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2년
2022년 12월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15일
2022년 11월
2022년 11월 3일
2022년 10월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0일
2022년 10월 13일
2022년 10월 6일
2022년 9월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16일
2022년 9월 2일
2022년 8월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19일
2022년 8월 12일
2022년 8월 5일
2022년 7월
2022년 7월 29일
2022년 7월 22일
2022년 7월 15일
2022년 7월 8일
2022년 6월
2022년 6월 24일
2022년 6월 17일
2022년 6월 10일
동양고전 제272강 강의교안
2022년 6월 3일
2022년 5월
2022년 5월 27일
2022년 5월 20일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6일
2022년 4월
2022년 4월 27일
2022년 4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 사기 주본기
【학습】
(2023.11.04. 10:43) 
◈ 동양고전 제272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2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2,06,10)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2강(22,06,10) 강의 보충자료
 
 
* 한국은 更衣室(경의실) - 중국은 掛衣室로도 사용, 更衣室은 更換衣服之處, 更의 발음 같음(geng)-일본은 こういしつ ; 영어는 changing room、dressing room
 
* 一期一會-일본식 4자성어-인생에 한번, 매순간 최선을 다하자, 일본 禪佛敎의 용어 ; 중국에서는 會者定離,一期一祈---一生只有一次的缘分, 祈禱感恩一次
 
 
1. 位 - 갑골문, 원래는 천자 조회 시 신하가 서있는 자리 ; 《說文解字》「位, 列中庭之左右謂之位」 ; 破字, 人+立=位(독립 공간) ; 신하들이 서있다, 《周禮》〈秋官〉「面三槐, 三公位焉」 ; 관직, 韓愈《師說》「位卑則足羞, 官盛則近諭」 ; 자리, 《周禮》〈朝士〉「掌外朝之位」 ; 《論語》〈泰伯〉「子曰:不在其位, 不謀其政」(元·無名氏《臨潼斗宝》「聖人云..不在其位,不謀其政.,既在其位,必謀其政 또 《漢書》〈楊胡朱梅雲傳〉「臣聞..不在其位,不謀其政,政者職也,位卑而言高者,罪也」)
 

 
4-023.
´成王在豐, 使召公復營洛邑, 如武王之意。 周公復卜申視, 卒營築, 居九鼎焉。 曰 : “此天下之中, 四方入貢道里均。” 作召誥、洛誥。
 
 
1. 豊 - 甲骨文, 원래는 토지 경계에 표시로 심는 초목 ; 첫째, 풍(feng)으로 읽으면, 豐과 동일, 《玉篇》〈豐部〉「豐, 大也。俗作豊」 ; 《說文解字》「豊, 艸盛豊也」 ; 무성한, 《樂府詩集》 曹操, 〈觀滄海〉「東臨碣石, 以觀滄海。水何澹澹, 山島竦峙。樹木叢生, 百草豊茂。秋風蕭瑟, 洪波涌起。日月之行, 若出其中。星漢燦爛, 若出其里。幸甚至哉, 歌以咏志」 ; 《戰國策》〈趙策〉「甘露降, 風雨時至, 農夫登, 年穀豊盈, 衆人喜之」 ; 대량의, 《荀子》〈君道〉「上好貪利, 則臣下百吏乘是而後豊取刻與, 以無度取千民」 ; 둘째, 예(li)로 읽으면, 제사 때 사용하는 그릇(古代祭祀用的礼器),《說文解字》〈豊部〉「行禮之器也」
 
