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3년
2023년 12월
2023년 12월 28일
2023년 12월 21일
2023년 12월 14일
2023년 12월 7일
2023년 11월
2023년 11월 30일
2023년 11월 23일
2023년 11월 16일
2023년 11월 9일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6일
2023년 10월 19일
2023년 10월 12일
2023년 10월 5일
2023년 9월
2023년 9월 21일
2023년 9월 14일
2023년 9월 7일
2023년 7월
2023년 7월 27일
2023년 7월 20일
2023년 7월 13일
동양고전 제319강 강의교안
2023년 7월 6일
2023년 6월
2023년 6월 22일
2023년 6월 14일
2023년 6월 1일
2023년 5월
2023년 5월 25일
2023년 5월 18일
2023년 5월 11일
2023년 5월 4일
2023년 4월
2023년 4월 27일
2023년 4월 20일
2023년 4월 13일
2023년 4월 6일
2023년 3월
2023년 3월 30일
2023년 3월 23일
2023년 3월 16일
2023년 3월 9일
2023년 3월 2일
2023년 2월
2023년 2월 23일
2023년 2월 9일
2023년 2월 2일
2023년 1월
2023년 1월 26일
2023년 1월 12일
2023년 1월 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학습】
(2024.03.12. 16:02) 
◈ 동양고전 제319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19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07.13)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19강(2023.07.13.) 강의 교안
 
 
《論語》〈八佾〉 注釋
 
3-18. 子曰..事君盡禮,人以爲諂也。
 
1) 禮 - 《周禮》에 입각하여 행함. 《論語》〈八佾〉「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孔子對曰..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 ;
2) 以爲 - ~라고 여기다, ~하다, ~을 하게하다(以之爲의 생략 형식) ;
3) 諂 - 아첨하다, 阿諂, 奉承, 献媚, 討好, 拍馬屁(元代 상호교류→아첨)
 
 
*「攫金者不見人, 逐鹿者不見山」의 진정한 출처는?
99.9% 사람들은 1. 아니면 2. 또는 3.을 출처로 든다.
 
1. 《列子》〈說符〉「取金之時不見人, 徒見金」 ;
2. 《淮南子》〈說林訓〉「逐鹿者不顧兔, 決于金之貨者不爭銑两之價」 ;
3. 최인호 《商道》, 4권 p.259. 인용 林尚沃이 朴鍾一에게 써준 글 「逐鹿者不見山, 攫金者不見人」, 이글은 淮南王 劉安, 《淮南子》에 있다고 함. ; 진실은? ;
4. 宋末元初 妙源, 《虛堂(智愚)和尚語錄》「臨際(濟)因。趙州游山。到院後架洗脚次。際便問。如何是祖師西來意。州云。恰值老僧洗脚。際近前作聽勢。州云。會即便會。啖啄作甚麽。際便歸方丈。州云。三十年行脚。今日錯爲人解注。師云。攫金者不見人。逐鹿者不見山。」
 
 

 
《史記》〈周本紀〉 註釋
 
1. 君 - 甲骨文, 尹+口=君, 원래는 尹은 손에 권위의 상징물을 쥐고(일설에는 필기구를 쥐고)+口는 입으로 명령을 내리는=통치자 ; 《白虎通義》「君者, 群也, 群下之歸心。荀卿子曰..君者, 儀也., 民者, 影也。儀正則影正。君者, 盤也., 民者, 水也。盤圓則水圓。又..君者, 民之源也。源清則流淸, 源濁則流濁。擧雲切」 ; 《說文解字》「君, 尊也。從尹。發號, 故從口」 ;
의미 변천과정→帝王을 대신해서 정치를 처리하는 자-周代에는 조정의 관리, 諸侯國의 君主-戰國時代에는 功臣과 貴族의 封號-이후 다시 帝王의 칭호, 一國의 君主-이후 다시 王 아래의 封號-타인에 대한 敬稱 등으로 변함. ;
 
(1) 통치자, 《尙書》〈大禹謨〉「皇天眷命, 奄有四海, 爲天下君」 ; 《荀子》〈禮論〉「君者, 治辨(辦)之主也」 ;
(2) 주재자, 《老子》70장「言有宗, 事有君」 王弼 注「君, 萬物之主也」 ;
(3) 동사로 주재하다(君臨天下), 韓愈, 《送齊皞下第序》「嗚呼, 今之君天下者, 不亦勞乎!」 ;
(4) 토지 소유자, 《儀禮》〈子夏傳〉「君, 至尊也」 注..「天子, 諸侯, 及卿大夫有地者皆曰君」 ;
(5) 주인, 《韓非子》〈說(설)林上〉「田成子因負傳而隨之, 至逆旅, 逆旅之君, 待之甚敬」 ;
(6) 천자 혹은 제후의 妻를 가리킴, 《穀梁傳》莊公二十二年「癸丑, 葬我小君文姜。小君, 非君也。其曰君何也? 以其爲公配, 可以言小君也」 ;
(7) 조상 또는 부모에 대한 敬稱, 《易經》〈家人卦〉「家人有嚴君焉, 父母之谓也」 ; 孔安國, 《尙書》〈序〉「先君孔子, 生于周末」 ;
(8) 부인이 남편을 일컬을 때, 《詩經》〈鄘風〉「我以爲君」 傳..「君國小君」 箋..「夫人對君稱小君」 ; 《論語》「邦君之妻, 邦人稱之曰君夫人。稱諸異邦曰寡小君, 異邦人稱之亦曰君夫人」 ;
(9) 첩이 남편을 일컬을 때, 《禮記》〈內則〉「君已食徹焉」 注..「此謂士大夫之妾也」 또 《儀禮》〈喪服〉「妾謂君」 注 「妾謂夫爲君者, 不得體之, 加尊之也, 雖士亦然」 疏..「以妻得體之, 得名爲夫, 妾雖接見於夫, 不得體敵, 故加尊之, 而名夫爲君」 ;
(10)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일컬을 때, 《史記》〈申屠嘉傳〉「上曰..君勿言吾私之」 ;
(11) 상대방의 존칭(您), 《尙書》〈君奭序〉「周公作君奭」 孔傳..「尊之曰君。奭, 名」 ;
(12) 神에 대한 존칭, 《漢書》〈郊祀志上〉「晋巫祠五帝、東君、雲中君、巫社、巫祠、族人炊之属」 ;
(13) 고대 諡號 또는 封號로 사용, 《逸周書》〈諡法〉「賞慶刑威曰君, 從之成群曰君(信陵君;平原君;孟嘗君 ; 春信君) ;
(14) 동식물에 대한 비유, 《晉書》〈王徽之傳〉「徽之但嘯咏, 指竹曰..何可一日無此君邪!」 ;
(15) 한국, 일본, 동년배, 나이어린 청년을 존칭하는 의미, 김군, 이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320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19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18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