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5년
2015년 12월
2015년 12월 29일
2015년 12월 28일
2015년 12월 27일
2015년 12월 14일
2015년 12월 13일
2015년 12월 12일
2015년 12월 11일
2015년 12월 10일
2015년 12월 9일
2015년 12월 8일
2015년 12월 7일
2015년 12월 1일
2015년 11월
2015년 11월 30일
수종사 5편(최종) - 삼정헌, 팔각오층탑, 부도 둘러보기- (2015. 11. 30)
2015년 11월 29일
2015년 11월 28일
2015년 11월 27일
2015년 11월 26일
2015년 11월 13일
2015년 11월 7일
2015년 11월 6일
2015년 11월 5일
2015년 11월 2일
2015년 11월 1일
2015년 10월
2015년 10월 31일
2015년 10월 29일
2015년 10월 27일
2015년 10월 26일
2015년 10월 25일
2015년 10월 24일
2015년 10월 23일
2015년 10월 22일
2015년 10월 21일
2015년 10월 20일
2015년 10월 16일
2015년 10월 15일
2015년 10월 14일
2015년 10월 13일
2015년 10월 12일
2015년 10월 11일
2015년 10월 10일
2015년 10월 9일
2015년 9월
2015년 9월 26일
2015년 9월 25일
2015년 9월 24일
2015년 9월 23일
2015년 9월 22일
2015년 9월 20일
2015년 9월 19일
2015년 9월 18일
2015년 9월 11일
2015년 9월 9일
2015년 9월 8일
2015년 9월 1일
2015년 8월
2015년 8월 25일
2015년 8월 16일
2015년 8월 3일
2015년 8월 1일
2015년 7월
2015년 7월 30일
2015년 7월 29일
2015년 7월 27일
2015년 7월 22일
2015년 7월 20일
2015년 7월 16일
2015년 7월 9일
2015년 7월 6일
2015년 7월 2일
2015년 7월 1일
2015년 6월
2015년 6월 26일
2015년 6월 16일
2015년 6월 15일
2015년 6월 9일
2015년 6월 8일
2015년 6월 5일
2015년 6월 4일
2015년 6월 2일
2015년 6월 1일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5월 28일
2015년 5월 27일
2015년 5월 26일
2015년 5월 22일
2015년 5월 21일
2015년 5월 19일
2015년 5월 17일
2015년 5월 15일
2015년 5월 13일
2015년 5월 11일
2015년 5월 9일
2015년 5월 8일
2015년 5월 6일
2015년 5월 4일
2015년 5월 2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27일
2015년 4월 24일
2015년 4월 22일
2015년 4월 18일
2015년 4월 11일
2015년 4월 8일
2015년 4월 5일
2015년 3월
2015년 3월 24일
2015년 3월 6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21일
2015년 2월 20일
2015년 2월 12일
2015년 2월 11일
2015년 2월 7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28일
2015년 1월 27일
2015년 1월 25일
2015년 1월 11일
2015년 1월 7일
2015년 1월 2일
about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내서재
추천 : 0
남양주시(南楊州市) 수종사(水鍾寺)
【여행】
(2017.12.04. 14:05) 
◈ 수종사 5편(최종) - 삼정헌, 팔각오층탑, 부도 둘러보기- (2015. 11. 30)
멋진 경관과 운길산 밑의 배산임수(背山臨水) 자리에 위치한 수종사(水鐘寺:물 떨어지는 소리가 종소리로 들려 수종사라 함) 마지막 편
멋진 경관과 운길산 밑의 배산임수(背山臨水) 자리에 위치한 수종사(水鐘寺:물 떨어지는 소리가 종소리로 들려 수종사라 함) 마지막 편으로 무료 다실(茶室)인 삼정헌(三鼎軒), 보물 1808호로 지정된 팔각5층탑(八角五層塔) 그리고 태종의 후궁 소생의 정의옹주(貞懿翁主) 부도(浮屠)를 둘러본다. 삼정헌은 특히 茶山 정약용 선생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깊은 인연이 있는 수종사로서 그 옛날 다산 정약용, 초의 선사, 추사 김정희 등이 모여 차 맛을 즐겼다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이름을 지었다는 해석을 세간에서 더러 하지만, 삼정헌은 시詩. 선禪, 차茶가 곧 하나로 통하는 茶室이라는 뜻으로 조계종 25교구 본사의 조실스님이신 월운스님께서 지으셨다. 수종사는 사계절 언제라도 방문하면 결코 후회하지 않을 장소로 추천합니다.
 

