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괴산군 괴산군 시문집 (2000)
괴산군 시문집 (2000)
(보기 : 목록별구성)
2018년 7월
2018년 7월 20일
화양동(華陽洞)
about 괴산군 시문집 (2000)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향토】
(2018.07.20. 10:25) 
◈ 화양동(華陽洞)
목   차
[숨기기]
■ 화양동(華陽洞)
 
 

1. 파관에서 놀다(遊葩串)

성 운(成 運) 〔1497-1579〕
 
화양동 좋은 경치 저절로 생기고        華陽佳勝自天成
낙영산은 깊어 초목도 향기롭네        落影山深草木馨
평평한 흰돌이 눈빛처럼 하얗고        白石平鋪疑雪色
성 낸 물결이 우뢰처럼 소리내네        驚波怒聒訝雷鳴
산골에 비오니 어린 지초 어여쁘고        溪頭雨足芝苗嬾
솔에 바람부니 학도 가볍게 나네        松頂風高鶴趐輕
지금 선녀를 못 보아 한스럽지만        只恨仙娥今不見
유랑의 정취 부질없이 함께 하네        劉郞空抱昔年情
 
【대곡집(大谷集)】
 
 
 

2. 파관 골짜기(葩串洞口)

이 정(李 楨) 〔1512-1571〕
 
웅장 기이한 사면이 그림같이 펼쳤고        四面雄奇活畫開
물이 그 사이 흐르며 만산을 돌아가네        一江中注萬山回
시 읊지 않아도 강산을 빌려 대답하고        無詩可答江山債
피리소리처럼 가을바람 쓸쓸이 오가네        一篴秋風空往來
 
【구암집(龜巖集)】
 
 
 

3. 파계 : 일명 파관조포 (葩溪 : 一名 葩串造泡)

노수신(盧守愼) 〔1515-1590〕
 
여러 폭포가 깊은 골에 있는데        萬瀑深深洞
여기서 두 차례 굽이쳐 흐르네        玆其第二流
꽃잎이 날리는 바위 늙지 않고        紅霏石不老
안개 둘러싼 봉우리 아니 뵈네        碧靄山無頭
긴 냇물 거울처럼 밝게 빛나고        鏡面長河曙
거문고에 부친 마음 쓸쓸하네        琴心太古秋
너른 바위에서 흥 다하지 못해        盤巖不盡興
돌아가는 길 꿈속에서 시름하네        歸路夢中愁
 
【소재집(蘇齋集)】
 
 
 

4. 파관에서 놀다가 비를 만나 돌아오다 : 한경 순의 시를 차운하다 (遊葩串 遇雨而還 : 次韓景純韻)

배용길(裵龍吉) 〔1556-1609〕
 
1
하늘은 익살 부리는 일이 많아서        天公多戱劇
붉고 자주빛으로 산림 단장시켰네        紅紫謾糚林
바라보는 두 눈 되돌릴 겨를 없고        兩眼還無暇
외롭게 읊조리며 마음을 허비하네        孤吟費寸心
 
2
시 지으려니 찬 비가 옷을 적시나        催詩寒雨欲沾衣
산수를 즐기려고 천천히 돌아가네        爲愛溪山緩緩歸
석양을 아랑곳 않고 말 타고 가며        莫趁斜陽驅馹騎
굽이굽이 길을 따라 물가를 즐기네        沿途曲曲賞苔磯
 
【금역당집(琴易堂集)】
 
 
 

5. 파관(芭串)

이춘영(李春英) 〔1563-1606〕
 
무성한 산림 기이하지 않으리오        翳薈叢生未足奇
골 이름 하필이면 이에서 취했나        洞名何必取於斯
신선 놀만한 좋은 땅 많지 않으나        仙遊此去無多地
모군이 영지 기르는 곳이야 있겠지        應有茅君養紫芝
 
【체소집(體素集)】
 
 
 

6. 파관의 반석(芭串磐石)

