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3년
2023년 12월
2023년 12월 28일
2023년 12월 21일
2023년 12월 14일
2023년 12월 7일
2023년 11월
2023년 11월 30일
2023년 11월 23일
2023년 11월 16일
2023년 11월 9일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6일
2023년 10월 19일
2023년 10월 12일
2023년 10월 5일
2023년 9월
2023년 9월 21일
2023년 9월 14일
2023년 9월 7일
2023년 7월
2023년 7월 27일
2023년 7월 20일
2023년 7월 13일
2023년 7월 6일
2023년 6월
2023년 6월 22일
2023년 6월 14일
2023년 6월 1일
2023년 5월
2023년 5월 25일
2023년 5월 18일
2023년 5월 11일
2023년 5월 4일
2023년 4월
2023년 4월 27일
2023년 4월 20일
2023년 4월 13일
2023년 4월 6일
2023년 3월
2023년 3월 30일
2023년 3월 23일
2023년 3월 16일
2023년 3월 9일
동양고전 제303강 강의교안
2023년 3월 2일
2023년 2월
2023년 2월 23일
2023년 2월 9일
2023년 2월 2일
2023년 1월
2023년 1월 26일
2023년 1월 12일
2023년 1월 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학습】
(2024.03.08. 16:52) 
◈ 동양고전 제303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3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03,09)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3강(2023,03,09) 강의 교안
 
 
《論語》〈八佾〉 注釋
3-5. 子曰..夷狄之有君,不如諸夏之亡也.
 
1) 夷狄-중원 이외의 종족, 楊遇夫先生《論語疏證》..夷狄有君指楚莊王,吳王闔閭 등 당시 華族은 夷狄을 군주는 있지만 禮樂이 없는 야만인으로 여김. ;
2) 諸夏-중원에 겨주하는 華夏(華山夏(漢)水 부근의)族의 自稱(스스로 군주도 있고 예악도 있는 문명족으로 여김) , 華-夏-華夏-夏華-夏-諸夏(古有萬國)-中華......秦-漢... ;
3) 亡-無(여기서의 의미는 군주는 없어도 禮樂은 존재하는 문명국을 비유), 無로 읽고,没有、無의 意思. 문법적으로 亡의 아래 不用賓語(목적어),無의 아래는 必有賓語 ; 朱子《集注》中引程子「夷狄且有君長,不如諸夏之僭亂,反無上下之分也」 또 諸夏不如夷狄 춘추 개판 의미 ; 夷狄不如諸夏는 道德, 禮儀의 존재는 군주의 존재보다 더욱 중요함.
 
* 중국 고대 度量衡에서 度-身体의 어느 부분을 기준으로 함.
고대 중국의 길이 단위 ; 寸(象手形)、咫(지, 8寸, 婦人手長)、尺(象人卧的形象)、丈(目之察度)、尋(伸開两臂)、仞(伸臂一尋八尺)、常(尋舒两肱也,倍尋謂之常) 等 (1) 시대별로 조금씩 다름 (2) 대략 分--寸(10分)--尺(10寸)--仞, 武(4尺, 半步)--步, 尋(8尺, 半常)--常(1丈6尺)
 
 

 
《史記》〈周本紀〉 註釋
 
1. 多 -甲骨文, 원래는 수량 많다 의미, 少와 寡의 상대 의미. ; 《說文解字》「多, 重也。從重夕。夕者, 相繹也, 故爲多。重夕爲多, 重日爲曡。凡多之屬皆從多。𡖇, 古文多」 ; 이에 대해서 清, 王國維, 「多從二肉, 古代祭祀後要分胙肉, 两块肉者爲多」 ;
1) 수량 많다, 《史記》〈五帝本紀〉「萬國和, 而鬼神山川封禪與爲多焉。 獲寶鼎, 迎日推筴。 擧風后、力牧、常先、大鴻以治民。順天地之紀, 幽明之占, 死生之說, 存亡之難」 ;
2) 나머지, 잔여, 《水滸全傳(施耐庵和羅貫中一起编纂)》第三十九回「便唤酒保計算了, 取些銀子算還, 多的都賞了酒保」 ;
3) 무겁다(輕의 相對), 《老子》四十四章「名與身孰親? 身與貨孰多? 得與亡孰病? 甚愛必大費 ; 厚藏必多亡。 故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4) 어질다, 좋다, 《呂氏春秋》〈謹聽〉「昔者禹一沐而三捉发, 一食而三起, 以禮有道之士, 通乎己之不足也。通乎己之不足, 則不與物爭矣。 愉易平靜以待之, 使夫自得之 ; 因然而然之, 使夫自言之。 亡國之主反此, 乃自賢而少人。 少人則說者持容而不極, 聽者自多而不得, 雖有天下, 何益焉?」 ;
5) 크다, 《呂氏春秋》〈知度〉「爲人主而數窮于其下, 將何以君人乎? 窮而不知其窮, 其患又將反以自多」 ;
6) 찬양, 존중, 《史記》〈管晏列傳〉「鮑叔既進管仲, 以身下之。子孫世祿于齊, 有封邑者十餘世, 常爲名大夫。天下不多管仲之賢而多鮑叔能知人也」 ;
7) 중시하다, 《逸周書》〈程典〉「爲上不明, 爲下不順, 無丑。 輕其行, 多其愚, 不智」 ;
8) 다수, 《左傳》襄公三十一年「晋君將失政矣, 若不樹焉, 使早備鲁, 既而政在大夫, 韓子懦弱, 大夫多貪, 求欲無厭, 齊、楚未足與也, 魯其惧哉! 孝伯曰..人生幾何? 誰能無偷? 朝不及夕, 將安用樹? 穆叔出而告人曰..孟孫將死矣」 ;
9) ~여, 《儒林外史》第十一回「此番招贅進蘧公孫來, 門户又相稱, 才貌又相當, 眞個是才子佳人, 一双两好., 料想公孫擧業已成, 不日就是個少年進士。 但贅進門十多日, 香房里萬架都是文章, 公孫却全不在意」 ;
10) 단지(只, 僅僅), 《左傳》襄公十四年「左史謂魏莊子曰..不待中行伯乎? 莊子曰..夫子命從帥。 欒伯, 吾帥也, 吾將從之。從帥, 所以待夫子也。伯游曰..吾今實過, 悔之何及, 多遺秦禽」 ; 祇, 僅, 不過, 《論語》〈子張〉「得其門者或寡矣, 夫子之云不亦宜乎! 叔孫武叔毁仲尼, 子貢曰..無以爲也, 仲尼不可毁也。他人之賢者, 丘陵也, 猶可逾也., 仲尼, 日月也, 無得而逾焉。人雖欲自絶, 其何傷于日月乎?多見其不知量也!」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303강 보충자료
• 동양고전 제303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302강 강의교안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