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5년
2015년 12월
2015년 12월 29일
2015년 12월 28일
2015년 12월 27일
2015년 12월 14일
2015년 12월 13일
2015년 12월 12일
2015년 12월 11일
2015년 12월 10일
2015년 12월 9일
2015년 12월 8일
2015년 12월 7일
2015년 12월 1일
2015년 11월
2015년 11월 30일
2015년 11월 29일
2015년 11월 28일
2015년 11월 27일
2015년 11월 26일
2015년 11월 13일
2015년 11월 7일
2015년 11월 6일
2015년 11월 5일
2015년 11월 2일
2015년 11월 1일
2015년 10월
2015년 10월 31일
2015년 10월 29일
2015년 10월 27일
2015년 10월 26일
2015년 10월 25일
2015년 10월 24일
2015년 10월 23일
2015년 10월 22일
2015년 10월 21일
2015년 10월 20일
2015년 10월 16일
2015년 10월 15일
2015년 10월 14일
2015년 10월 13일
부여 박물관 탐방기 (2015. 10. 13)
2015년 10월 12일
2015년 10월 11일
2015년 10월 10일
2015년 10월 9일
2015년 9월
2015년 9월 26일
2015년 9월 25일
2015년 9월 24일
2015년 9월 23일
2015년 9월 22일
2015년 9월 20일
2015년 9월 19일
2015년 9월 18일
2015년 9월 11일
2015년 9월 9일
2015년 9월 8일
2015년 9월 1일
2015년 8월
2015년 8월 25일
2015년 8월 16일
2015년 8월 3일
2015년 8월 1일
2015년 7월
2015년 7월 30일
2015년 7월 29일
2015년 7월 27일
2015년 7월 22일
2015년 7월 20일
2015년 7월 16일
2015년 7월 9일
2015년 7월 6일
2015년 7월 2일
2015년 7월 1일
2015년 6월
2015년 6월 26일
2015년 6월 16일
2015년 6월 15일
2015년 6월 9일
2015년 6월 8일
2015년 6월 5일
2015년 6월 4일
2015년 6월 2일
2015년 6월 1일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5월 28일
2015년 5월 27일
2015년 5월 26일
2015년 5월 22일
2015년 5월 21일
2015년 5월 19일
2015년 5월 17일
2015년 5월 15일
2015년 5월 13일
2015년 5월 11일
2015년 5월 9일
2015년 5월 8일
2015년 5월 6일
2015년 5월 4일
2015년 5월 2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27일
2015년 4월 24일
2015년 4월 22일
2015년 4월 18일
2015년 4월 11일
2015년 4월 8일
2015년 4월 5일
2015년 3월
2015년 3월 24일
2015년 3월 6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21일
2015년 2월 20일
2015년 2월 12일
2015년 2월 11일
2015년 2월 7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28일
2015년 1월 27일
2015년 1월 25일
2015년 1월 11일
2015년 1월 7일
2015년 1월 2일
about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내서재
추천 : 0
국립 부여 박물관(國立扶餘博物館)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 부여군(扶餘郡)
【여행】
(2017.11.30. 12:08) 
◈ 부여 박물관 탐방기 (2015. 10. 13)
화려한 백제문화 중에서 부여(사비) 시대 문화재를 모아 놓은 국립 부여 박물관을 대표하는 유물은 단연 진품(眞品)의 백제 금동 대향로(百濟 金銅大香爐)이다.
화려한 백제문화 중에서 부여(사비) 시대 문화재를 모아 놓은 국립 부여 박물관을 대표하는 유물은 단연 진품(眞品)의 백제 금동 대향로(百濟 金銅大香爐)이다. 백제 금동 대향로뿐만 아니라 국보 3점, 보물 5점 등 총 32,0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약 1,000여 점을 전시하고 있다. 비록 패망의 백제의 한을 간직한 유물들이지만 남아서 역사를 말한다. 특히 유물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다. 이기회에 안목을 조금 업그레이드하고 싶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더라. -유한준-
 

 
제61회 백제문화제가 진행됐던 부여 박물관을 일아보자. 먼저 소장 유물 중 국보와 보물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야외 전시되어 있는 유물부터 살펴보자.
 
 
▼백제색(百濟色)을 찾아 기획전 (2015년 09월 15일 ~ 11월 29일)
 
 
▼ <자연에서 얻어진 색>은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고 검소하지만 누루하지 않는다. 화이불치(華而不侈) 검이불루(儉而不陋)
 
 
▼ 당나라 유인원 기공비(唐劉仁願紀功碑)로 유인원의 행적을 기록한 비.
 
