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2년
2022년 12월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15일
2022년 11월
2022년 11월 3일
2022년 10월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0일
2022년 10월 13일
2022년 10월 6일
2022년 9월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16일
2022년 9월 2일
2022년 8월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19일
2022년 8월 12일
2022년 8월 5일
2022년 7월
2022년 7월 29일
동양고전 제279강 강의교안
2022년 7월 22일
2022년 7월 15일
2022년 7월 8일
2022년 6월
2022년 6월 24일
2022년 6월 17일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3일
2022년 5월
2022년 5월 27일
2022년 5월 20일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6일
2022년 4월
2022년 4월 27일
2022년 4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 논어 위정편 # 사기 주본기
【학습】
(2023.11.04. 11:21) 
◈ 동양고전 제279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9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2,07,29)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9강(22,07,29) 강의 보충
 
 
*《論語》〈爲政〉
6. 孟武伯問孝,子曰:父母唯其疾之憂。
 
1) 孟武伯 - 孟懿子의 아들, 이름은 彘, 武는 諡號 ; 사치방탕, 사냥 즐김, 不義 행동의 문제아.
2) 唯 - 오직, 단지, 只
3) 其 - (1) 첫째 학설(馬融)은 자식을 가리킨다. 근거는 《孝經》〈開宗明義章〉「子曰:夫孝, 德之本也, 教之所由生也。復坐, 吾語汝。身体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夫孝, 始於事親, 中於事君, 終於立身。」 즉 자식은 스스로를 잘 관리하여 병들지 말아서 부모의 걱정을 덜어야 한다. (2)둘째 학설은 자식의 불량한 태도를 가리킨다. 아래의 疾에 대한 해석을 참고할 것 (3) 셋째 학설(王充, 高誘)은 父母 자신을 가리킨다. 즉 자신이 병들어서 자식을 돌보지 못할까 걱정함.(天下父母都是爲了孩子, 所以有愁不完的事)
4) 疾 - (1) 질병 (2) 나쁜 태도와 행동으로 부모를 욕되게 하는 것. 즉 孟子의 5不孝 《孟子》〈離婁下〉「惰其四支, 不顧父母之養, 一不孝也;博弈好飮酒, 不顧父母之養, 二不孝也;好貨財, 私妻子, 不顧父母之養, 三不孝也;從耳目之欲, 以爲父母戮, 四不孝也;好勇鬪很, 以危父母, 五不孝也」 결론적으로 공자는 孟懿子와 孟武伯을 싸잡아서 훈계하였음. 즉 동일 질문에 맹의자에게는 禮를 지키라고 하고 맹무백에게는 행실을 바로 하는 것이 효라고 대답함.
5) 憂 - 근심, 걱정
 
 

 
《史記》〈周本紀〉4-023 註釋
 
1. 鼎 - 갑골문, 원래는 2귀 3발 달린 솥, 貞과 근원이 같다 ; 《說文解字》「三足两耳, 和五味(醯酸;酒苦;蜜甘;姜辛;鹽鹹)之寶器也。昔禹收九牧之金, 鑄鼎荆山之下, 入山林川澤, 螭魅蝄蜽, 莫能逢之, 以協承天休。 ; 鼎卦, 《周易》〈卦〉「巽木于下者爲鼎, 象析木以炊也。籒文以鼎爲貞字」 ; 方形4足도 있다 ; 중국의 대명사, 至高無上한 왕권, 국가통일 번성의 상징, 《左傳》宣公三年「鼎遷于商, 載祀六百(夏禹鑄九鼎, 夏商周三代都以鼎爲傳國之重器。後用鼎比喩王位(鼎彝, 九鼎, 定鼎, 問鼎)」, 즉 夏, 禹王, 9州, 9주의 청동기, 秦滅周 이후 실종, 泗水에 빠뜨림(?), 唐 武則天과 宋 徽宗 再鑄造, 현 모조품 4足5개 3足4개 ; 3方 병립, 《三國志》〈陸凱傳〉「近者漢之衰末, 三家鼎立, 曹失綱紀, 晋有其政(鼎立, 鼎峙, 鼎足)」 ; 비유 三公, 宰輔, 重臣之位, 《後漢書》〈陳球傳〉「公出自宗室, 位登台鼎(鼎台, 鼎臣)」 ; 성대한, 西晉, 左思 《吳都賦》「高門鼎貴(鼎言, 鼎族, 鼎臣, 鼎力)」
 
2. 此 - 갑골문, 원래는 맛있는 음식 앞에서 걸음을 멈추다 ; 《說文解字》「止也。從止從匕。匕, 相比次也」 ; 식사하러 가다 ; 이에(乃), 즉, 《禮記》〈大學〉「有德此有人, 有人此有土, 有土此有財, 有財此有用」 ; 이것, 北宋, 歐陽脩 《賣油翁》「陳康肅公堯咨善射, 當世無雙, 公亦以此自矜」 ; 明, 黃道周 《節寰袁公傳》「稱數月前有飄舟墜此岸, 出其人視之, 則皆琉球也。衆咸謂公(袁可立)神明」 ; 이와 같이(如此), 唐, 柳宗元 《黔之驢》「虎因喜, 計之曰..技止此耳」
# 논어 위정편 # 사기 주본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80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9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8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