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괴산군 괴산군 시문집 (2000)
괴산군 시문집 (2000)
(보기 : 목록별구성)
2018년 7월
2018년 7월 20일
지은이 약력
about 괴산군 시문집 (2000)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향토】
(2018.07.20. 10:25) 
◈ 지은이 약력
■ 지은이 약력
 
강백년(姜栢年) 〔1603-1681〕: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숙구(叔久), 호는 설봉(雪峰),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좌참찬(左參贊)을 지냈으며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며 저서로 설봉집(雪峰集)이 있다.
 
강재항(姜再恒) 〔1689-1756〕: 본관은 진산(晉山), 자는 구지(久之), 호는 입재(立齋), 조현명(趙顯命)의 천거로 선공감역(繕工監役)을 거쳐 회인현감(懷仁縣監)을 지냈다. 저서로 입재유고(立齋遺稿)가 있다.
 
강희맹(姜希孟) 〔1424-1483〕: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이조판서(吏曹判書)를 거쳐 좌찬성(左贊成)을 지냈으며 익대공신 (翼戴功臣),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진산군(晉山君)이 되고 시호는 문량(文良)이며 저서로 사숙재집(私淑齋集),「촌담해이(村談解頤), 금양잡록(衿陽雜錄)이 있다.
 
경광국(慶光國) 〔1841-1923〕: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성관(聖觀), 호는 석옹(石翁), 음사로 북부도사(北部都事)를 거쳐 희천군수(熙川郡守)를 지내고 연풍면 유하리로 돌아와 ‘일가정(一可亭)’을 짓고 여생을 보냈다.
 
구봉령(具鳳齡) 〔1526-1586〕: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경서(景瑞), 호는 백담(栢潭), 이황(李滉)의 문인, 별시문과(別試文科)에급제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부제학(副提學)을 지냈다. 시호는 문단(文端)이고 저서로 백담집(栢潭集)이 있다.
 
구사맹(具思孟) 〔1531-1603〕: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경시(景時), 호는 팔곡(八谷), 이황(李滉)의 문인, 식년문과(式年文科)에급제하고 이조참판(吏曹參判)을 거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냈다. 딸이 인헌왕후(仁獻王后)가 되어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이 되었으며 시호는 문의(文懿)이고 저서로 팔곡집(八谷集)이 있다.
 
권득기(權得己) 〔1570-1622〕: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지(重之), 호는 만해(晩晦),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하고 예조좌랑(禮曹佐郞)을 거쳐 고산도찰방(高山道察訪)을 지내다가 광해군(光海君)의 폭정으로 사임하고 야인으로 일생을 마쳤으나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만회집(晩晦集), 연송 잡기(然松雜記)가 있다.
 
권문해(權文海) 〔1534-1591〕: 본관은 예천(醴泉), 자는 호원 (灝元), 호는 초간(草澗), 이황(李滉)의 문인,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청주목사(淸州牧使)를 거쳐 사간(司諫)을 지냈다. 저서로 초간집(草澗集)이 있다.
 
권상하(權尙夏) 〔1641-1721〕: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치도(致道), 호는 수암(遂庵), 진사과(進士科)에 급제하고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에 임명되었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시렬(宋時烈)의 수제자로 그의 유언에 따라 화양동에 만동묘(萬東廟)를 세우고 학문에 정진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지도자가 되었다. 시호는 문순(文純)이고 저서로 한수재집(寒水齋集), 삼서집의(三書輯疑)가 있다.
 
김극성(金克成) 〔1474-1540〕: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성지(成之), 호는 우정(憂亭),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하고 사인(舍人)을 거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이되어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시호는 충정(忠貞)이고 저서로 우정집(憂亭集)이 있다.
 
김득신(金得臣) 〔1603-1684〕: 본관은 안동(安東), 김시민(金時敏)의 손자, 김치(金緻) 아들,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 谷), 음보로 참봉(參奉)이 되고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여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라 안풍군(安豊君)에 습봉되었으며 시인으로 이름을 얻었고 저서로 백곡집(栢谷集), 종남총지(終 南叢志)가 있다.
 
김보년(金輔年) 〔1848-1927〕: 호는 지당(止堂), 괴산의 한학자저서로 지당음십(止堂吟什)이 있다.
 
김원행(金元行) 〔1702-1772〕: 본관은 안동(安東), 김창협(金昌協)의 손자, 자는 백춘(伯春), 호는 미호(渼湖),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하였으나 임신사화(壬申士禍) 때 죽은 종조부 김창집 (金昌集)의 일가로 어머니를 따라 귀양을 갔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돌아와 사성(司成) 유선(諭善)으로 임명해도 벼슬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시호는 문경(文敬)이고 저서로미호집(渼湖集)이 있다.
 
