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3년
2023년 12월
2023년 12월 28일
2023년 12월 21일
2023년 12월 14일
2023년 12월 7일
사마천 사기 333강 강의내용 요약 (23.12.7)
2023년 11월
2023년 11월 30일
2023년 11월 23일
2023년 11월 16일
2023년 11월 9일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6일
2023년 10월 19일
2023년 10월 12일
2023년 10월 5일
2023년 9월
2023년 9월 21일
2023년 9월 14일
2023년 9월 7일
2023년 7월
2023년 7월 27일
2023년 7월 20일
2023년 7월 13일
2023년 7월 6일
2023년 6월
2023년 6월 22일
2023년 6월 14일
2023년 6월 1일
2023년 5월
2023년 5월 25일
2023년 5월 18일
2023년 5월 11일
2023년 5월 4일
2023년 4월
2023년 4월 27일
2023년 4월 20일
2023년 4월 13일
2023년 4월 6일
2023년 3월
2023년 3월 30일
2023년 3월 23일
2023년 3월 16일
2023년 3월 9일
2023년 3월 2일
2023년 2월
2023년 2월 23일
2023년 2월 9일
2023년 2월 2일
2023년 1월
2023년 1월 26일
2023년 1월 12일
2023년 1월 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 사기 주본기
【학습】
(2023.12.10. 11:47) 
◈ 사마천 사기 333강 강의내용 요약 (23.12.7)
김영환 교수의 동양 고전 아카데미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일시 :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 5시40분 / 장소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석사, 박사) / 대상 : 제한 없음 / 교재 : 무료제공 /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史記 1 (경인문화사, 2013)
2023년 12월 7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唐詩300首
 
 
1) 도한강 ~ 송지문 작품
2) 중국어 발음
Ling3wai4yin1shu1duan4
Jing1dong1fu4li4chun1
Jin4xiang1qing2geng4qie4
Bu4gan3wen4lai2ren2
 
<宋之問(송지문)>
중국 당나라의 시인 (656? ~ 712). 자 연청(延淸). 산서성(山西省) 분양(汾陽) 출생.
675 년 진사에 급제, 20 세경 측천무후(則天武后)의 눈에 들어 습예관(習藝館) 상문감승(尙文監丞)이 된 것이 벼슬길에의 시발이었다. 그 후, 무후의 영신(佞臣) 장역지(張易之)에게 아첨하다가 지방으로 쫓겨났는데, 다시 돌아오자 역시 그때의 권력자 무삼사(武三思)에게 아첨하여 관직을 차지하는 등 파렴치한 행실이 많았다. 그러나 그의 재주를 아끼고 사랑하던 중종(中宗)은 그를 수문관(修文館) 직학사(直學士)로 기용, 문학의 좋은 상대로 삼아, 군신(君臣)의 신분을 망각한 주연(酒宴)에 빠졌었다고 한다. 그 후에 현종(玄宗)이 즉위하자 영신을 추종하였다는 죄로 광동성(廣東省) 흠현(欽縣)으로 유배되어 사사(賜死)되었다.
심전기(沈佺期)와 함께 측천무후와 중종의 궁정시인으로, 연석(宴席)에서 시작(詩作)을 다투고 하여 ‘심송(沈宋)’이라 불렸다. 특히 오언시(五言詩)에 훌륭한 재능이 있었는데, 율시체(律詩體) 정비에 진력하여 심전기 ·두심언(杜審言) 등과 더불어 초당 후반의 문단에서 율시 유행의 선구로 공이 컸다. 문집에 《송지문집(宋之問集)》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 강의 교안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2강(2023,03,02) 강의 교안
 