2. 使 - 甲骨文, 원래는 손에 붓을 쥐고 공문서를 쓰다 ; 史는 使의 本字, 吏, 事, 史는 모두 同源 ; 《說文解字》「使, 伶也」(또 「命, 使也」 注..令者, 發號也, 君事也, 非君而口使之, 是亦令也。故曰命者, 天之令也」) ; 사신으로 나가다, 《論語》〈子路〉「子貢問曰:何如斯可謂之士矣? 子曰:行己有恥, 使于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 《左傳》成公九年條 「欒書伐鄭, 鄭人使伯蠲(밝을 견)行成, 晋人殺之, 非禮也。兵交, 使在其間可也」 ; 《詩經》〈小雅〉「云不可使, 得罪于天子;亦云可使, 怨及朋友」 ; 《戰國策》〈齊策〉「馮諼(속일 훤)曰:狡兔有三窟, 僅得免其死耳;今君有一窟, 未得高枕而卧也。請爲君復鑿(뚤을 착)二窟。孟嘗君予車五十乘, 金五百斤, 西游于梁, 謂惠王曰:齊放其大臣孟嘗君于諸侯, 諸侯先迎之者, 富而兵强。于是梁王虛上位, 以故相爲上將軍, 遣使者黄金千斤, 車百乘, 往聘孟嘗君。馮諼先驅, 誡孟嘗君曰:千金, 重幣也;百乘, 顯使也。齊其聞之矣。梁使三反, 孟嘗君固辭不往也」 ; 《史記》〈魏公子列傳〉「魏王使將軍晋鄙將十萬衆救趙」 ; 지배, 제어, 부리다, 《論語》 〈學而〉「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관리),使民以時」 ; 晋, 范寧, 《爲豫章臨發上疏》「古之使人, 歲不過三日。今之勞憂, 殆無三日休停」 ; 《史記》〈季布欒布列傳〉「季布爲河東(郡)守, 孝文(漢, 文帝)時, 人有言其賢者, 孝文召, 欲以爲御史大夫。復有言其勇, 使酒難近。至, 留邸一月, 見罷。季布因進曰:臣無功竊寵, 待罪河東。陛下無故召臣, 此人必有以臣欺陛下者;今臣至, 無所受事, 罷去, 此人必有以毁臣者。夫陛下以一人之譽而召臣, 一人之毁而去臣, 臣恐天下有識聞之, 有以窺陛下也。上黙然漸, 良久曰:河東吾股肱郡, 故特召君耳。布辭之官」 ; 명령하다, 《史記》〈項羽本紀〉「懷王因使項羽爲上將軍, 當陽君、蒲將軍皆屬項羽」 ; 설사~할지라도, 《論語》〈泰伯〉「如有周公之才之美, 使驕且吝, 其餘不足觀也已」
 
3. 召 - 甲骨文, 원래는 술과 음식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것 ; 《說文解字》「召, 呼也......以言曰召, 以手曰招」 ; 손님을 접(초)대하다, 《吕氏春秋》〈分職〉「今召客者, 酒酣, 歌舞, 鼓瑟吹竽」 ; 《淮南子》〈脩務〉「楚人有烹猴而召其鄰人, 以爲狗羹而甘之。後聞其猴也, 據地而吐之, 盡瀉其食。此未始知味者也」 ; 부르다(임명하다召拜), 《史記》〈李將軍列傳〉「於是天子乃召拜廣爲右北平太守」 ; 초치하다, 《荀子》〈勸學〉「故言有召禍也, 行有招辱也, 君子愼其所立乎!」
 
4. 公 - 甲骨文, 원래는 공동으로 분배 ; 《說文解字》「公, 平分也。從八, 從厶(私)。八猶背也。韓非曰:背厶(私)爲公」 ; 공정의, 《春秋》〈元命苞〉「公之爲言公正無私也」 ; 《史記》〈屈原賈生列傳〉「屈平疾王聽之不聰也, 讒諂之蔽明也, 邪曲之害公也, 方正之不容也」 ; 공적인 일, 《論語》〈雍也〉「有澹台滅明者, 行不由徑, 非公事未嘗至於偃(子游名, 武城宰)之室也」 ; 제후국, 《公羊傳》「公, 爵名, 五等之首曰公 ; 其餘大國稱侯 ; 小國稱伯、子、男」 ; 나이 든 남자의 존칭, 公公, 公婆, 老公, 太公, 外公 ; 숫컷, 公畜, 公鷄, 公馬, 公牛, 公羊, 公猪 ; 개방(開放), 公報, 公布, 公告, 公開, 公然 ; 공개적으로, 賈誼《論積眝疏》「殘賊公行, 莫之或止;大命將泛, 莫之振救。生之者甚少, 而靡之者甚多, 天下財産何得不蹶!」
 
5. 復 - 갑골문, 원래는 태양이 동쪽에서 다시 동쪽으로 돌아 옴 ; 《說文解字》「復, 往來也」 ; 破字는 字從人, 從日, 從夊(천천히 걸을 쇠) 人은 한 방향으로 확대, 日은 태양 夊는 止 혹은 從 ; 돌아오다, 《史記》〈魏公子列傳〉「數請之, 朱亥故不復謝」 ; 《史記》〈田單列傳〉「燕日敗亡, 卒至河上, 而齊七十餘城皆復爲齊」 ; 회복하다, 諸葛亮《出師表》「攘除奸凶, 興復漢室, 還于舊都」 ; 대답하다, 《孟子》〈梁惠王上〉「有复于王者曰 ; 吾力足以擧百鈞, 而不足以擧一羽;明足以察秋毫之末, 而不見輿薪。則王許之乎?」 ; 보복하다, 桓寬《鹽鐵論》「縱無被堅執銳者北面復匈奴之志」 ; 면제하다, 晁错《論貴粟疏》「民有車騎馬一匹者. 復卒三人(免除三人的兵役) ; 또, 《史記》〈項羽本紀〉「得復見將軍于此」 ; 내피있는 옷, 《釋名》〈釋衣服〉「有里曰復, 無里曰禪」 ; 겹치다, 《史記》〈秦始皇本紀〉「五帝不相復, 三代不相襲」
# 사기 주본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73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2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1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