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303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3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03,09)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3강(2023,03,09) 강의 교안
 
 
《論語》〈八佾〉 注釋
3-5. 子曰..夷狄之有君,不如諸夏之亡也.
 
1) 夷狄-중원 이외의 종족, 楊遇夫先生《論語疏證》..夷狄有君指楚莊王,吳王闔閭 등 당시 華族은 夷狄을 군주는 있지만 禮樂이 없는 야만인으로 여김. ;
2) 諸夏-중원에 겨주하는 華夏(華山夏(漢)水 부근의)族의 自稱(스스로 군주도 있고 예악도 있는 문명족으로 여김) , 華-夏-華夏-夏華-夏-諸夏(古有萬國)-中華......秦-漢... ;
3) 亡-無(여기서의 의미는 군주는 없어도 禮樂은 존재하는 문명국을 비유), 無로 읽고,没有、無의 意思. 문법적으로 亡의 아래 不用賓語(목적어),無의 아래는 必有賓語 ; 朱子《集注》中引程子「夷狄且有君長,不如諸夏之僭亂,反無上下之分也」 또 諸夏不如夷狄 춘추 개판 의미 ; 夷狄不如諸夏는 道德, 禮儀의 존재는 군주의 존재보다 더욱 중요함.
 
* 중국 고대 度量衡에서 度-身体의 어느 부분을 기준으로 함.
고대 중국의 길이 단위 ; 寸(象手形)、咫(지, 8寸, 婦人手長)、尺(象人卧的形象)、丈(目之察度)、尋(伸開两臂)、仞(伸臂一尋八尺)、常(尋舒两肱也,倍尋謂之常) 等 (1) 시대별로 조금씩 다름 (2) 대략 分--寸(10分)--尺(10寸)--仞, 武(4尺, 半步)--步, 尋(8尺, 半常)--常(1丈6尺)
 
 

 
《史記》〈周本紀〉 註釋
 
1. 多 -甲骨文, 원래는 수량 많다 의미, 少와 寡의 상대 의미. ; 《說文解字》「多, 重也。從重夕。夕者, 相繹也, 故爲多。重夕爲多, 重日爲曡。凡多之屬皆從多。𡖇, 古文多」 ; 이에 대해서 清, 王國維, 「多從二肉, 古代祭祀後要分胙肉, 两块肉者爲多」 ;
1) 수량 많다, 《史記》〈五帝本紀〉「萬國和, 而鬼神山川封禪與爲多焉。 獲寶鼎, 迎日推筴。 擧風后、力牧、常先、大鴻以治民。順天地之紀, 幽明之占, 死生之說, 存亡之難」 ;
2) 나머지, 잔여, 《水滸全傳(施耐庵和羅貫中一起编纂)》第三十九回「便唤酒保計算了, 取些銀子算還, 多的都賞了酒保」 ;
3) 무겁다(輕의 相對), 《老子》四十四章「名與身孰親? 身與貨孰多? 得與亡孰病? 甚愛必大費 ; 厚藏必多亡。 故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4) 어질다, 좋다, 《呂氏春秋》〈謹聽〉「昔者禹一沐而三捉发, 一食而三起, 以禮有道之士, 通乎己之不足也。通乎己之不足, 則不與物爭矣。 愉易平靜以待之, 使夫自得之 ; 因然而然之, 使夫自言之。 亡國之主反此, 乃自賢而少人。 少人則說者持容而不極, 聽者自多而不得, 雖有天下, 何益焉?」 ;
5) 크다, 《呂氏春秋》〈知度〉「爲人主而數窮于其下, 將何以君人乎? 窮而不知其窮, 其患又將反以自多」 ;
6) 찬양, 존중, 《史記》〈管晏列傳〉「鮑叔既進管仲, 以身下之。子孫世祿于齊, 有封邑者十餘世, 常爲名大夫。天下不多管仲之賢而多鮑叔能知人也」 ;
7) 중시하다, 《逸周書》〈程典〉「爲上不明, 爲下不順, 無丑。 輕其行, 多其愚, 不智」 ;
8) 다수, 《左傳》襄公三十一年「晋君將失政矣, 若不樹焉, 使早備鲁, 既而政在大夫, 韓子懦弱, 大夫多貪, 求欲無厭, 齊、楚未足與也, 魯其惧哉! 孝伯曰..人生幾何? 誰能無偷? 朝不及夕, 將安用樹? 穆叔出而告人曰..孟孫將死矣」 ;
9) ~여, 《儒林外史》第十一回「此番招贅進蘧公孫來, 門户又相稱, 才貌又相當, 眞個是才子佳人, 一双两好., 料想公孫擧業已成, 不日就是個少年進士。 但贅進門十多日, 香房里萬架都是文章, 公孫却全不在意」 ;
10) 단지(只, 僅僅), 《左傳》襄公十四年「左史謂魏莊子曰..不待中行伯乎? 莊子曰..夫子命從帥。 欒伯, 吾帥也, 吾將從之。從帥, 所以待夫子也。伯游曰..吾今實過, 悔之何及, 多遺秦禽」 ; 祇, 僅, 不過, 《論語》〈子張〉「得其門者或寡矣, 夫子之云不亦宜乎! 叔孫武叔毁仲尼, 子貢曰..無以爲也, 仲尼不可毁也。他人之賢者, 丘陵也, 猶可逾也., 仲尼, 日月也, 無得而逾焉。人雖欲自絶, 其何傷于日月乎?多見其不知量也!」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303강 보충자료
• 동양고전 제303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02강 강의교안
(2024.03.08. 16:52)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