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330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30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11.16.)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30강(2023.11.16.) 강의 교안
 
*《論語》〈里仁〉
4-03.子曰:唯仁者能好人,能惡人。
 
【注釋】
1) 唯 - 오직 ; 비록~하더라도 ; 發語詞 ;
2) 仁者 - 仁者(仁心),人之極(有德行,有恩情)也 ;
3) 好人 - 사람을 좋아하다 ;
4) 惡人 - 사람을 미워하다. (참고)《朱子集注》「蓋無私心,然後好惡當于理。程子所謂得其公正是也 ; 《四書解義》「曰..仁人之心公而情正也。無私好,無私惡,王道之所以大中至正也」
 
* 大同과 小康의 비교 《禮記》〈禮運〉의 「大道之行也」 분석
「大道之行也,天下爲公,選賢與能,講信修睦。故人不獨親其親,不獨子其子,使老有所終,壯有所用,幼有所長,矜、寡、孤、獨、廢疾者皆有所養,男有分,女有歸。貨惡其棄于地也,不必藏于己;力惡其不出于身也,不必爲己。是故謀閉而不興,盗竊亂賊而不作,故外户而不閉,是謂大同」
 
 
 
 
*《史記》〈周本紀〉 注釋
1. 淮 - 《說文解字》「淮,水。出南陽平氏桐柏大復山,東南入海。從水隹聲」 朱駿聲曰..「出今河南南陽府桐柏縣桐柏山,經安微至江蘇清河縣合于河,經安東縣至雲梯關入海」 ; 《爾雅》「江淮河濟爲四瀆」 ; 《周禮》〈職方式〉「其浸淮泗」 ; 姜夔, 《揚州慢》「淮左名都」 ;
(1) 크다, 《尙書大傳》「淮雨」 注..「大雨之名也」 ;
(2) 고르게 하다, 《風俗通》〈山澤篇〉「淮,均也。均其務也」 ;
(3) 둘러싸다, 《釋名》「淮,圍也。圍繞揚州分界,東至於海也」 ;
(4) 淮는 安徽省的簡稱 ;
(5) 李鴻章이 安徽省에서 조직한 군대 淮軍의 표시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사마천 사기 331강 강의자료 내용 (23.11.23)
• 동양고전 제330강 강의교안
• 사마천 사기 330강 강의자료 내용 (23.11.16)
(2024.04.11. 12:18)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