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2년
2022년 12월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15일
2022년 11월
2022년 11월 3일
2022년 10월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0일
2022년 10월 13일
2022년 10월 6일
2022년 9월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16일
2022년 9월 2일
2022년 8월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19일
2022년 8월 12일
2022년 8월 5일
2022년 7월
2022년 7월 29일
2022년 7월 22일
2022년 7월 15일
2022년 7월 8일
2022년 6월
2022년 6월 24일
2022년 6월 17일
동양고전 제273강 강의교안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3일
2022년 5월
2022년 5월 27일
2022년 5월 20일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6일
2022년 4월
2022년 4월 27일
2022년 4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학습】
(2023.11.04. 10:50) 
◈ 동양고전 제273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3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2,06,17)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3강(22,06,17) 강의 보충자료
 
 
* 펄벅의 중국이름(賽珍珠)에 나타난 賽(새)-굿, 신의 은혜에 감사하며 지내는 제사
기독교 선교사라서 이렇게 이름을 지었다 ?
펄벅의 원래 이름은 Pearl Sydenstricker(아버지 성, 족보상 남자는 농부, 여자는 선생님 많음)이고, 결혼하고 나서 남편 성씨 Buck을 따라서 Pearl Sydenstricker Buck이 되었다. 중국어로 번역할 때는 Sydenstricker를 賽로 Pearl은 珍珠로 옮겼습니다. 즉 Sydenstricker가 성씨이고, 고향의 지명(오하이오, 켄터키, 아이오와 등 東中部에 집성촌)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 참고로 펄벅은 한국에 와서는 박진주(朴珍珠), 즉 결혼이후 남편 성씨 Buck을 성씨로 사용.
 
 
*《論語》〈學而〉
16.子曰:“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
 
患-근심, 걱정, 두려움 ; 人-다른 사람, 즉 교양, 지식이 있는 사람으로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님 ; 学而優則仕(적극적 入世 태도)
*比你優秀的人, 根本沒有時間理你, 比你差的人, 才會在你背後捅刀
 
 

 
1. 營 - 篆書, 宮(집)+熒등불 형(소리)=營, 원래는 사방에 흙을 쌓아 거주하다 ; 《說文解字》「營,帀(잡)居也」 段玉裁注「帀居, 謂圍繞而居」 ; 군대, 《出師表》「先帝創業未半而中道崩殂, 今天下三分, 益州疲弊, 此誠危急存亡之秋也。然侍衛之臣不懈于内, 忠志之士忘身于外者, 盖追先帝之殊遇, 欲報之于陛下也。誠宜開張聖聽, 以光先帝遺德, 恢弘志士之氣, 不宜妄自菲薄, 引喩失義, 以塞忠諫之路也。......愚以爲宮中之事, 事無大小, 悉以咨之, 然后施行, 必能裨補闕漏, 有所廣益。將軍向寵, 性行淑均, 曉暢軍事, 試用于昔日, 先帝稱之曰能, 是以衆議擧寵爲督。愚以爲營中之事, 悉以咨之, 必能使行陣和睦, 優劣得所」 ; 군대편제, 軍〉師〉旅〉團〉營〉連〉排〉班〉 ; 軍주둔, 관리, 건설, 계획 ; 경영하다, 《詩經》〈小雅〉「召伯營之」 ; 측량하다, 《廣雅》「營, 度也」 ; 미혹되다, 《淮南子》〈本經〉「則目不營於色」 ; 경작하다, 杜甫《兵車行》「......道旁過者問行人, 行人但云点行頻。或從十五北防河, 便至四十西營田......」
 
2. 洛 - 갑골문, 원래는 강물이 그물 모양처럼 흐르는 것 ; 《說文解字》「洛, 水也。出左馮翊歸德北夷界中, 東南入渭」 ; 《詩經》〈小雅〉「瞻彼洛矣, 維水泱泱。君子至止, 福祿如茨。韎韐有奭, 以作六師」 ; 《山海經》〈西山經〉「爰有淫水, 其淸洛洛」 郭璞注:「淫音瑤也」 즉 전설 중의 水名, 瑤池 ; 《敦煌變文集》〈韓鵬賦〉「三鳥并飛, 兩鳥相搏。一鳥頭破齒落, 毛下分分, 血流洛洛, 馬蹄踏踏, 諸臣赫赫」 ; 《晉書》〈左思傳〉「于是豪貴之家竟相傳寫, 洛陽爲之紙貴」 또 淸, 李汝珍《鏡花緣》「人話洛陽紙貴, 誰知今日鬧到長安扇貴」 ; 성씨 ; 고대에 “烙”과 통용(烙印) ; 駱, 고대 書籍에 말갈기는 하얗고 나머지는 검은 말 ; 雒과 통용, 새 이름(雒鳥)
 