① 보물 제21호.
② 벽회색의 반점이 있는 대리석을 사용했으며, 이수(螭首)는 육룡(六龍)이 중앙의 주옥(珠玉)을 서로 다투는 모습으로, 당나라 초기의 웅장하고 화려한 수법을 보여준다. 비의 높이는 3.35m, 두께는 31㎝이며, 이수의 높이는 114㎝, 너비 133㎝이다. 글자의 크기는 2.4㎝이며, 제액(題額)의 글자 크기는 6㎝ 정도인데 전서(篆書)로 양각되었다.
③ 건립 연대는 663년(문무왕)으로 추정된다.
④ 비문의 전반부는 중간 중간이 마모되어 알 수 없는 부분이 있는데, 후반부는 더욱 심해 마지막 부분의 몇 자 외에는 완전히 마멸되어 알 수가 없다. 판독이 가능한 전반부 비문의 내용을 보면 유인원의 세계(世系)와 생애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⑤ 660년 우이도행군자총관(嵎夷道行軍子總管)으로서 형국공(邢國公) 소정방(蘇定方)과 더불어 백제를 공격, 멸망시킨 뒤 도호겸지유진(都護兼知留鎭)으로서 백제의 옛 땅의 민심을 다스리면서 백제 부흥군을 격파하였다.
 
 
 
 
▼ 보광사대보광선사비(普光寺大普光禪師碑) - 절사寺가 아니라 스승사師로 적습니다 -
 
① 보물 제107호.
② 높이 1.97m.
③ 원래는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보광사지(普光寺址)에 있던 것을 현 위치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④ 원비(原碑)는 1285년(충렬왕 11)에 세우고 1750년(영조 26)에 개각(改刻)하였다. 현재 대석(臺石)과 개석(蓋石)은 없어지고 비신(碑身)만이 남아 있는데, 비신의 가장자리에는 당초문(唐草文)을 유려하게 조각하였으며 윗부분을 귀접이하였다.
⑤ 제일 윗부분에는 “고려임주대보광선사비(高麗林州大普光禪寺碑)”라는 10자의 전액(篆額)이 있고, 비제(碑題)는 “고려임주대보광선사중창비(高麗林州大普光禪寺重刱碑)”로 되어 있다. 비문은 원나라의 위소(危素)가 짓고 양지(楊池)가 썼으며, 주백기(周伯琦)가 액(額)에 전(篆)하였다.
⑥ 비음(碑陰)에 적혀진 추기(追記)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전우(殿宇)가 모두 불타서 없어지고 기적비(紀蹟碑)도 알아볼 수 없도록 박락(剝落)하여 국사(國師 : 圓明國師)의 유적을 찾을 수 없으므로 주지(住持) 석능일(釋能一)이 고쳐 새기니 비지(碑誌)가 천년 만에 거듭 새로와져서 밝기가 어제 같다고 하였다. 개각연대는 1750년(건륭 15년) 6월 20일이며 이충언(李忠言)이 각자(刻字)하였다.
 
 
 
 
▼ 이수(가운데)와 비석 받침을 모은 야외 전시 유물
좌측부터 성주사지(聖住寺址) 비석받침(귀부), 가운데 성주사지 이수, 서천 군사리 귀부
 
 
▼ 비석 받침(귀부)으로 머리가 비틀어져 있는데 왜 ? 고려 11~13세기. 서천 군사리
 
 
 
▼ 성주사지 출토 비머리(이수, 螭首)
 
① 보물 제21호
②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성주사터 (忠南 保寧 聖住面 聖住里 聖住寺址)
③ 비석의 머릿돌은 용이 새겨져 있어 이수라고 부른다. 이러한 모습의 이수는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 확립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영향을 받아 신라의 통일 직후 귀부, 몸돌, 이수로 이루어진 비석을 만드는데, 비신과 별도로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이수와 달리 중국의 이수는 비신과 한 몸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구산선문 가운데 하나인 보령 성주사터에서 발견된 이 비석머리는 특이하게도 반룡들이 서로 얽힌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고 비석의 이름을 적는 제액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특이한 형태를 띄고 있다. 성주사지에는 888년 입적한 무염의 비석이 남아 있고 이수의 구성과 제액의 형태가 변형된 것으로 고려시대 성주사에 주석하였던 선사의 비석머리로 추정되고 있다.
 