이춘영(李春英) 〔1563-1606〕
 
매끄럽고 평평한 바위는 넓은데        滑淨平鋪百步間
개인 하늘에 눈 날려 얼굴에 뿌리네        晴天飛雪洒孱顔
물 가의 작은 누각이 맑기만 한데        臨流小閣淸如許
먼 길 말 타고 가니 한적하지 않네        我自征驂去不閑
 
【체소집(體素集)】
 
 
 

7. 파관(葩串)

조찬한(趙纘韓) 〔1572-1631〕
 
구름 가에 솟은 봉우리 몇 리에 걸쳤고        鑿破雲根數里延
빼어나고 기이한 승경 파관이 제일이네        別區奇勝最葩川
비단같은 평평한 바위 멋진 골과 짝하고        平鋪錦席排瑤壑
은빛 물결 얕게 흐르며 옥연에 떨어지네        淺瀉銀潢下玉淵
 
진편이 동해에 다리놓은 일 받아드리고        肯受秦鞭梁左海
여와가 하늘을 수리한 일을 사양하려네        定辭媧鍊補先天
거닐다 누웠다하니 정신이 시원하여        逍遙枕臥神魂爽
몸이 공무에 매였음 깨닫지 못하네        未覺身居簿領前
 
【현주집(玄洲集)】
 
 
 

8. 비 때문에 가지 못한 파관(以雨不往葩串)

김득신(金得臣) 〔1603-1684〕
 
파관의 이름을 들은 지 오래인데        峽中盤石久聞名
찾아보려 오래부터 계획 세웠는데        準擬探看宿計成
무슨 일로 하늘은 희극을 부려서        何事天公空戱劇
비바람으로 하여금 내 길 막는지        故敎風雨滯吾行
 
【백곡집(栢谷集)】
 
 
 

9. 파곡 : 구봉 시를 차운하다(巴谷 : 次龜峰韻)

송시렬(宋時烈) 〔1607-1689〕
 
물은 푸른 용처럼 흘러가니        水行靑龍去
사람들은 벼랑길로 다니네        人從翠壁行
무이산의 천년 전 일이        武夷千載事
오늘 이처럼 분명하구나        今日此分明
 
【송자대전(宋子大全)】
 
 
 

10. 파곡 : 이유당 이옹의 제명이 있으므로 감회가 있어 짓다 (巴谷 : 有怡愉李老題名 有感而作)

송시렬(宋時烈) 〔1607-1689〕
 
이끼를 어루만지니 구제가 아득하고        摩挲蒼蘚舊題昏
이유당을 생각하며 덕의를 우러보네        緬憶怡愉德義尊
지금의 세상 야박한 풍속이 많은데        人世至今多薄俗
중국을 일으키기 어려워서 애태우네        九原難作更傷魂
 
【송자대전(宋子大全)】
 
 
 

11. 파관(葩串)

박세채(朴世采) 〔1631-1695〕
 
평소에 빼어난 경치 듣다가        生平聞異境
바쁜 틈을 내어서 찾아갔네        邂逅辦間行
물은 맑은 어름보다도 좋고        水比淸氷勝
산은 뭇 꽃술 모인 것 같네        山如衆蘂成
기이한 꽃, 봄은 다하지 않는데        奇花春未盡
이상한 새는 나그네를 놀래키네        怪鳥客俱驚
다시금 너른 파관돌을 논하려니        更欲論盤石
품 속에서 굳세게 잡고 다투네        褱中果執爭
 
오던 비 그치니 봄해 남아 있고        雨歇殘春日
구름 깊어 골짝 하늘 작아 뵈네        雲深小洞天
맑고 온화한 것 참된 기상이고        淸和眞氣象
한가롭고 고요함 좋은 인연이네        閒靜好因緣
흰돌은 누구의 힘으로 이루었나        白石誰爲力
푸른 소나무는 나이 알 수 없네        蒼松不記年
속세라도 이런 즐거움이 있으니        人間有此樂
어느 곳이 신선세계라 하겠는가        何處是神仙
 