3. 邑 - 갑골문, 원래는 약간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성곽 ; 《說文解字》「邑, 國也」 ; 段玉裁(注)..《左傳》隱公元年..凡稱人曰大国, 凡自稱曰敝邑。古國邑通稱 ; 또 國을 가리킴, 朱駿聲《說文通訓定聲》..「《書經》西邑夏、天邑商、大邑周, 皆謂國」 ; 《尙書》〈湯誓〉「率割夏邑」 ; 도성(수도), 《詩經》〈商頌〉「商邑翼翼, 四方之極」 또 唐·慧琳《一切經音義》 「天子治居之城曰都, 舊都曰邑也」 ; 종묘 없는 도성, 《左傳》莊公28年條, 「凡邑, 有宗廟先君之主曰都, 無曰邑」 孔穎達(疏)「小邑有宗廟, 則雖小曰都, 無乃爲邑, 爲尊宗廟, 故小邑與大都同名」 ; 작은 도성, 《史記》〈五帝本紀〉「一年而所居成聚, 二年成邑, 三年成都」 ; 北宋, 蘇洵《六國論》「秦以攻取之外, 小則獲邑, 大則獲城。較秦之所得, 與戰勝而得者, 其實百倍;諸侯之所亡, 與戰敗而亡者, 其實亦百倍。則秦之所大欲, 諸侯之所大患, 固不在戰矣」 ; 제후의 영지, 《史記》〈李將軍列傳〉「初, 廣之從弟李蔡與廣俱事孝文帝。景帝時, 蔡積功勞至二千石。孝武帝時, 至代相。以元朔五年爲輕車將軍, 從大將軍擊右賢王, 有功中率, 封爲樂安侯。元狩二年中, 代公孫弘爲丞相。蔡爲人在下中, 名聲出(李)廣下甚遠, 然廣不得爵邑, 官不過九卿, 而蔡爲列侯, 位至三公。諸廣之軍吏及士卒或取封侯」 ; 고대 縣의 별칭, 柳宗元《封建論》「秦有天下, 裂都會而爲之郡邑」 ; 행정구역 이름, 《管子》〈小匡〉「制五家爲軌, 軌有長;六軌爲邑, 邑有司」 ; 또《周禮》〈司徒〉「九夫爲井, 四井爲邑, 四邑爲丘, 四丘爲甸, 四甸爲縣, 四縣爲都」 또 《廣雅》〈釋地〉「八家爲鄰, 三鄰爲朋, 三朋爲里, 五里爲邑, 十邑爲都」 ; 식읍(采邑), 《周禮》〈載師〉「以家邑之田任稍地」 또 황후와 공주의 식읍, 《漢書》〈百官公卿表上〉「列侯所食縣曰国,皇太后、皇后、公主所食曰邑」
 
*《爾雅》〈釋地〉「邑外謂之郊, 郊外謂之牧, 牧外謂之野, 野外謂之林」 ; 《周禮》〈秋官〉「郊, 距國(王城)百里爲郊」
 
* 國 〉王畿 〉都 〉城 〉邑 〉郊(100리) 〉牧(州)(200리) 〉野(300리) 〉林〉鄙 〉埛
 
4. 如 - 갑골문, 원래는 따르다 ; 《說文解字》「如, 從隨也。從女, 從口」 ; 마치~와 같다,《史記》〈留侯世家〉「狀貌如婦人女子」 ; 비교하다, 《戰國策》〈齊策〉「窺鏡而自視, 又弗如遠甚」 ; 가다, 《史記》〈屈原賈生列傳〉「以一儀而當漢中地, 臣請往如楚」 ; 《史記》〈項羽本紀〉「坐須臾, 沛公起如厠, 因招樊噲出。沛公已出, 項王使都尉陳平召沛公。沛公曰:今者出, 未辭也, 爲之奈何? 樊噲曰:大行不顧細謹, 大禮不辭小讓」 ; 직면하다, 《聊齊志異》「淮陽葉生者, 失其名字。文章詞賦, 冠絶當時.,而所如不偶, 因于名場」 ; 같다,《左傳》昭公21年條 「君若愛司馬, 則如亡」 ; 만약, 《論語》〈陽貨〉「如有復我者, 則吾必在墳上矣」 ; 혹은 《論語》〈先進〉「安見方六七十、如五六十, 而非邦也者」
 
5. 意 - 금문, 원래는 마음의 소리 ; 《說文解字》「意, 志也。從心察言而知意也。從心, 從音」 ; 뜻, 《史記》〈項羽本紀〉「起舞, 常以身翼蔽沛公, 莊不得擊。于是張良至軍門見樊噲。樊噲曰:今日之事何如?良曰:甚急!今者項莊拔劒舞, 其意常在沛公也」 ; 宋·歐陽脩 《醉翁亭記》「醉翁之意不在酒, 在乎山水之間也」 ; 생각하다, 《管子》〈小問〉「而小人善意。臣意之也」 ; 의심하다, 《漢書》〈梁孝王武傳〉「于是天子意梁」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74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3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2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