藝」 ; 우주만물의 본체, 《易經》〈系辞上〉「一陰一陽之謂道。韓康伯注:道者, 何無之稱也, 無不通也, 無不由也, 况之曰道」 ; 법칙(규율), 《易經》〈設卦〉「是以立天之道曰陰與陽, 立地之道曰柔與剛, 立人之道曰仁與義」 ; 정치주장(사상체계), 《論語》〈衛靈公〉「道不同, 不相爲謀」 ; 정치적 조치, 《史記》〈仲尼弟子列傳〉「子思問耻。孔子曰:国有道, 谷。国無道, 谷, 耻也。裴骃《集解》 引用 孔安国曰:谷, 禄也。邦有道, 當食禄」 ; 도덕, 《左傳》桓公六年「所謂道, 忠于民而信于神也」 ; 《孟子》〈公孫丑下〉「得道者多助, 失道者寡助」 ; 祭名 ; 道家学派 ; 方術 ; 道教或道士 ; 古代行政區劃名 ; 經過 ; 實行 ; 말하다 ; 알다, ; 정직......
# 논어 위정편 # 사기 주본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86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85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84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