【남계집(南溪集)】
 
 
 

12. 우암을 모시고 파곡에서 놀다(陪尤翁遊葩 串)

김창협(金昌協) 〔1651-1708〕
 
장구로 그윽한 발걸음 따르는데        杖屨追幽踐
오갖 나무들 사이를 지나가네        經行萬木間
늦게 개이니 운효를 점쳐보고        晩晴雲駁解
해도 더디니 새 소리 한가롭네        遲日鳥聲閒
연꽃같은 물에 갓끈을 씻고서        纓濯蓮花水
고은 나무같은 산을 읊조려보네        歌吟桂樹山
아득히 선비, 아동과 함께 노니니        悠然童冠興
무우에서 돌아오는 것만 같구나        似自舞雩還
 
【농암집(農巖集)】
 
 
 

13. 파곡 : 농암의 시를 화운하다 (葩谷 : 次農巖 韻)

송시렬(宋時烈) 〔1607-1689〕
 
여울 바라보며 노래 부르는        觀瀾詞一唱
물 가에 삼칸 집이 있는데        臨水屋三間
손님 사절하니 다른 일 없고        謝客渾無事
글을 읽으니 한갓지지 않네        看書却未閒
파계는 옥 부서지 듯 차갑고        巴溪寒碎玉
흩어진 바위 산 깎은 듯 하네        離石削爲山
흥이 나면 벗 이끌고 나다가        興至携朋去
시를 읊으며 말 타고 돌아오네        長吟信馬還
 
【송자대전(宋子大全)】
 
 
 

14. 우암선생을 모시고 파관과 선유동에 가서 놀고 저물녁에 돌아오면서 지은 시(陪尤菴先 生 往遊巴串仙遊洞 暮歸二首)

권상하(權尙夏) 〔1641-1721〕
 
온 산의 단풍 나무 잎잎이 가을인데        紅樹千山葉葉秋
흰 구름 깊이 드리워 골짝 그윽하네        白雲深鎖洞門幽
한가로이 선생따라 맑은 물 구경하니        閒隨杖屨看淸沘
고이고 흐르는 물이 구비마다 다투네        爭似潭溪幾曲流
 
저녁에 돌아오니 소매 가득 가을인데        日暮歸來滿袖秋
바로보는 뭇 봉우리는 맑고 그윽하네        千峰回首轉淸幽
모를래라 어느 곳에 신선들이 사는 지        不知何處仙源是
부질없이 찬 물결이 온 갈래로 흐르네        空有寒泉百道流
 
【한수재집(寒水齋集)】
 
 
 

15. 파관(巴串)

이하곤(李夏坤) 〔1677-1724〕
 
노을 머금은 연못 여덟 아홉이고        呑却霞潭八九乎
분분히 남은 것은 하품이로구나        紛紛餘者儘堪奴
너르른 한 골은 쌓인 곳이 없는데        盤陀一洞無餘蘊
흩어지는 물결은 끝없이 펼쳐지네        散漫平流不盡鋪
 
기름기 머금어 매끌하나 깐깐한 듯        膩滑凝脂猶似澁
눈 쌓인 듯 밝으니 새도 의심하겠네        晶熒積雪亦疑鳥
선유동에서 흥청대며 기이타 했는데        仙遊旺自稱奇絶
이곳에 이르러 망연히 다시 감탄하네        到此茫然更一吁
 
【두타초(頭陀草)】
 
 
 

16. 파관(巴串)

정래교(鄭來僑) 〔1681-1757〕
 
가마에 대지팡이 그림자 들쑥날쑥        藍輿筇竹影參差
정경이 마음과 어울려 천천히 걷네        境與心融步自遲
바위 골짜기 가파린 길로 통하는데        巖壑側通飛鳥道
나무 헤쳐나와 가지에 옷 걸쳐놓네        楓柟披出罫衣枝
 