《史記》〈周本紀〉註釋
 
1. 遷 - 甲骨文, 西와 동일(?), 篆書, 원래는 向高處遷移,
1) 이동하다
《詩經》〈伐木〉「出自幽谷, 遷于喬木」
새가 깊은 계곡에서 날아올라 큰 나무에 오른다.
2) 승진하다,
《漢書》〈賈誼傳〉「誼超遷, 歲中至大中大夫」
가의가 특별 승진하여 세중(5월~8월)에 대중 대부에 이르렀다.
* 관련 단어, 遷除(관리의 승진, 이동, 파견), 遷喬(하위직에서 고위직으로 승진), 遷封(작위추가), 遷官(승진)
3) 이사, 옮기다,
《周禮》〈小司寇〉「二曰詢國遷」注「謂徙都改邑也」
두 번째 말하기를 나라의 도읍지를 옮기는 것을 물어보았다.
주) 도시를 바꾸기 위해 도성을 옮기는 것을 이른다
《孟子》〈梁惠王下〉「毁其宗廟, 遷其重器」
종묘를 훼손하고, 황제 상징물인 보기(寶器)를 옮겼다.
* 보기(寶器)는 하, 상, 주 시대는 9鼎이라는 설이 있고 진나라 이후 옥새가 보기가 된다.
王安石《答司馬諫議書》「盤庚之遷」
반경 왕 때 수도를 은허로 옮겼다. (ppt 상의 역사와 천도 참조)
* 사마 諫議는 사마광이다.
* 관련 단어,
遷次(移居, 遷移), 遷幸(天子가 다른 곳으로 이동), 遷神(移靈, 移柩),
遷海(해변에서 내지로 이동), 遷祔(묘지를 옮김, 합장),
遷冗(도주하여 흩어짐)~군사들이 패배해서 흩어지는 것
遷京(遷都), 遷座(신주를 옮김), 遷土(고향을 떠남), 遷宅(遷居),
遷隣(이웃을 선택하여 옮김)
4) 변동, 변경,
《易經》〈益卦〉「君子以見善則遷, 有過則攺」
군자는 좋은 걸 보면 바꾼다, 잘 못하는 것은 반성해서 고친다.
《禮記大傳》「有百世不遷之宗」
백세 즉 영원히 옮기지 않는 大宗(적장자)이 있다.
(小宗에 대응 개념, 보통 小宗은 5대째 신주를 제거한다.)
* 관련 단어,
遷易(改變), 遷染(사람의 성품이 풍속에 의해 변화됨), 遷日(날짜를 바꿈)
5) 사망, 遷神, 遷形, 遷徂, 遷殂, 遷神(僧人逝世, 승려가 죽을 때), 遷逝
6) 귀양, 쫒아내다,
《書經》〈臯陶謨〉「何遷乎有苗」
어찌 苗族을 쫓아 내느냐?
 
* 치우(蚩尤)
중국은 1990년대에 4대 소수민족 중 하나인 묘족의 요구를 받아들여 치우를 황제(黃帝), 염제(炎帝)와 함께 중화 민족의 3대 조상 중 한 명으로 인정해 허베이(河北) 성에 중화삼조당(中華三祖堂)을 지어 모셔놓고 있다.
 
* 3대조상
 
《史記》〈屈原賈生列傳〉「怒而遷之」
화가 나서 그를 이제 쫓아 낸다.
柳宗元, 《封建論》「及夫大逆不道, 然後掩捕而遷之」
대역 부도덕한 것을 보고 기다리다가, 그런 연후에 체포해서 쫓아냈다.
* 及夫= 若夫+至於~ 기다리다(等待)
 
* 관련 단어
遷放(流放), 遷逐(放逐), 遷窜(流放)
 
7) 좌천
《史記》〈韓王信傳〉「項王王諸將近地, 而王獨遠居, 是左遷也」
항왕 항우가 여러 장수를 고향에 가까운 곳에 분봉해서 왕으로 보냈고, 유방 패공은 유독 고향에서 먼 곳에 분봉했으니 이것이 좌천이다.
* 王諸將= 分封諸將爲王
* 관련 단어
左遷, 遷斥, 遷臣(먼곳으로 좌천), 遷削(강등), 遷寺(강등)
 