 
▼ 무료 다실인 삼정헌(三鼎軒) 건물이다.
시(詩), 선(禪), 차(茶)가 하나 되는 곳이라는 의미의 삼정헌(三鼎軒)에서 은은한 녹차향이 밴 차 한 모금과 통유리 너머로 경관이 일품이다. 방 안에서 풍광을 감상하면서 차를 마셔보자.
 
 
 
 
 
 
 
수종사의 물맛이 좋아 녹차의 향이 깊다.
 
▼ 예불 시간(10시 반~11시 반)은 CLOSE. 무료 다실이지만 마음을 담아 시주함에 넣는다.
 
 
▼ 삼정헌 옆에서 본 북한강 전망이다.
 
▼ 눈오는 날의 두물머리 풍경이 멋지다.
 
삼정헌과 대각선 방향인 대웅보전 옆에 팔각 오층탑과 정의공주(貞懿翁主) 부도가 있다. 두 곳에서 발견된 유물을 보면 왕실과 관련있는 사찰이다.
 
▼ 팔각 오층탑은 2013년 보물 1808호로 지정되었다.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南陽州 水鐘寺 五層石塔)은 고려 시대 팔각 석탑의 전통을 이어 조선 시대에 건립된 석탑이다.
 
출토된 유물을 볼때 건립 연대는 늦어도 1493년에 건립된 이래 1628년(인조6)에 중수(重修)했음을 알 수 있으며 왕실 발원의 석탑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양식을 보면 기단부는 불상대좌(佛像臺座)의 양식이고 탑신부는 목조건축의 양식이다.상륜부는 팔작지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아랫부분은 4각의 지대석이 받치고 있으며, 그 위로는 8각의 중대석·상대석·지붕돌이 층층이 쌓여 있다.
 
특히 꼭대기 부분에 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이 아름다움을 더한다. 이처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은 건립연대가 확실하고 각부의 부재가 완전하게 유지된 조선 시대 팔각오층석탑으로서 역사적·학술적으로 귀중한 자료다.
 
 
▼ 사진의 좌측은 사리를 넣어 놓은 부도, 우측이 팔각오층탑이다.
 
 
 
아래는 팔각오층탑을 해체 수리하면서 발견된 유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수종사 석탑내 금동불상군(水鐘寺 石塔內 金銅佛像群)
수종사의 팔각오층석탑의 1층 탑신석(塔身石) 및 기단 중대석(中臺石) 안에서 각각 발견된 것으로, 이 15구의 금동불상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있다.
 
 
▼ 수종사 금동 불감 아미타 극락회상도(水鐘寺 金銅 佛龕 阿彌陀 極樂會上圖)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불감(국립중앙박물관 소장,불감은 휴대용 법당)의 외벽에 그려진 조선 전기의 불화다. 동판에 채색. 세로 13.5㎝, 가로 17㎝. 아미타여래의 설법 장면을 도회(圖繪)한 것이다.
 
 
 
▼ 정의옹주(貞懿翁主) 부도(浮屠)
 
팔각오층탑 옆에 있는 부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7호)는 태종의 다섯 번째 딸 정의옹주(공주公主는 왕과 중전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고, 옹주翁主는 왕과 후궁 사이에서 태어난 딸)의 높이 2.38m 부도다. 가운데 부분은 항아리처럼 둥글고 1439년(세종 21) 왕실의 발원으로 제작되었다. 원통형 탑신의 둘레가 218cm로서 운룡문이 화려하기 새겨져 있고, 두 마리의 용은 여의주를 움켜쥐고 구름을 뚫고 힘차게 비상하려는 자세가 금방이라도 움직이는 듯 생생하다.
 
4매의 네모난 판석으로 이루어진 지대석(地臺石) 위에 2층의 기단부(基壇部)와 원통형 탑신, 팔각지붕 모양의 옥개석(屋蓋石)과 상륜부(相輪部)까지 모두 갖추고 있어 완전한 모습이다.
 
지대석 각 면석에는 도드라진 구름무늬가 장식되어 있고, 기단부 중 하층기단은 각 측면 위와 아래 부분에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을 돌리고 모서리마다 세 개의 연주문(連珠文)이 이어진 듯한 모양의 모서리기둥[隅柱]을 배치한 다음 각 면에 무늬를 새겨 놓아 매우 장식적이나 무늬는 마멸이 심하여 잘 식별되지 않는다.
 
하층기단에 비하여 다소 단순화된 상층 기단은 각 면을 상하 2단으로 나누어 네모꼴의 구획을 짓고, 그 안쪽에 구름무늬를 가득 새겨 꾸미고 있다. 위와 아래쪽을 약간 둥글게 다듬고 배부분을 조금 부르게 한 긴 원통형의 탑신석 표면에도 한 마리의 용과 함께 구름무늬를 도드라지게 가득 새겨넣어 기단부와 더불어 강한 꾸밈의도를 엿보여 준다.
 
