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3년
2023년 12월
2023년 12월 28일
2023년 12월 21일
2023년 12월 14일
2023년 12월 7일
2023년 11월
2023년 11월 30일
2023년 11월 23일
2023년 11월 16일
2023년 11월 9일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6일
2023년 10월 19일
2023년 10월 12일
2023년 10월 5일
2023년 9월
2023년 9월 21일
2023년 9월 14일
2023년 9월 7일
2023년 7월
2023년 7월 27일
2023년 7월 20일
2023년 7월 13일
2023년 7월 6일
2023년 6월
2023년 6월 22일
2023년 6월 14일
2023년 6월 1일
2023년 5월
2023년 5월 25일
2023년 5월 18일
2023년 5월 11일
2023년 5월 4일
2023년 4월
2023년 4월 27일
2023년 4월 20일
2023년 4월 13일
2023년 4월 6일
2023년 3월
2023년 3월 30일
2023년 3월 23일
동양고전 제305강 강의교안
2023년 3월 16일
2023년 3월 9일
2023년 3월 2일
2023년 2월
2023년 2월 23일
2023년 2월 9일
2023년 2월 2일
2023년 1월
2023년 1월 26일
2023년 1월 12일
2023년 1월 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학습】
(2024.03.08. 17:02) 
◈ 동양고전 제305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5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03,23)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5강(2023,03,23) 강의 교안
 
 
《論語》〈八佾〉 注釋
3-6. 季氏旅于泰山,子謂冉有曰..女弗能救與? 對曰..不能。子曰..嗚呼! 曾謂泰山不如林放乎?
 
1) 季氏 - 魯나라 大夫 季孫氏이고 이 사람은 季平子일 가능성이 많다(季文子-季武子-季平子-季桓子-季康子...). 季孫氏는 姬姓, 季氏, 孫은 尊稱이다. ;
2) 旅 - 山川에 지내는 제사 명칭, 당시 天子와 諸侯만이 名山大川에 제사 지낼 수 있음. 季氏는 魯나라의 大夫로 泰山에 제사 지내는 것은 僭越(僭禮). ;
3) 泰山 - 달리 岱山、岱宗、岱岳、東岳、泰岳으로 일컫는다. 五岳(西岳华山, 南岳衡山, 北岳恒山, 中岳嵩山) ; 泰山封禪(祭天, 祭地)는 秦 이전에 72명 군주, 秦 이후 秦始皇(1), 秦二世(1), 漢武帝(8),後漢光武帝(1), 章帝(1), 安帝(1), 隋文帝(1), 唐高宗(1), 武則天(1), 玄宗(1), 宋眞宗(1), 清康熙帝(1), 乾隆帝(1), 즉 6명 封禪, 나머지는 泰山에 제사지냄 ;
4) 冉有 - 冉求, 字子有, 당시 季氏의 家臣, 위 문장에서 孔子가 책망하고 있음. *고대 儒家 학자들 姓名 표기방법-本名(字)의 순서대로. 顏回(子淵), 閔損(子蹇), 冉耕(伯牛), 冉雍(仲弓), 宰予(我)(子我), 端木賜(子貢), 冉求(子有), 仲由(子路, 季路), 言偃(子游), 卜商(子夏), 有若(子有), 曾參(曾子)...... ;
5) 女 - 汝,你 ;
6) 救 - 말리다, 간청해서 그치게 하다(諫止) ;
7) 與 - 歟, 어조사(疑問, 感歎, 叱責) ;
8) 曾 - 이에乃, 어찌豈, 何, 怎, 설마(難道) ; 설마 말(謂)하려는 것이냐, 제사를 흠향하는 태산 신이, 예를 잘 아는 임방보다 못하다→즉 너의 그런 행동은 설마 제사를 흠향하는 태산의 신이 禮를 잘 아는 林放보다 못하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냐?(임방조차도 이런 僭越(僭禮) 행위를 인정할 수 없을 건데, 하물며 태산은 어쩌겠느냐? → 아무나 와서 제사를 지내면 태산은 다 OK OK하고 받아주는 거냐? → 너는 뭐하는 작자냐? 나(孔子)의 제자로 배운 것을 躬行도 못하고, 臣下의 도리로 諫諍도 못하고) ;
9) 謂 - 말하다 ;
10) 林放 - 魯나라 사람, 禮에 정통. 여기서는 임방을 예로 들어 질책함.
 
 

 
《史記》〈周本紀〉 註釋
 
1. 士 - 갑골문, 원래는 도끼 모양, 형벌을 담당하는 관리 ; 西周 金文에서는 1부터 10까지 ; 《說文解字》「士, 事也。數始於一, 終於十。從一從十。孔子曰..推十合一爲士」 段玉裁注..「仕之言事也, 士、事疊韻。引伸之, 凡能事其事者稱士」 ; 점차 男子의 美稱, 官職等级, 姓氏 등으로 사용됨. ;
o 古代 男子의 美稱(士子, 士大夫, 士夫, 勇士, 壯士) -《書經》〈牧誓〉「是以爲大夫卿士」 ;
o 장군(士臣) -《孟子》〈梁惠王上〉「危士臣, 構怨于諸侯, 然後快于心與?」 ;
o 병사, 武士(士兵, 士衆, 元士, 上士, 中士, 下士) -《左傳正義》「革車百乘, 甲士千人」 ; 《呂氏春秋》〈簡選〉「在車曰士, 步曰卒」 ;
o 고대 刑獄(刑罰 ; 刑指肉刑, 死이고, 罰指以金錢贖罪, 이후 법률위반을 담당)하는 관리 -《孟子》〈告子下〉「擧于士, 孫叔敖擧于海」 ;
o 士大夫(관리 혹은 명망과 지식 있는) - 宋文天祥, 《指南錄後序》「縉紳大夫士萃于左丞相府, 莫知計所出」 ;
o 사회계층 -《詩經》〈文王〉「殷士膚敏, 祼將于京」 ;
o 사람에 대한 美稱(女士, 人士) ;
o 귀족의 최저등급 - 賈誼, 《過秦論》「于是六国之士, 有寧越、徐尚、蘇秦、杜赫之屬爲之謀」 ;
o 기예 또는 무술을 배우는 사람 -《戰國策》〈魏策〉「此庸夫之怒也, 非士之怒也」 ;
o 지식분자의 통칭(士子, 士林, 士品, 名士) -《資治通鑑》「孫討虏聰明仁惠, 敬賢禮士, 江表英豪, 咸歸附之」 ;
o 고대 제후와 사대부가 천자에 대한 自稱 -《禮記》「列国之大夫入天子之国, 曰某士」 ;
o 品德, 학식, 기예를 갖춘 사람의 美稱(志士, 謀士, 医士) -《史記》〈魏公子列傳〉「公子爲人, 仁而下士, 士無賢不肖, 皆謙而禮交之」 ;
o 일처리, 종사하다 -《書經》〈康誥〉「侯甸男邦采衛, 百工播民, 和見, 士于周」 ;
o 仕와 通, 벼슬하다 -《荀子》〈大略〉「古者匹夫五十而士」 ;
o 恃와 通, 의지하다 -《孫臏兵法》〈見威王〉「孫子見威王, 曰..夫兵者, 非士恒勢也。此先王之傅道也」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306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05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04강 강의교안 (중국 고전 학습법)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