8) 흩어지다, 도망가다
《國語》〈晉語〉「成而不遷」注: 「離散也」
서로 이루어서 그리고 도망가지 않았다. 주) 천은 이산이다
* 관련 단어
遷逃(逃走), 遷逝(流失), 遷摇(離散動搖)
 
9) 古州名(今湖北省房縣)
천자는 옛날 주(州)의 이름이다. (지금은 호북성 방현이다)
 
10)성씨 ~ 천이 성(性)으로도 쓰인다.
* 설(契)로 읽어야 한다.
* 玄鳥는 새 토템이다.
(한국 서해안과 중국의 해안가 공통으로 존재)
* 商은 유목민족이다 (遂水草而行)~그래서 수도를 자주 옮겼다
 
 
 
* 동아시아 문화 속의 삼족오 (위키백과 자료)
1) 중국
삼족오 문양이 처음 등장한 것은 신석기 시대인 기원전 5 천 년에서 3 천 년 사이에 중국 황하 중류에 존재했던 양사오 문화이다.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한 양사오 문화 유적지에서 발굴된 수천 점의 토기에서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 문양이 발굴되었다. 상나라의 수도인 은허(殷墟) 후가장(侯家莊) 1004 호 묘에서 발굴된 청동제 사각형 솥에도 삼족오 문양이 발견되었다. 또한 랴오닝 성 차우양 지구 원태자 벽화묘에도 삼족오 문양이 있다.
중국에서 삼족오라는 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전한 시대 때의 것으로 추정되는 《춘추원명포(春秋元命苞)》와 《산해경(山海經)》이다. 이에 대해서 장형(78~139)의 《영헌(靈憲)》에서는 홀수는 양이니 다리가 3 개인 새가 태양에 있고 짝수는 음이니 다리가 4 개인 토끼가 달에 있다고 풀이하였다.(“日者,陽精之宗。積而成烏,象烏而有三趾。陽之類,其數奇。月者,精之宗之宗。積而成獸,象兔。陰之類,其數耦。”
 
2)한국 고구려의 삼족오
한국에서는 씨름무덤(각저총), 쌍영총, 천왕지신총 등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 삼족오가 많이 그려져 있다. 《삼국유사》의 기이편(紀異扁)에는 소지왕 10 년 때에 까마귀가 나타나 사람에게 해야할 일이나 일어날 일을 미리 알려주는 영험한 존재로 등장한다. 신라의 연오랑과 세오녀 전설에서도 삼족오가 등장하는데, 연오랑(燕烏郞)과 세오녀(細烏女)의 이름을 자세히 살펴보면 둘 다 이름에 까마귀 오(烏)자가 붙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시 사람들이 까마귀를 빛의 상징으로 보았다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다. 고려 시대에는 의천의 가사에서 보이며, 조선 시대에는 일부 묘석에 삼족오가 새겨져 있다. 한국의 삼족오는 중국과 일본의 삼족오와는 달리 머리에 공작처럼 둥글게 말린 벼슬이 달려 있다는 점에서 그 외형에서 확실한 차이점이 있다. 벼슬은 국가통치조직에서 나랏일을 담당하는 직위나 직무를 상징한다.
약식의 유래는 고려시대 후기 때 승려 일연이 1281 년에 쓴 삼국유사 사금갑(射琴匣)조에 기록되어 있다. 488 년 신라의 소지왕이 음력 1 월 15 일에 왕이 경주 남산에 있는 정자인 천천정(天泉亭)에 행차하였다. 이때에 까마귀가 날아와 왕이 신하들에 의해서 살해당할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그 덕분에 왕은 역모를 꾀하려던 신하와 궁주(宮主)를 활로 쏘아 죽여서 위기를 모면하였다. 이때부터 정월 대보름을 오기일(烏忌日)로 정하여, 까마귀를 기념하여 찰밥을 지어 제사지냈으며, 약식은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일부 학자들 및 재야사학에서는 삼족오의 기원이 한민족에서 비롯된 것이라 주장하기도 한다.
 