물이 巴자로 돌아 물소리 우렁차고        泉廻巴字聲聲激
돌이 소반되어 가지가지 기이하네        石作盤形種種奇
못 위 작은 집 매우 맑고 깨끗하니        潭上小窩潚灑甚
내일 다시 물소리를 들으며 놀려네        更須明日弄聽漪
 
【완암집(浣巖集)】
 
 
 

17. 파관(葩串)

심 육(沈 錥) 〔1685-1753〕
 
화양동과 파관 길은        華陽與葩串
늦은 발길 싫지 않네        去去不嫌遲
경치가 사람의 눈 끌어당겨        風色爭人目
보기에 빠져서 시도 못 짓네        癡看却廢詩
 
【저촌유고(樗村遺稿)】
 
 
 

18. 파관(巴串)

오 원(吳 瑗) 〔1700-1740〕
 
대지는 어름과 눈처럼 하얗고        大地疑氷雪
깨끗한 바위 백이랑 남짓하네        鮮巖百頃餘
천지는 골짜기 세계 특이하고        乾坤殊洞府
조화는 펼쳐진 모습 유쾌하다        造化快鋪舒
여러 산 봉우리 기세는 작고        氣勢群峰小
많은 나무는 장엄함 드물고나        莊嚴萬木疏
부서진 벼랑은 떨어지려 하고        崩崖紛欲落
피리 소리 아득하고 느릿하네        橫笛且虛徐
 
【월곡집(月谷集)】
 
 
 

19. 밤에 파관에서 놀다(夜遊巴串)

송능상(宋能相) 〔1710-1758〕
 
일곱 사람이 바위에 앉았는데        七人石上坐
하늘하늘 금물결 잔질을 하네        細細酌金波
바람소리 물소리 함께 들리니        自有風泉響
어찌하여 수조가 마다 하리오        何煩水調歌
 
【운평집(雲坪集)】
 
 
 

20. 파관을 제영하다(題巴串)

이병운(李柄運) 〔1858-1937〕
 
화양구곡이 끝나는 곳에        九曲將窮處
맑은 물이 巴자처럼 도네        澄潭巴字回
티끌 하나 머물지 않으니        一塵留不得
가슴 속 회포 맑게 해주네        洄澈衿懷開
 
【긍재문집(兢齋文集)】
 
 
 

21. 화양동(華陽洞)

김득신(金得臣) 〔1603-1684〕
 
1
말 타고 가니 가시나무 무성하고        征驂巴棘甚
기우뚱거리며 가니 돌이 칼 같네        蹇蹶石如刀
경치를 구경하니 시름 없어지고        覽物愁仍破
시를 즐기니 기운이 호걸스럽네        耽詩氣已豪
 
맑은 물이 큰 소리로 품어 대고        淸泉噴堅吼
푸른 석벽이 높은 하늘에 닿았네        翠壁界天高
하늘 땅의 원기를 헤아려 보니        細憶鴻濛始
바야흐로 조화의 노고로움 알겠네        方知造化勞
 
2
푸른 석벽에 이은 구름 일어나고        翠壁連雲起
칼로 아로새긴 조각처럼 보이네        琱鐫若以刀
가파른 벼랑의 노목 잎 떨어지고        危崖老木禿
골짜기 급류가 호탕하게 흐르네        哀壑飛湍豪
 
사람은 가마가 부서질까 겁내고        人怯山轎毁
말은 돌 계단이 높아 주춤거리네        馬愁石棧高
맑고 더 좋은 경치를 찾아 보려고        欲於探勝槩
오르다 잠시 쉬니 피곤함 잊었네        登頓輒忘勞
 
【백곡집(栢谷集)】
 
 
 

22. 화양동 비 온 뒤에 (華陽洞 雨後)

송시열(宋時烈) 〔1607-1689〕
 
골짜기 안에서 장마비 심하더니        峽裏苦多雨
냇물이 돌 사이로 마구 흐르네        溪奔亂石間
우뢰에 놀라 도깨비 도망치겠고        雷驚逃魍魎
용이 소리치듯 산 봉우리 울리네        龍吼響巖巒
 
