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2년
2022년 12월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15일
2022년 11월
2022년 11월 3일
2022년 10월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0일
2022년 10월 13일
2022년 10월 6일
2022년 9월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16일
2022년 9월 2일
2022년 8월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19일
2022년 8월 12일
2022년 8월 5일
2022년 7월
2022년 7월 29일
2022년 7월 22일
2022년 7월 15일
2022년 7월 8일
2022년 6월
2022년 6월 24일
2022년 6월 17일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3일
2022년 5월
2022년 5월 27일
동양고전 제270강 강의교안
2022년 5월 20일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6일
2022년 4월
2022년 4월 27일
2022년 4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 논어 학이편
【학습】
(2023.11.13. 15:00) 
◈ 동양고전 제270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0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2,05,27)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0강(22,05,27) 강의 보충자료
 
 
*《論語》〈學而〉
15.子貢曰..貧而無諂,富而無驕,何如? 子曰..可也。未若貧而樂道,富而好禮者也。子貢曰..《詩》云,如切如磋,如琢如磨,其斯之謂與? 子曰..賜也! 始可與言《詩》已矣,告諸往而知來者。
 
(주석)
1) 諂 - 아첨 ;
2) 何如 - 《論語》에 나오는 “何如”는 모두 어떻습니까? 如何(怎么样) ;
3) 貧而樂 - 어떤 책에는 貧而樂道 ;
4) 如切如磋,如琢如磨 - 《詩經》〈淇澳〉에 처음 나온다. 切(骨)磋(象牙, 角)琢(玉)磨(石) ;
5) 其斯之謂與(豈說的和这一樣) -- 其~豈(難道,怎麽) ; 斯~這,這個 ; 之~뜻없슴 ; 謂~告,言 ; 與~和,同,跟
6) 賜 - 端木賜, 공자는 학생들의 이름을 불렀다. ;
7) 告諸往而知來者 - 諸는 之於, 於之와 같다(원래 자者, 제, 저?, 중국어발음은 zhu), 문장 끝에 있으면 之乎와 같다.;往은 과거의 일;來는 미래의 일
 
*「其斯之謂與」의 풀이
 
구분      其    斯   之     謂    與
첫 번째 주장  대개   이것  그것을   말하다  어조사 歟
(번역) 대개 이것은(시경에 나오는 말) 그것을(공자 말씀) 말하는 것입니까?
두 번째 주장  설마~  이것  뜻 없슴   말하다  ~와 같은 / ~와 함께
(번역)설마 이것은 공자님이 말한 그것과 같은 의미로 말하는 것입니까?
 
《春秋穀梁傳》「唇亡齒寒, 其斯之謂與」 ; 《論語》〈季氏篇〉「齊景公有馬千駟......其斯之謂與」
 
 

=> 周公行政七年, 成王長, 周公反政成王, 北面就群臣之位。

 
1. 政 - 갑골문, 원래는 무력으로 정벌하고 폭력으로 통치하는 것 ; 《說文解字》「政, 正也」, 糾之使正,匡正 ; 무력정복, 《大戴禮記》〈用兵〉「諸侯力政, 不朝於天子」 注..「力政, 城道之役也」 ; 바로잡다, 《論語》〈爲政〉「政者, 有所改更匡正」 ; 다스리다, 《後漢書》〈桓譚馮衍傳〉「蓋善政者, 視俗而施教, 察失而立防, 威德更興, 文武迭用」 ; 정치(정권), 《韓非子》〈内儲說下〉「州吁果殺其君而奪之政」 ; 관리기관, 財政, 郵政, 民政
 
2. 七 - 갑골문, 원래는 나눌 때 근거가 되는 숫자 ; 《說文解字》「七, 陽之正(數)也」 ; 일곱, 《漢書》〈律曆志〉「七者, 天地四時人之始也」 ; 七宝(불교, 아미타경-金、銀、琉璃、硨磲(거거)、瑪瑙(마노)、珍珠、玫瑰-경전마다 종류가 다르게 나옴);七秩(七十大壽) ; 七雄(戰國의 秦、韓、魏、楚、燕、齊、趙);七苦(佛經-生、老、病、死、怨憎會、愛别離、求不得);七出(七去, 休妻, 소박(疏薄) 《儀禮》〈喪服〉「無子, 一也;淫佚(편안할 일), 二也;不事舅姑, 三也;口舌, 四也;盜竊, 五也;妬忌, 六也;惡疾, 七也(《禮記》〈本命〉「不順父母去, 無子去, 淫去, 妒去, 惡疾去, 多言去, 竊盜去) ; 《禮記》〈本命〉「三不去:有所取(娶), 無所歸, 不去。與更(대신에)三年喪, 不去。前貧賤後富貴, 不去。大罪有五:逆天地者, 罪及五世。誣文武者, 罪及四世。逆人倫者, 罪及三世。誣鬼神者, 罪及二世。殺人者, 罪止其身 ; 七不出門(柴、米、油、鹽、醬、酢(醋)、茶)과 八不還家(忠、孝、悌、信、禮、義、廉、恥) ; 성씨 ; 사후 7일마다 지내는 제사(7×7=49제) ; 文体名, 七体(《楚辭》에 최초 등장, 賦의 일종)
 
