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3년
2023년 12월
2023년 12월 28일
2023년 12월 21일
2023년 12월 14일
2023년 12월 7일
2023년 11월
2023년 11월 30일
2023년 11월 23일
2023년 11월 16일
2023년 11월 9일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6일
2023년 10월 19일
2023년 10월 12일
2023년 10월 5일
2023년 9월
2023년 9월 21일
2023년 9월 14일
동양고전 제323강 강의교안
2023년 9월 7일
2023년 7월
2023년 7월 27일
2023년 7월 20일
2023년 7월 13일
2023년 7월 6일
2023년 6월
2023년 6월 22일
2023년 6월 14일
2023년 6월 1일
2023년 5월
2023년 5월 25일
2023년 5월 18일
2023년 5월 11일
2023년 5월 4일
2023년 4월
2023년 4월 27일
2023년 4월 20일
2023년 4월 13일
2023년 4월 6일
2023년 3월
2023년 3월 30일
2023년 3월 23일
2023년 3월 16일
2023년 3월 9일
2023년 3월 2일
2023년 2월
2023년 2월 23일
2023년 2월 9일
2023년 2월 2일
2023년 1월
2023년 1월 26일
2023년 1월 12일
2023년 1월 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학습】
(2024.04.11. 12:01) 
◈ 동양고전 제323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3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09.14.)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3강(2023.09.14.) 강의 교안
 
《論語》〈八佾〉
3-22. 子曰..管仲之器小哉! 或曰..管仲儉乎? 曰..管氏有三歸,官事不攝,焉得儉? 然則管仲知禮乎? 曰..邦君樹塞門,管氏亦樹塞門;邦君爲两君之好(hào),有反坫,管氏亦有反坫。管氏而知禮,孰不知禮?
 
【注釋】
1) 管仲 - 姓管, 名夷吾, 別名은 管子, 管敬仲, 齊國출신, 春秋時代 法家의 선구자. 齊 桓公을 도와 5覇의 하나로 만듬. 관중의 인생실패(僖公-諸兒(襄公, 여동생 文姜(魯桓公 부인)과 사통, 魯桓公이 술 먹여 살해, 대혼란), 糾(管仲), 小白(鮑叔牙, 桓公), 어릴적 鮑叔牙의 도움으로 인생역전. 《管子》「倉禀實則知禮節m 衣食足則知榮辱」 ; 「四維(禮,義,廉,耻」
2) 器 - 도량(tolerance), 재능(talent), 능력(ability) ; 관련 문헌은 《老子》제41장「大器晚成」 ; 揚雄(西漢), 《法言》〈先知〉「先自治而後治人之稱大器」 ; 《論語》〈爲政〉「君子不器」 ; 器가 동사로 쓰일 때는 중시하다(think highly of) ; 당시 소문 管仲大器, 이에 대해 공자 否定
3) 或- 어떤 사람 ;
4) 儉 - 검약, 검소 ;
5) 管氏 - 관중을 낮춰 부름
6) 三歸 - 논란이 많은 부분. 첫째, 조세를 거둬 3곳에 재물을 보관한 창고를 가리킨다(제후, 千乘之家 가능 -제후가 사용하는 儀禮). 둘째, 國君은 1聚3女(古注) ; 셋째, 3곳에 가정을 둠 ; 넷째, 관중의 采邑 지명 등 주장이 있다.
7) 官事 - 국가, 기관, 공익을 위하는 단체의 일. 또 감옥과 소송에 관련된 일.
8) 攝 - 대신, 쥐다, 굳건히 지키다. 또 관중의 부하들은 관중의 세력을 믿고 一人一職하여 겸임하지 않음.
9) 邦君 - 제후국의 군주. ;
10) 樹 - 담, 담장, 수립, 세우다.
11) 塞門 - 대문 입구 쪽에 세운 짧은 담장으로 병풍의 역할을 한다. -제후가 사용하는 儀禮.
12) 两君 - 자기 나라 군주와 타국의 군주 2사람을 가리킴.
13) 好(hào) - 우호, 회견, 만남.
14) 反坫 - 군주가 타국의 군주를 초대하여 연회 도중에 술잔을 주고받고 마시는데(獻, 酌), 한 번 사용한 술잔에 따로 두는 흙으로 만든 장소(臺). -제후가 사용하는 儀禮.
15) 而 - 만약. ;
16) 孰不 - 누가 ~하지 않겠는가.
 
 
《史記》〈周本紀〉注釋
1. 宗 - 甲骨文, 원래는 조상의 위패를 두는 집, 宗廟, 神廟 ; 《說文解字》「宗, 尊祖廟也。從宀, 從示」 ; 《說文解字注》「宗, 尊祖廟也」 段注..「宗尊双声。按當云尊也, 祖廟也。今本奪上也字」 ; 《大雅》 傳曰..「宗, 尊也。凡尊者謂之宗, 尊之則曰宗之」 ; 《禮記》〈喪服小記〉「别子爲祖, 繼别爲宗, 繼禰者爲小宗。凡言大宗小宗, 皆謂同所出之兄弟所尊也。尊莫尊於祖廟, 故謂之宗庙。宗從宀從示, 示謂神也。宀爲屋也」 ; 《廣韵》「宗, 衆也。本也。尊也。亦官名」 ;
1) 조상에게 제사지내는 장소(祖廟), 《尙書》〈大禹謀〉「正月朔旦, 受命于神宗」 ;
2) 家族 중 항렬이 높은사람, 종족의 조상, 《左傳》哀公十四年「所不殺子者, 有如陳宗」 ;
3) 同族, 《周易》〈同人〉「同人于宗, 吝道也」 또 韓愈, 〈贈族侄〉「擊門者誰子?問言乃吾宗」 ;
4) 嫡長子, 《詩經》〈白華〉「以妾爲妻, 以孽代宗」 ;
5) 根本(本意), 王吉, 〈諫昌邑王疏〉「數以耎脆之玉体, 犯勤勞之煩毒, 非所以全壽命之宗也」 ;
6) 古代帝王의 廟號(有德者稱宗), 《尙書》〈無逸〉「昔在殷王中宗, 嚴恭寅畏, 天命自度」 ;
7) 官職(제사의례), 《国语》〈鲁语上〉「夏父弗忌爲宗」 또 《荀子》〈正論〉「出户而巫觋有事, 出門而宗祀有事」 ;
8) 尊重, 尊崇, 《史記》〈孔子世家〉「(孔子)謂子貢曰..天下無道久矣, 莫能宗予」 ;
9) 諸侯가 여름에 君主를 알현하는 예의(朝見), 《周禮》〈大宗伯〉「春見曰朝, 夏見曰宗, 秋見曰謹, 冬見曰遇」 ;
10) 사물, 물건 등의 件、批, 《紅樓夢》第三五回「這一宗東西, 家常不大做」 ;
11) 불교의 각 파, 禪宗, 正宗, 天台宗, 華嚴宗 ;
12) 성씨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324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23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22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