비록 용문산 어귀를 뚫을지언정        縱破龍門口
지주산을 넘어 뜨리긴 어려우네        難傾砥柱山
이윽고 거세던 물결이 멈추더니        俄然駭浪息
그 전처럼 잔잔한 소리가 들리네        依舊聽潺湲
 
【송자대전(宋子大全)】
 
 
 

23. 화양산사 : 제군에게 읊어 보이다(華陽山寺 : 吟 示諸君)

송시열(宋時烈) 〔1607-1689〕
 
여름 밤 깊은 산에 두견새 우는데        夏夜山深猶杜鵑
엷은 이불 생각하며 잠 못 이루고        仰思衾薄未成眠
밝은 슬기로움이 생지에 가까운데        如何明睿生知近
그런가 그렇지 않은가 괴로워했나        却困其然所以然
 
【송자대전(宋子大全)】
 
 
 

24. 화양동에 도착하여 짓다(到華陽洞作)

박세채(朴世采) 〔1631-1695〕
 
들녘 돌아드는 곳에 화양동 있는데        川原轉處洞門開
속세의 마음 버리니 새암하지 않네        陡覺塵心已不猜
말 채찍하니 잠깐새 창옥벽 지나고        策馬乍過蒼玉壁
부축을 받아 가며 백운대에 올랐네        扶挈仍上白雲臺
 
은산의 일월은 남은 빛이 흐르고        殷山日月流餘照
민곡의 노을 옛날의 물굽이 같네        閩曲烟霞似舊隈
주인을 기다리려니 가마 이르고        會待主翁旋駕至
한집에서 스승을 모실 수 있었네        一堂函丈得親陪
 
【남계집(南溪集)】
 
 
 

25. 달내강을 따라 거슬러 화양동으로 들어가는 도중에 입에서 나오는대로 짓다(沿獺川泝入華 陽 途中口占)

권상하(權尙夏) 〔1641-1721〕
 
고인 물은 깊은 못, 급히 여울 이루고        渟作深潭急作灘
밤낮으로 흘러흘러 쉬지않고 흐르는데        滔滔日夜不曾閒
세상 사람들 멀리 뻗은 물줄기만 알 뿐        世人但見波流遠
누가 물의 근원이 산에 있음을 아는고        誰識眞源本在山
 
【한수재집(寒水齋集)】
 
 
 

26. 화양동에서 정중순의 시를 차운하다(華陽 洞 次鄭仲淳韻)

권상하(權尙夏) 〔1641-1721〕
 
당에 올라 공부하던 옛날 생각 나는데        鼓篋升堂記昔年
물 소리과 산 빛들이 모두가 그대로네        泉聲嶽色摠依然
욱둑한 새 사당에 사문은 남아 있으나        新祠翼翼斯文在
대의의 은미한 말씀 못 전함 한스럽네        大義微言恨不傳
 
두 송이 붉은 구름 엄숙히 오르내리고        二朶紅雲儼陟降
명나라 옛 땅이 이 산에만 남아 있구나        皇明舊地此山餘
청나라 국운은 백년이면 끝날 것이지만        胡運百年宜已訖
우리의 깃발 언제 의려산을 지나갈거나        旌旗何日過醫閭
 
【한수재집(寒水齋集)】
 
 
 

27. 화양동(華陽洞)

신정하(申靖夏) 〔1681-1710〕
 
돌의 글씨 반가히 분별하며        笑揮蒼石墨
내가 처음 온 일을 기억하네        先記我來初
일월은 아직 명나라 시절인데        日月崇禎內
산림은 우암처럼 넉넉하네        山林大老餘
 
중이 의로운 기색을 보이고        僧看多義色
폭포가 티끌을 씻어 주네        瀑與洗塵裾
옛부터 못 안개 뿜어대는데        終古潭雲吐
신룡이 의종 글씨 보호하네        神龍護御書
 