3. 年 - 갑골문, 원래는 수확한 곡식을 집으로 옮겨가는 것 ; 《說文解字》「年(秊),穀孰也」 ; 거둔 것을 축하하는 날, 《穀梁傳》桓公三年「五穀皆熟爲有年也」 ; 宣公十六年「五穀大熟爲大有年」 ; 《孟子》〈梁惠王上〉「無恒産而有恒心者, 惟士爲能。若民, 則無恒産, 因無恒心。苟無恒心, 放辟邪侈, 無不爲已。及陷於罪, 然後從而刑之, 是罔民也。焉有仁人在位, 罔民而可爲也! 是故明君制民之産, 必使仰足以事父母, 俯足以畜妻子, 樂歲終身飽, 凶年免於死亡 ; 然後驅而之善, 故民之從之也輕。今也制民之産, 仰不足以事父母, 俯不足以畜妻子, 樂歲終身苦, 凶年不免於死亡;此惟救死而恐不贍, 奚暇治禮義哉!」 ; 나이, 《世說新語》〈自新〉「欲相修改, 而年已蹉跎, 終無所成」 ; 韓愈《師說》「彼與彼年相若, 道相似也」 ★나이를 묻는 용어-幾歲(몇 살), 多大, 年紀, 年齡, 年齒, 年歲, 歲數, 春秋, 貴庚 ; 1년, 《戰國策》〈齊策〉「期年之後, 雖欲言, 無可進者」 ; 《孟子》〈滕文公上〉「當堯之時, 天下猶未平, 洪水橫流, 氾濫於天下, 草木暢茂, 禽獸繁殖, 五穀不登, 禽獸逼人, 獸蹄鳥迹之道, 交於中国。......當是時也, 禹八年於外, 三過其門而不入, 雖欲耕, 得乎?」
* 시간 - (불교-生滅-刹那0.013초-息-念-瞬-彈指-羅預-須臾), 秒, 分, 時, 日, 月, 年
 
4. 成 - 갑골문, 원래는 무력으로 정복하다 ; 《說文解字》「成, 就也」 ; 화해, 《戰國策》〈趙策〉「皆欲割諸侯之地以與秦成」 ; 관리하다, 《周禮》〈地官〉「質人掌成市之貨賄、人民、牛馬、兵器、珍異」 ; 이루다, 《史記》〈平原君虞卿列傳〉「公等錄錄, 所謂因人成事者也」 ; 결과를 이루다, 諸葛亮《後出師表》「至于成敗利鈍, 非臣之明所能逆睹也」 ; 타인이 목적을 이루도록 도와주다, 《論語》〈顔淵〉「子曰..君子成人之美, 不成人之惡。小人反是」 ; 변하다, 《荀子》〈勸學〉「積土成山, 風雨興焉」 ; 완성하다, 韓愈《送許郢州序》「凡天下事, 成於自同, 而敗於自異」 ; 성장하다, 《左傳》哀公五年「齊燕姬生子, 不成而死。杜豫注..不成, 未冠也」 ; 병렬하다, 《儀禮》〈既夕禮〉「俎二以成, 南上。鄭玄注..成, 猶并也」 ; ~와 같다, 韓愈《過鴻溝》「誰勸君王回馬首, 眞成一擲賭乾坤」 ; 성취하다, 李白《化城寺大鍾銘》「(李公)少薀才略, 壯而有成」 ; 통계장부, 《周礼》〈天官〉「以參互攷日成, 以月要攷月成, 以歲會攷歲成」 ; 층, 《呂氏春秋》〈音初〉「爲之九成之台。高誘注..成, 猶重」 ; 10분의 1, 《老殘游記》第三回「冤枉一定是有的, 自勿庸議..但不知有幾成不冤枉的?」 ; 樂曲, 《尙書》〈益稷》「簫韶九成, 鳳凰來儀」 ; 井田制의 1 부분, 《左傳》哀公元年「有田一成, 有衆一旅」
# 논어 학이편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71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0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69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