 
3)일본
일본에서는 개국 신화에서 천황의 군대의 길 안내를 한 태양신의 사자인 일본의 삼족오 ‘야타가라스(八咫烏)’가 고대 고분과 각종 유물에서 등장하고 있으며, 아직도 쿠마노본궁대사(熊野本宮大社) 등에서 모시는 대상이기도 하다. 천황이 즉위식 때에 입는 곤룡포의 왼쪽 어깨에는 삼족오가 자수로 놓여 있다. 또한 일본축구협회에서는 삼족오를 엠블렘으로 사용하고 있다.
 
 
 
* 直=德
 
* 노자 도덕경 63장 (報怨以德: 원한을 은혜로 갚는다)
夫輕諾必寡信多易必多難是以聖人猶難之, 故終無難矣
무릇 가볍게 승낙하면 신뢰가 부족하고, 너무 쉽게 생각하면 반드시 어려움이 많아 진다. 이 때문에 성인은 쉬운 일을 오히려 어렵게 여기므로 끝내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 『禮記』「檀弓」上
子夏問於孔子曰:「居父母之仇如之何?」, 孔子曰「寢苫枕干, 不仕,弗與共天下也。遇於朝市,不返兵而鬭.」曰:「請問居昆弟之仇如之何?」孔子曰:「仕弗與同國,御國命而使,雖遇之不鬭。」曰:「請問從父、昆弟之仇如之何?」曰:「不為魁,主人能報之,則執兵而陪其後.」
 
자하가 공자에게 물었다. “부모의 원수에 대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합니까?” 공자가 대답하기를, “거적자리 위에서 자고 방패를 베고 자며, 벼슬을 하지 말고 원수와는 하늘을 함께 해서는 안 된다. 만약 시장이나 조정에서 마주치면 무기를 가지러 집으로 돌아올 것 없이 그 자리에서 싸워야 한다.”
 
“형제의 원수에 대해서는 어떻게 처신해야 합니까?” 공자가 대답하기를, “벼슬을 하기는 하되 나라를 같이 하지 말고, 임금의 명을 받들어 사신으로 나간다면 원수와 마주치더라도 싸우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종부와 이종형제의 원수에 대해서는 어떻게 처신해야 합니까?” “원수 갚는 일에 앞장설 필요는 없지만, 주인(‘종부형제’의 아들)이 원수를 갚고자 할 때는 무기를 들고 지원해 주어야 한다.”
 
 
* 與博昌夫老書
박창~지명, 夫老~夫老鄕親
박창 동네의 어르신들과 고향의 친구들 에게 보내는 편지
 
* 師傅~ 세프
 
* 祭
1)발음 < ji4 > 제사, 제사 지내다
2)발음 나라이름
 
* 尙夫~ 아버지처럼 숭상할 수 있는 사람
 
* 師尙夫~ 군대 사령관 강태공
 
* 敎父~가르치기 시작하다
 
 
* 숫컷 ~ 夫(公), 麒, 雌(날짐승), 牡(길짐승), 鳳
* 암컷 ~ 母, 麟, 雄, 牝, 凰
 
* 봉황은 머리에 5개의 벼슬, 등에 10개의 깃털, 꼬리에 20개의 깃털을 가진 새로, 덕(德), 순(順), 인(仁), 의(義)의 네 가지 덕을 상징합니다. 봉황은 천상의 새로 여겨지며, 정의와 평화를 가져다주는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 식물(植物) ~ 꽃과 이삭의 암수 이름은 자예(雌蕊) ↔ 웅예(雄蕊)
# 사기 주본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사마천 사기 334강 강의내용 요약 (23.12.14)
• 사마천 사기 333강 강의내용 요약 (23.12.7)
• 사마천 사기 332강 강의내용 요약 (23.11.3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