【서암집(恕菴集)】
 
 
 

28. 화양동(華陽洞)

윤봉구(尹鳳九) 〔1681-1767〕
 
화양동은 중국 수양산과 더불어        華陽洞與首陽山
만고강상을 이 사이에 수립했네        萬古綱常樹此間
객이 이르러 천 길 석벽을 보니        客到試看千仞壁
성단천지는 인간세상과 다르네        腥膻天地別人寰
 
【화양지(華陽誌)】
 
 
 

29. 화양동(華陽洞)

심 육(沈 錥) 〔1685-1753〕
 
화양동 골짜기로 들어가는 길은        路入華陽洞裏天
붉은 단풍 푸른 골이 매우 곱네        赤楓靑峽極嬋娟
평생의 일을 묵묵히 헤아려 보니        回頭黙筭平生事
세상서 이십년 물결처럼 흘러왔네        浪走人間二十年
 
【저촌유고(樗村遺稿)】
 
 
 

30. 화양동(華陽洞)

오 원(吳 瑗) 〔1700-1740〕
 
화양 골짜기 속 돌맹이 하나        華陽洞裏一片石
손으로 이루만지면서 장탄식하네        我手摩挲長太息
양행은구가 숲을 움직이려 하니        兩行銀鉤森欲動
서운이 때때로 그 옆을 에워쌓네        瑞雲時來繞其側
 
바위 앞 넓은 여울 백번 굽도니        巖前皓湍流百度
구유전분이 감히 이르지 못하네        九有羶氛不敢到
이 뜻 오래되어 진토에 버려지니        此義久矣委塵土
우암이여 마음이 얼마나 괴로울까        翁兮翁兮心何苦
 
【월곡집(月谷集)】
 
 
 

31. 절로 흥이 나서 화양구곡을 읊다(漫興詠華陽 九曲)

임상주(任相周) 〔 ? - ? 〕
 
경천벽        擎天壁
경천벽이 천길 높이로 솟아        有壁天丈屹
푸른 하늘을 떠받치고 있네        可以擎彼蒼
어찌 중국보다 못하랴        胡不於中國
이 화양동의 승경이        獨此華之陽
 
여기에 두 황제 사당 있으니        中有二帝廟
이 또한 중국의 한 곳이러라        是亦一中土
하늘이시어, 무너지지 않도록        天乎勿傾頹
경천벽 영원히 서있게 하소서        此壁立萬古
 
운영담        雲影潭
운영담의 물이 맑고도 깨끗한데        有潭淸且潔
치달리는 물 근원에서 흘러오네        活水源頭來
흰 구름 뭉게 뭉게 피어 오르고        白雲溶溶起
그림자는 연못 가운데 일렁이네        其中影徘徊
 
비유하노니 저 군자의 마음같이        譬彼君子心
고요한 모습이 티끌조차 없구나        湛然無塵累
언제나 거울처럼 맑은 물 속에        終日鏡面開
중국을 섬기는 의리를 담고있네        水抱朝宗義
 
읍궁암        泣弓巖
아 넓고도 넓은 평평한 바위        吁嗟彼盤石
어찌하여 읍궁암이라 이름했나        云胡名泣弓
우리 효종 임금 돌아가신 날에        孝廟之諱日
선생이 창공 향해 통곡하셨네        有臣號蒼穹
 
세월이 지나도 이 바위에는        年年是巖上
눈물자욱 닳아 없어지지 않고        淚痕磨不磷
새벽에 통곡하며 탄식한 말씀        侵晨慟哭語
가히 귀신을 슬프게 울리었네        可以泣鬼神
 
금사담        金沙潭
환장암 옆으로 흐르는 물이        煥章菴邊水
암서재 아래로 빗기어 가네        巖棲齋下斜
햇빛이 황금처럼 반짝거리고        日照委黃金
물결이 흰 모래 보듬고 가네        漣微曳白沙
 
