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2년
2022년 12월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15일
동양고전 제293강 강의교안
2022년 11월
2022년 11월 3일
2022년 10월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0일
2022년 10월 13일
2022년 10월 6일
2022년 9월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16일
2022년 9월 2일
2022년 8월
2022년 8월 26일
2022년 8월 19일
2022년 8월 12일
2022년 8월 5일
2022년 7월
2022년 7월 29일
2022년 7월 22일
2022년 7월 15일
2022년 7월 8일
2022년 6월
2022년 6월 24일
2022년 6월 17일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3일
2022년 5월
2022년 5월 27일
2022년 5월 20일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6일
2022년 4월
2022년 4월 27일
2022년 4월 8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진 시황제(始皇帝) # 논어 위정편 # 사기 주본기
【학습】
(2023.11.04. 13:29) 
◈ 동양고전 제293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93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022,12,15)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93강(2022,12,15) 강의 교안
 
 
《論語》〈爲政〉 注釋
2-20. 季康子問..使民敬、忠以勸, 如之何? 子曰..臨之以莊, 則敬., 孝慈, 則忠., 擧善而教不能, 則勸.
 
1. 季康子 - 季康子(?-기원전468년)는 魯나라의 大夫 季孫氏이다. 성은 姬, 이름은 肥, 시호는 康으로 역사에서 季康子라고 일컫는다. 季康子는 魯나라 哀公을 섬기고 있었지만 당시, 三桓(魯 桓公의 후예로 孟孫氏, 叔孫氏, 季孫氏를 가리킴)이 강성하여 권력을 좌지우지하였다. ;
2. 使 - (백성으로)로 하여금 ;
3. 敬 - 恭敬, 「莊嚴則敬」 으로 장엄은 仁德있는 사람으로 「誠于中而形于外」의 의미이다. ;
4. 忠 - 盡忠, 「孝慈則忠」으로 知敎, 言敎를 넘어 身敎를 원칙으로 하여 孝心에서 忠心으로 확대 연결함. ;
5. 以 :連接詞, 여기서는 而와 같다. ;
6. 勸 - 스스로 힘써 노력하다, 즉 「勸勉爲善(相勸爲善)」의 의미이다. ;
7. 臨 - 백성들에게 임하다, 面臨, 「面臨莊嚴」 ;
8. 之 - 백성 ;
9. 莊 - 장엄, 주석3. 참고 ;
10. 孝 - 스스로 모범을 보인 후 「以孝教民」 함 ;
11. 慈 - 「以慈待民」의 의미이고, 주석4. 참고. ;
12. 擧 - 등용, 擧用 ;
13. 善 - 善人, 즉 사람을 쓸 때는 「擧善薦賢」이 기준. ;
14. 不能 - 教化가 불능한 사람, 능력이 없는 사람, 덕행이 없는 사람, 학문이 없는 사람 등을 가리킨다. 不善한 백성도 《三字經》「人之初, 性本善., 性相近, 習相遠., 茍不教, 性乃遷」 처럼 교육을 통하여 교화되어 저절로 「相觀而善」하게 해야 된다.
 

 
* 秦始皇의 통일정책(度,量,衡,律,法,倫,車,書,行(도로)...) 중에서 「車書本一家」
1. 의미 - 車書는 국가의 문물제도를 뜻함. ;
2. 출처1 - 秦始皇의 통일정책-車同軌(수레바퀴의 길이를 같게 하고), 書同文(글씨도 小篆體로 통일)에서 유래 ;
3. 출처2 - 《禮記》〈中庸〉 「車同軌, 書同文, 行同倫」 ;
4. 출처3 - 《史記》〈秦始皇本紀〉「一法度衡石丈尺, 車同軌, 書同文字」 ;
5. 출처4 - 唐, 溫庭筠《送渤海國王子歸本國》-「疆理雖重海, 車書本一家」-唐나라와 渤海는 문화상으로 한 집안과 같다는 의미로 사용
 
 
《史記》〈周本紀〉 註釋(古文에 나타난 以의 설명을 겸해서)
1. 以 - 甲骨文, 원래는 腹中의 태아, 또는 자식을 낳다의 의미 ; 《說文解字》「以, 用也。從反巳。賈侍中說:巳, 意巳實也。象形。吾意巳堅實則或自行之。或用人行之」
(1) 본래 의미-用, 拿, 把, 將 ; (예문) 以一當十 ; 以苦爲樂 ; 以身作則, 또 《史記》〈廉颇蔺相如列傳〉「秦亦不以城予趙, 趙亦終不予秦璧」
(2) ~에 따라서-依然, 順, 按照 ; (예문) 以時啓閉 ; 物以類聚
(3) 때문에-因, 因爲, 由於 ; (예문) 勿以善小而不爲 ; 不以物喜 ; 不以己悲 ; 何以 ; 物以稀爲貴 ; 以此 ; 不以 ; 以是 ; 母以子貴 ; 翠以羽自殘 ; 翠以羽殃身 ; 以理去官 ; 以私害公 ; 以辞害意 ; 以詞害意 ; 以文害辞 ; 以眦睚殺人 ; 以噎廢餐, 또 《史記》〈廉颇蔺相如列傳〉「且以一璧之故逆强秦之歡, 不可」
(4) 連詞-而와 用法 상동 ; (예문) 夢寐以求
(5) 時間, 方位, 方向, 數量의 한계 표현 ; (예문) 以前, 以内, 以来, 以後, 以外, 以上, 以前, 以下, 以内, 以往, 以降, 有生以来
(6) 이미-既, 已經 ; (예문) 既以 또 《史記》〈陳涉世家〉「得魚腹中書, 固以怪之矣」 ; 《三国志》〈杜襲傳〉「吾計以定, 卿勿復言」
진 시황제(始皇帝) # 논어 위정편 # 사기 주본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94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93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92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