 
 
▼ 비석받침(귀부, 龜趺)
 
① 보령 성주면 성주리 성주사터 (保寧 聖住面 聖住里 聖住寺址)
② 중국 당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비석의 받침은 거북모양을 띠고 귀부라고 불러지고 있다.
③ 태종무열왕릉비와 같이 초창기 비석의 귀부는 전형적인 거북머리를 하고 있지만 9세기 중엽 이후부터는 용머리로 변모한다.
④ 보령 성주사터에서 나온 비석머리와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이 비석받침은 머리와 몸의 일부가 없지만, 다리와 등 모양이 사실감과 박진감을 느낄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 비석 관련 명칭
 
 
 
▼ 석조여래입상(石造如來立像)
 
부여군 부여읍 금성산의 천왕사로 알려진 절터 부근에서 1933년에 발견된 불상이다.
 
얼굴은 크고 비만하게 표현한 반면 신체는 밋밋하게 표현하였으며, 특히 몸과 머리의 폭이 거의 비슷한 돌기둥 형태를 보인다.
 
이렇게 석주형의 석불은 논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 당진 안국사지 석불입상, 익산 고도리 석불입상 등 고려 전기 충청·전라지역에서 유행하는데 이 석불 역시 그러한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국립 부여박물관 심볼과 전경
 
 
 
 
▼부여석조(扶餘石槽)로 돌로 만든 물그릇.
 
① 보물 제194호
② 높이 1.57m, 지름 1.42m.
③ 현재 박물관 안쪽에 자리하고 있지만, 원래는 박물관 건물 동쪽의 우물자리 아래쪽으로 10m쯤 떨어진 곳에 있었다.
④ 석조는 하나의 돌에 아래 받침돌, 가운데 받침돌, 윗받침돌 등을 모두 만든 둥근 받침돌 위에 놓여 있다. 아래 받침돌과 간주(竿柱)처럼 생긴 가운데 받침돌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고, 윗받침돌 역시 옆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다. 다만 윗받침돌의 윗면에는 석조의 몸통을 받치기 위해서 일반적인 모습의 둥근 받침대가 새겨져 있다.
⑤ 몸통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여느 석조처럼 길고 네모난 전형적인 모습과 달리 둥근 모습이어서, 백제시대의 기본적인 양식을 그대로 담고 있다. 또한 현재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석조로 알려져 있는 공주 중동 석조(보물 제148호)나 공주 반죽동 석조(보물 제149호)와도 달리 사발 모습이어서 특이하다.
곧 맨 위의 아가리부분이 약간 오므라들면서 안쪽면과 바깥쪽면 모두 둥글고, 바닥면은 평평하면서도 모나지 않게 부드러워 보인다. 바깥쪽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줄이 세로로 소박하게 돋을새김 되었는데, 몸통 전체에 나타나 있는 원만한 곡선과 잘 어울려 품위를 한층 더 높여 주고 있다.
⑥ 특히 겉면에는 “대당평백제국비명(大唐平百濟國碑銘)…”이라고 오목새겨진 불분명한 여러 줄의 글자가 있는데,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에 있는 글자와 함께 당나라 군사가 백제를 멸망시킨 뒤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⑦ 이 석조는 안쪽면과 바깥쪽면, 그리고 받침돌에도 연꽃 무늬 장식이 전혀 없으므로, 사찰과 관련된 유물은 아닌 듯하다. 석조가 자리하였던 곳이 백제시대의 궁궐터로 전해지고 있으므로, 당시 왕궁에서 쓰였던 석련지(石蓮池)였을 것으로 보인다. 받침돌이나 몸통에 나타난 풍성하고도 우아한 곡선미는 백제 사람의 돌다듬기 수법을 잘 보여주기에, 백제미를 대표하는 석조물로 평가되고 있다.
 
 
 
 
▼ 백제 역사 연대기(BC 18 ~ AD 660)
백재는 한성백제, 웅진(공주,475∼538,63년),사비(부여,538∼660,122년 )시대로 구분한다.
 
 
▼ 백제 역대 임금
 
 
 
▼ 538년 성왕이 사비(부여)로 천도하여 사비시대 시작
 
 
 
▼ 모니터에 소개되는 내용
 
 
 
 
 
 
 
 
 
▼ 유물들
 
 
연당
 
 
 
▼ 백재 금동 대향로
 
국보 제287호. 전체 높이 61.8㎝, 최대 직경 19㎝, 무게 11.8㎏의 이 향로는 1993년 12월 12일 부여 능산리의 백제시대 고분군(古墳群)과 사비성(泗泌城)의 나성(羅城)터 중간에 위치한 백제유적 발굴 현장에서 백제시대의 다양한 유물들과 함께 출토되었다.
 