언제나 쓸쓸한 산 속에 있어        常在空山裏
어느 곳이 창해인지 모르겠네        何處是滄溟
텅 빈 산인여, 텅 빈 산이여,        空山兮空山
산 속에 황제의 영혼이 있네        山中有皇靈
 
능운대        凌雲臺
우뚝 솟은 암석 층층이 쌓여        嵬磊石層層
높고 높은 능운대가 되었어라        屹屹仍作臺
늠름하게 풍운을 업신 여기고        凜凜凌風雲
아득히 속세의 티끌 벗어났네        迢迢絶塵埃
 
아지랑이 산 중턱에 감도는데        山靄半空浮
우뚝하게 하늘로 치솟았구나        儼然天中入
마치 호걸스런 선비가 있어        有類豪傑士
연운에 늠늠히 서있는 듯하네        唾手燕雲立
 
첨성대        瞻星臺
북극성이 자리한 그 곳에        北辰居其所
별들이 그 주위를 받들고 도네        衆星拱其下
아, 저 모두의 별빛이        噫彼旄頭光
어찌하여 중국을 가리고 있나        奈何掩中夏
 
하늘의 형상 보기를 바라지만        願言觀天象
온 산이 삐죽삐죽 울창하구나        四山鬱嵯峨
어느듯 첨선대에 오르고 보니        於焉上高臺
뚜렷히 은하수가 바라 보이네        歷歷瞻星河
 
와룡암        臥龍巖
저기 굽어 보이는 와룡암은        維彼臥龍巖
풍운을 타고 오르는 것 같네        若埒乘風雲
완연히 물 한가운데 있는데        宛在水中央
푸른 물결이 얼룩무늬 되었네        蒼痕背成文
 
알겠구나 중국의 제갈공명이        知是南陽翁
변화하여 이 바위가 된 것을        變化爲此石
그가 지닌 평생 부흥의 뜻이        平生興復意
지금도 꿈틀대어 예전같구나        蜿蜿如宿昔
 
학소대        鶴巢臺
학 깃든지 얼마나 되었길래        鶴巢問何年
지금은 오직 누대만 남았네        祗今猶有臺
신선을 찾아 볼 수가 없으니        神仙不可見
서글퍼서 부질없이 서성이네        怊悵空徘徊
 
어이하면 안기생을 만나서        安得安期生
오래 사는 비결을 물어볼까나        一問長年術
내가 오래 살려고 하는 것은        長年欲奚爲
오랑케 소굴 소탕하려 함이네        願掃犬羊窟
 
파관        巴串
옛날 한소열 행적을 생각하니        憶昔漢昭烈
그 도읍지가 서파에 있었다네        都邑在西巴
우뚝한 저 검각이        崢嶸彼劒閣
의젓하게 중국을 이룩하였네        坦然成中華
 
아, 여기 파관의 파(巴)자와        嗟玆一巴字
서파의 파(巴)자와 서로 같은데        地名胡相似
출렁출렁 하이얀 돌 위로        磷磷白石上
오랜세월 부질없이 물만 흐르네        千載空流水
 
【화양지(華陽誌)】
 
 
 

32. 화양구곡을 놀며 감상하며(遊賞華陽九谷)

송은헌(宋殷憲) 〔1876-1945〕
 
경천벽        擎天壁
석벽이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데        洞門壁立擎雲天
귀신의 조화라 넘어지지도 않네        鬼削神頑自不騫
우암의 기상이 이것과 같았으니        先生氣象曾如此
지주홍류처럼 홀로 우뚝하네        砥柱洪流獨屹然
 
운영담        雲影潭
골짜기 구름 덩그런 못에 비치고        洞天雲影映空潭
물이 티없이 맑아 호기 함양하네        澄澈無埃灝氣涵
우암의 심사가 저와 같을 것으니        先生心事曾如許
주자부터 천년을 대대로 전하네        千載相傳自晦庵
 
