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2년
2022년 12월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15일
2022년 11월
2022년 11월 3일
2022년 10월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0일
2022년 10월 13일
2022년 10월 6일
2022년 9월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16일
2022년 9월 2일
2022년 8월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19일
2022년 8월 12일
2022년 8월 5일
2022년 7월
2022년 7월 29일
2022년 7월 22일
2022년 7월 15일
동양고전 제277강 강의교안
2022년 7월 8일
2022년 6월
2022년 6월 24일
2022년 6월 17일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3일
2022년 5월
2022년 5월 27일
2022년 5월 20일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6일
2022년 4월
2022년 4월 27일
2022년 4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 논어 위정편 # 사기 주본기
【학습】
(2023.11.04. 11:11) 
◈ 동양고전 제277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7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2,07,15)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7강(22,07,15) 강의 보충
 
*《論語》〈爲政〉
4.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学,三十而立,四十而不惑,五十而知天命,六十而耳顺,七十而從心所欲,不逾矩。(七十而從心, 所欲不逾矩)
 
(1) 有 - 또 又
(2) 而 - 連詞, 말 이을, 그리고, 그래서, 그러나, 즉
(3) 志 - 立志-聖人 또는 科擧, 즉 「先立志, 後學習」
(4) 學 - 학습, 학문-어떤 학문-a.大學之道 「八歲上小学,十五歲入大学」 ; b.6藝(書,禮,樂,射,御,數) ; c.6經《禮記》〈經解〉의 「詩、書、禮、易、樂、春秋之敎」 -왜?-당시 귀족이 백성을 통치하기 위한 필수과목
(5) 立 - 왜 立만 한 글자로 표현했을까? 의미는 a.학문적, 가정적, 경제적으로 완전한 성취와 독립 ; b.思想+言+行+禮 완성 ; c.「己立而立人」으로 聖賢을 닮겠다는 노력의 일환으로 자신의 人生觀, 價値觀, 宇宙觀의 확립 ; d.삶의 방향을 찾다
(6) 惑 - 「知者不惑」으로 일체 道理(心, 身, 外界)와 지식에 의혹이 없을 정도로 통달, 진정한 立
(7)天命 - 공자는 숙명론자가 아니고, 하늘(절대자)의 의지하는 것도 아님. 「孔子学《易》,乃知天命」 a.《論語》〈述而〉「五十而学易, 可以無大過」 사람의 힘으로 알 수 없는 하늘의 뜻, 즉 자연의 규율과 법칙을 이해, 바꿔 말하면 자신이 세상에 온 것은 어떤 사명이 있지 않을까? b.타인의 힘에 지배받지 않는 것(모르면 당함)
(8) 耳順 - a.順은 通達, 즉 分別眞假, 判明是非하게 되어서 눈으로 보고(明) 귀로 들은(聰) 일체의 것이 공자가 알고있는 것과 거슬리는 것이 없을 정도이고 ; b.그 안에 내포된 의미를 알 정도로 「耳順,聞其言而知微旨也」 c.자기에게 불리한 말을 들어도 즐겁게 받아들이는 것(일본학계)
(9) 從心 - 縱 즉 放縱, 마음에 따라서 하고자 하는 바를 행해도 예의와 법규에 벗어나지 않음 ; 전체 문장 구조상 「七十而從心, 所欲不逾矩」 참고할 것
(10) 矩 -법규 결론적으로, 자신의 학문과정을 제자들에게 설명한 말이며, 1단계 15-40은 배우고 깨닫는 시기 ; 2단계 50-60은 학문적으로 숙성된 시기 ; 3단계 70 이후는 수행+사상+언어+행동=융합시기로 경지에 이르렀음을 표현함.
 
立德(品德修行),「克己復禮爲仁」
立身(修身)--倫理+學問--三不朽--立功(身分等級),「君君臣臣父父子子」
立言(學問思想),「學而不思則罔,思而不學則殆」
立--完成--立家(齊家)--婚姻+宗族--三不孝--孝, 「不孝有三, 無後爲大」
立業(治國)--經濟+社會--四階級--士, 農, 工, 商--경제생활 확보
 

 
《史記》〈周本紀〉4-023
 
1. 居 - 갑골문, 원래는 여성이 막 아이를 낳고 휴식하는 모습 ; 《說文解字》「居, 蹲也, 從尸, 古者居從古, 俗居從足」 ; 거처하다, 《左傳》哀公元年「昔闔閭食不二味, 居不重席, 室不崇壇, 器不彤鏤, 宫室不觀, 舟車不飾, 衣服財用, 擇不取費」 ; 《荀子》〈勸學〉「君子居必擇鄕, 游必就士, 所以防邪僻而近中正也」 ; 《老子》31章「夫唯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兵者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于天下矣。吉事尚左, 凶事尚右。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言以喪禮處之。殺人之衆, 以悲哀莅之, 戰勝以喪禮處之」 ; 거주하다, 《穀梁傳》僖公二十四年「居者, 居其所也」 ; 앉다, 《禮記》〈樂記〉「居, 吾語女。注 : 坐也」 ; 《仲尼燕居》「孔子閑居」 ; 휴식하다, 《淮南子》〈人間訓〉「居數月」 ; 주소, 《左傳》宣公二年「(趙盾)問何故, 對曰..翳桑之餓人也。問其名居, 不告而退。遂自亡也」 ; 쌓다, 《國語》〈晋語〉「宣子曰..吾有卿之名而無其實, 無以從二三子, 吾是以憂, 子賀我, 何故? 對曰..昔欒武子無一卒之田, 其宫不備其宗器, 宣其德行, 順其憲則, 使越于諸侯。諸侯親之, 戎狄懷之, 以正晉國。行刑不疚, 以免于難。及桓子, 驕泰奢侈, 貪欲無藝, 略則行志, 假貨居賄, 宜及于難, 而賴武之德以沒其身」
# 논어 위정편 # 사기 주본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78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7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6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