동체(胴體)를 연꽃봉오리로, 뚜껑은 산 모양으로 만들어 많은 물상(物象)을 등장시켰고 정상에 봉황을, 아래에는 용을 배치하였다. 이로 보아 이 향로는 불로장생하는 신선(神仙)이 용과 봉황과 같은 상상의 동물들과 어우러져 살고 있다는 해중(海中)의 박산(博山) 즉 신선세계(神仙世界)이자 별천지(別天地)·이상향(理想鄕)을 닮게 만들었다는 전형적인 박산향로(博山香爐)임을 알 수 있다.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
 
① 보물 제288호
② 567년 제작
③ 화강암
④ 높이 74㎝, 너비 50㎝
⑤ 능산리 절터는 부여 능산리고분군과 나성(羅城) 사이에 있는 절터로 일탑일금당식(一塔一金堂式)의 가람배치를 이루고 있는 백제시대 유적이다. 1995년 발굴조사 당시 이미 교란된 상태로 출토되었기 때문에 내부의 사리장치는 남아 있지 않으나 감실 입구 양쪽 면에 10자씩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즉 오른쪽에 ‘百濟昌王十三秊太歲在(백제창왕십삼년태세재)’, 왼쪽에 ‘丁亥妹□公主供養舍利(정해매□공주공양사리)’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 명문 내용 중 창왕은 성왕의 아들인 위덕왕이며, 그 13년인 정해년은 567년이 된다.
⑥ 이 사리감(감龕이란 신불神佛을 안치하는 곳)은 윗부분을 아치형으로 처리하여 전체 모양이 능산리고분군의 중하총 현실(玄室)과 같은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면을 파서 감실을 마련하였다.
 
 
 
▼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
 
1948년 부여읍 관북리 도로변에서 발견된 비로 높이 102cm, 너비 38cm, 두께 29cm
 
 
 
 
 
 
▼ 치미는 지붕 용마루의 장식 기와다.
 
 
 
▼금동관세음보살입상(金銅觀世音菩薩立像)
 
① 국보 293호
② 높이 21.1cm
③ 부여군 규암면 절터에서 발견된 보살상으로 머리에 작은 부처가 새겨진 관(冠)을 쓴 관음보살이다.
 
오른손을 어깨 높이로 올려 작은 보주(寶珠)를 잡고 있는 독특한 자세가 눈에 띈다. 둥글고 통통한 앳된 얼굴에 눈을 지그시 감았고 꼭 다문 입가에는 보일 듯 말 듯한 부드러운 미소를 띠고 있다. 가늘고 날씬한 신체는 비례와 균형이 잘 잡혀 자연스러우며, 어깨에서 팔을 타고 천의 자락이 부드럽게 흘러 유연한 곡선미가 엿보인다. 길게 드리워진 구슬 장식과 옷자락을 뒷면까지 표현하였으며, 팔과 몸체의 둥근 맛이 느껴지도록 공간을 주어 이전 시기보다 몸의 입체감이 느껴진다.
 
이처럼 신체의 굴곡과 양감을 자연스럽고 생기 있게 표현한 것은 7세기 전반 보살상의 특징이다. 특히 이 금동 보살상은 우아하며 세련된 백제 불교조각의 미적 감각을 잘 보여준다.
 
 
 
▼ 다양한 무늬들로 지금 이 문양을 사용하거나 응용해도 참 좋겠다.
 
백제 8문양은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 있는 절터에서 출토된 백제시대의 전돌(벽돌)이다.
 
산수무늬, 산수봉황무늬, 연꽃도깨비무늬, 봉황무늬, 연꽃무늬, 연꽃구름무늬, 산수도깨비무늬, 용무늬 8종류가 있다.
 
① 연꽃구름무늬
 
② 연꽃무늬
 
③ 봉황무늬
 
④ 용무늬
 
⑤ 산수봉황무늬
 
⑥ 산수무늬
 
⑦ 산수도깨비무늬
 
⑦ 연꽃도깨비무늬
 
 
▼백제의 대외교류도
 
 
▼팜플릿
 
 
 
 
 
 
 
▼관람 정보
 
 
 
★한성백제에 대해 알고 싶으시면 여기를 누르세요.
★백제 금동대향로에 대하여는 여기를 누르세요.
★부여 궁남지는 여기를 누르세요.
★부여 정림사지와 정림사지 5층 석탑은 여기를 누르세요.
 
 
출처: 국립부여박물관 홈페이지 , 민족문화대백과, 팜플릿, 네이버, 문화재청
국립 부여 박물관(國立扶餘博物館)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 부여군(扶餘郡)
【여행】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 부여 낙화암 고란사와 백마강 탐방기 (2015. 10. 14)
• 부여 박물관 탐방기 (2015. 10. 13)
•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탐방기 (2015. 10. 12)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