추녀 끝이 곡선을 이루며 낙수면(落水面)의 경사가 완만하여 다소 둔중해 보이는 옥개석은, 추녀 끝부분에 15㎝ 정도의 넓은 경사면을 마련하고 지붕에 내림마루만을 나타내었을 뿐 아무런 꾸밈도 없이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부도 꼭대기의 상륜부는 단순하게 처리한 노반(露盤) 위에 타원형의 복발(覆鉢)과 앙·복련의 연꽃 장식을 한 보륜(寶輪)·보주(寶珠)가 올려져 있다.
 
이 부도는 마모가 심한 편이어서 판독이 어렵기는 하지만 옥개석 추녀 끝면에 새겨져 있는 글의 내용(太宗太后貞□翁主舍利塔施主□□柳氏錦城大君正統己未十月日立 태종태후정□옹주사리탑시주□□유씨금성대군정통기미10월일입)으로 보아 1439년(세종 21)에 태종 태후가 발원하고 유씨와 금성대군(세종의 여섯째아들)이 시주자가 되어 조성한 ‘정□옹주’의 사리탑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를 1930년대에 판독하여 기록해 놓은 「봉선사본말사지(奉先寺本末寺誌)」의 기록(貞□翁主乃貞懿翁主 翁主早信佛敎 有舍利故 太宗太后爲翁主建浮屠而柳氏及錦城大君爲施主則寧有建浮屠於無寺空山之理哉)으로 보아 이 부도의 주인은 정□옹주, 즉 정의옹주로 추정한다.
 
1939년 중수할 당시 고려시대의 청자항아리·금동9층소탑·은제도금6각감이 발견되기도 했던 이 부도는 그 형태 및 세부의 장식 등이 인근 지역의 회암사지(檜巖寺址) 무학대사부도(無學大師浮屠)라고 전하는 부도와 유사점을 보여 주고 있어 조선 전기 석조미술의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성 연대와 왕실 발원이라는 내용의 글까지 남아 있어서 조선 전기의 부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에 틀림없다.
 
 
 
▼ 수종사 부도에서 발견된 유물들이다.
 
 
▶ 여행 정보
 
☞ 운길산 역에서 수종사를 차량으로 가려면 가는 처음에는 아스팔트도로이나 산을 오르면 콘크리트 도로로 되어 있다. 특히 콘크리트 포장 도로 구간은 경사와 커브가 심하므로 SUV 차량을 이용하길 권한다. 물론 도로 폭이 넓지 않아 오고 갈떄 주의를 요한다.
 
☞ 운길산역에서 수종사로 걸어 가려면 등산로를 따라 걸어 올라가다가 우측으로 만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쪽으로 빠져 도로를 따라 올라간다. 1시간 정도 걸린다. 수종사에서 운길산 정상까지 약 800m로 40분 정도 소요된다.
 
☞ 출사전 일출 시각과 날씨정보는 필수인거 알고 계시죠.
 
☞ 날씨에 맞는 복장(방한복 등)과 사찰내 음식 반입을 금지한다는 글이 적혀있지만 따뜻한 음료를 준비해 간다.
 
☞ 무료 다실인 삼정헌에서 녹차를 마실 수 있다. 그냥 나오기 뭣하면 자유롭게 담는 시주함에 마음을 담아 시주한다. 10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는 예불시간으로 다실을 이용할 수 없다.
 
☞ 봄,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 어느 때든 다른 풍경이 펼쳐진다. 주변의 다른 볼거리로 두물머리, 세미원, 정약용 생가, 한음 이덕형 별장과 하마석이 있는 한음마을 등이 있다.
 
 
☞ 음식점으로 운길산 역근처에 민물 장어집이 많다.
 
☞ 용산역에서 약 60분 소요되는 운길산 역(경의 중앙선. 문산~ 용문) 열차 시각표
 
 
★ 수종사 일출(1편)
★ 수종사 유래와 세조의 은행나무(2편)
★ 일주문에서 대웅보전까지 둘러보기(3편)
★ 응진전,산령각, 해탈문 그리고 종각 둘러보기(4편)
남양주시(南楊州市) 수종사(水鍾寺)
【여행】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 수종사에서 운길산 가는 길 (2015. 12. 1)
• 수종사 5편(최종) - 삼정헌, 팔각오층탑, 부도 둘러보기- (2015. 11. 30)
• 수종사 4편 -산신령각, 응진전, 해탈문 둘러보기- (2015. 11. 29)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