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3년
2023년 12월
2023년 12월 28일
2023년 12월 21일
2023년 12월 14일
2023년 12월 7일
2023년 11월
2023년 11월 30일
2023년 11월 23일
2023년 11월 16일
2023년 11월 9일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6일
2023년 10월 19일
2023년 10월 12일
2023년 10월 5일
2023년 9월
2023년 9월 21일
2023년 9월 14일
2023년 9월 7일
2023년 7월
2023년 7월 27일
2023년 7월 20일
2023년 7월 13일
2023년 7월 6일
2023년 6월
2023년 6월 22일
2023년 6월 14일
2023년 6월 1일
2023년 5월
2023년 5월 25일
동양고전 제314강 강의교안
2023년 5월 18일
2023년 5월 11일
2023년 5월 4일
2023년 4월
2023년 4월 27일
2023년 4월 20일
2023년 4월 13일
2023년 4월 6일
2023년 3월
2023년 3월 30일
2023년 3월 23일
2023년 3월 16일
2023년 3월 9일
2023년 3월 2일
2023년 2월
2023년 2월 23일
2023년 2월 9일
2023년 2월 2일
2023년 1월
2023년 1월 26일
2023년 1월 12일
2023년 1월 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학습】
(2024.03.12. 15:42) 
◈ 동양고전 제314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14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05.25)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14강(2023.05.25.) 강의 교안
 
 
《論語》〈八佾〉
3-15. 子入太廟,每事問。或曰..孰謂鄹人之子知禮乎?入太廟,每事問。子聞之,曰..是禮也。
 
(1) 太廟:魯나라 君主의 始祖廟, 魯나라의 시조는 周公이므로 周公의 廟이다. 孔子가 관직을 얻고 太廟 에서 제사를 돕는(助祭) 예행 연습할 때의 상황, 본 제사에서는 절대 엄숙으로 질문할 수 없음. ;
(2) 問 - 묻다. 孔安国의 注「雖知之, 當復問, 愼之至也」 ; 《禮記》〈曲禮〉「毋不敬(禮經三百,威儀三千) ; 《孝經》「禮者, 敬而已矣」 ; 《朱子集注》인용 尹焞(字,彦明)「尹氏曰..禮者, 敬而已矣。雖知亦問, 謹之至也, 其爲敬莫大于此。謂之不知禮者, 豈足以知孔子哉?」 ; 明,李贄(號,卓吾)「卓吾云..只論禮與非禮, 那爭知與不知」 ; 明,方大滶「若云雖知亦問者, 謬矣」 ;
(3) 孰 - 누가 ;
(4) 鄹 - 추, 春秋 魯나라 지명, 달리 陬로 쓴다. 현재 山東 曲阜 부근. 鄹人之子는 孔子를 가리킨다. 孔子 부친 叔梁紇이 鄹邑의 大夫를 역임했기 때문이다. 즉 예를 잘 안다는 추읍의 촌놈이 ;
(5) 是 - 每事問
 
 

 
《史記》〈周本紀〉 註釋
 
1. 夷 - 최신 발견 甲骨文[▣], 甲骨文의 夷(활+화살 가지고 있는)와 尸(꿇어앉은), 人과 同形, 서로 通用. 商代 甲骨文 중에서 「人(尸)方」은 西周 金文의 「東夷」이다. 東夷族의 후손은 현재 중국 서남방 大山에 거주하는 彝族이 가장 유력. ;
형용사의 의미로는 《說文解字》「夷, 平也」 ; 명사, 《說文解字》〈大》「夷, 從大從弓。東方之人也」 ;
최신 갑골문 연구에 의하면 「從矢從弓」이 비교적 적합하다. 참고로 東南方의 「閩越」은 從虫, 南方의 「蠻」도 從虫, 西方의 「羌」은 從羊, 北方의 「狄」은 從犬, 東北方의 「貉」은 從豸, 東方의 「夷」는 從人(大, 矢)이다. *夷夏東西說(1933年傅斯年, 54운동 학생대표, 北京大 臺灣大學 총장)-중국역사는 남북의 대립이 아니고 太行山을 경계로 夷商爲東系, 夏周爲西系 ;
 
o 고대 동방 부족→중원 이외 각 지역의 소수민족에 대한 멸시 칭호, 《論語》〈子罕〉「子欲居九夷」 ;
o 고대 중원 이외 각 종족에 대한 蔑稱, 《玉篇》〈大部〉「夷, 蠻夷也」 ;
o 풀을 깎다, 《周禮》〈蓠氏〉「掌杀草。春始生而萌之, 夏日至而夷之」 ;
o 땅을 평평하게 고르는 공구, 《管子》〈小匡〉「惡金以鑄斤斧鋤夷鋸戟, 試諸木土」 ;
o 고대 나라이름(현재 山東省 即墨市), 《左傳》隱公元年「紀人伐夷」 ;
o 산 이름, 《水經注》〈江水〉「又東過夷陵縣南....應劭曰..夷山在西北, 蓋因山以名縣也」 ;
o 常法 또는 常道, 《史記》〈宋微子世家〉「王極之傳言, 是夷是訓, 于帝其順」 ;
o 고대 道家의 哲学概念으로 無色無形不可視看, 《老子》第十四章「視之不見名曰夷, 聽之不聞名曰希, 搏之不得名曰微」 ;
o 평탄, 王安石, 《游褒禪山记》「夫夷以近, 則游者衆., 險以遠, 則至者少」 ;
o 傲慢, 《荀子》〈脩身〉「容貌態度, 進退趨行, 由禮則雅, 不由禮則夷固僻違, 庸衆而野」 ;
o 愉快, 《詩經》〈那〉「我有嘉賓, 亦不夷懌」 ;
o 平均, 《尉繚子》〈兵教下〉「無喪其利, 無奪其時, 寬其政, 夷其業, 救其弊, 則足以施天下」 ;
o 봉쇄하다, 《孫子》〈九地〉「是故政擧之日, 夷關折符, 無通其使」 ;
o 尸体를 잘 놓다, 《周禮》〈凌人〉「大喪, 共夷槃冰」 ;
o 창에 찔린 상처, 《後漢書》〈班超傳〉「毎有攻戰, 輒爲先登, 身被金夷, 不避死亡」 ;
o 助詞로 뜻 없음, 《孟子》〈盡心下〉「夷考其行而不掩焉者也」 ;
o 姓氏 ; 소멸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315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14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13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