읍궁암        泣弓巖
운단창오에 허리 굽혀 울었으나        雲斷蒼梧獨泣弓
물결은 다함 없고 바위가 쓸쓸하네        水流不盡一巖空
우암이 그 날 끝없이 눈물 흘려서        先生當日無窮淚
백년을 행인들이 손으로 가르키네        百載行人指點中
 
금사담        金沙潭
맑고 맑은 물이 흰 모래로 넘치고        溪潭澄瀅漲明沙
못 위의 암서재 경치가 아름답네        潭上巖齋境轉佳
우암이 금사담을 가장 사랑하시어        先生最愛此中趣
정좌하여 공부하길 배로 하셨다네        靜坐看書功倍加
 
첨성대        瞻星臺
높은 층층 바위가 석대를 이루고        百丈層巖自作臺
북극성 높이 버티니 티끌도 없네        高撑北極絶浮埃
대 아래 석감에는 어필 간직하고        下有石龕藏御筆
대명일월이 이 속에서 뜨고 지네        大明日月此中回
 
능운대        凌雲臺
큰 바위가 솟아서 구름을 뚫었고        巨巖峭絶直凌雲
사면의 산수는 그림과 흡사하네        四面溪山畵七分
외롭게 몇 칸의 만동묘가 있으니        獨有數間皇帝廟
세상 변했어도 제사는 잘 지내세        滄桑世界祀猶勤
 
와룡암        臥龍巖
구불구불한 긴 돌이 누운 용 같고        穹石蜿蜒似臥龍
능히 변하여 농민 위해 비 내리네        亦能變化雨三農
우암이 베푼 은택이 이와 같으니        先生施澤如斯物
오랜 세대를 사람들이 떠받드네        百世人人莫不宗
 
학소대        鶴巢臺
석대에 청학 있다는 말 들었으나        曾聞靑鶴石臺巢
푸른 가지 무성한 장송만 보이네        但有長松覆翠梢
우암은 당시 돌아올 생각 컸으나        先生當日浩歸意
물새 다리에 있어 사귀지 못했네        鶖是在梁不與交
 
파관        巴串
화양동 기이한 절경은 파관인데        華陽奇絶在巴溪
돌 모양이 펀펀하고 다 깨끗하네        石勢鋪張儘潔齊
물 근원 찾아 탁트인 곳 이르러        溯源看到豁然處
우암을 추억하면서 거닐어 보네        追憶先生杖屨携
 
【강와집(剛窩集)】
 
 
 

33. 연재선생을 모시고 화양동에 들어가다 (陪淵齋先生 入華陽洞)

이병운(李柄運) 〔1858-1937〕
 
흐르는 물 따라 걸어드니        步隨流水入
십리 골짜기가 펼쳐 있네        十里洞門開
크게 새긴 화양이란 글자        大刻華陽字
오래도록 이끼조차 없네        千年石不苔
 
【긍재문집(兢齋文集)】
 
 
 

34. 화양동(華陽洞)

박노중(朴魯重) 〔1863-1945〕
 
일만구비 흐르는 물 동쪽 향하니        萬折江河必有東
춘추의리는 고금이 한결 같구나        春秋義理古今同
명나라의 일월이 내려보는 곳이라        皇明日月昭臨地
찾아온 사람의 한을 무궁케 하네        長使來人恨不窮
 
【창암집(滄菴集)】
 
 
 

35. 화양동에 들어가니 (入華陽洞)

송은헌(宋殷憲) 〔1876-1945〕
 
만동묘 아래 우암 정자 있으니        兩皇廟下尤翁亭
만고의 춘추대의 찬란히 빛나네        萬古春秋耀日星
산천 따라 고운 빛깔을 더하니        從此山川精彩倍
나그네의 발길을 멈추게 하네        尋常行客爲車停
 
【강와집(剛窩集)】
【향토】 괴산군 시문집 (2000)
• 갈은동(葛隱洞)
• 화양동(華陽洞)
• 선유동(仙遊洞)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향토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