김창협(金昌協) 〔1651-1708〕: 본관은 안동(安東), 김상헌(金尙憲)의 증손, 김수항(金壽恒)의 아들,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하고 대사성(大司成)을 거쳐 청풍부사(淸風府使)로 있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사약을 받아 죽음을 당하자 은거하고 후에 예조판서(禮曹判書),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에 임명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고 저서로 농암집(農巖集) 농암잡지(農巖雜識) 주자대전차의문목(朱子大全箚疑問目) 사단칠정변(四端七情辨)이 있다.
 
김 치(金 緻) 〔1577-1625〕: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정(士精), 호는 남봉(南峰),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고 대사간(大司諫)을 거쳐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냈으며 저서로 남봉집(南峰集), 심곡비결(深谷秘訣)이 있다.
 
김현성(金玄成) 〔1542-1625〕: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여경(餘慶), 호는 남창(南窓),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사재감정(司宰監正)을 거쳐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냈으나 폐모론(廢母論) 자리에 불참하여 면직되었다. 시문이 뛰어나고 서화를 잘하였으며 저서로 남창잡고(南窓雜稿)가 있다.
 
김홍욱(金弘郁) 〔1602-1654〕: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문숙(文叔), 호는 학주(鶴洲),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지냈으며 시호는 문정(文貞)이며 저서로 학주집(鶴洲集)이 있다.
 
남구만(南九萬) 〔1629-1693〕: 본관은 의녕(宜寧),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 송준길(宋浚吉)의 문인으로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봉조하(奉朝 賀)가 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저서로 약천집(藥泉集)이있다.
 
남 긍(南 兢) 〔 ? - ? 〕: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좌간의(左諫議)를 지냈다.
 
남용익(南龍翼) 〔1628-1692〕: 본관은 의녕(宜寧), 자는 운경(雲卿), 호는 호곡(壺谷),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고 대제학(大提學)을 거쳐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냈다. 시호는 문허(文憲)이고 저서로 호곡집(壺谷集), 기아(箕雅), 부상록(浮桑錄)이있다.
 
노수신(盧守愼) 〔1515-1590〕: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寡悔),호는 소재(蘇齋),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하고 이조좌랑(吏曹佐郞)으로 있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파직되어 명종(明宗) 20년(1565)부터 2년간 괴산에서 귀양살이하고 선조(宣祖)가 즉위하면서 복직되어 영의정(領議政)을 지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고 저서로 소재집(蘇齋集), 시강록(侍講錄)이 있다.
 
박동식(朴東植) 〔 ? - ? 〕: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인백(仁伯), 호는 송고(松皐), 문성학원(文成學院) 전사(典祀)를 거쳐 1928년에 박사(博士)를 지냈다.
 
박로중(朴魯重) 〔1863- 1945〕 :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성위(聖威), 호는 창암(滄菴), 전우(田愚)의 문인, 저서로 창암집(滄菴集)이 있다.
 
박세채(朴世采) 〔1631-1695〕: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화숙(和叔), 호는 남계(南溪), 김상헌(金尙憲)의 문인, 소론(少論)의 영수로 좌의정(左議政)을 지냈다. 시호는 문순(文純)이며 저서로남계집(南溪集), 남계수필록(南溪隨筆錄) 등이 있다.
 
박 순(朴 淳) 〔1523-1589〕: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화숙(和叔), 호는 사암(思菴),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친시문과(親試文科)에 장원하고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영의정(領議政)을 지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고 저서로 사암집(思菴集)이 있다.
 
박장원(朴長遠) 〔1612-1671〕: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중구(仲久), 호는 구당(久堂),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상주목사(尙州牧使)를 거쳐 예조판서(禮曹判書)를 지냈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며 저서로 구당집(久堂集)이 있다.
 
박지겸(朴知謙) 〔1540-1623〕: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익경(益卿), 호는 애한정(愛閑亭), 별좌(別坐)에 임명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의 혼정으로 벼슬을 버리고 괴산에 내려와 애하정(愛閑亭)을 짓고 은거하였다.
 
배용길(裵龍吉) 〔1556-1609〕: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명서(明瑞), 호는 금역당(琴易堂), 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를 지냈으며 저서로 금역당집(禁易堂集)이 있다.
 
서거정(徐居正) 〔1420-1488〕: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정(四佳亭),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좌찬성(左贊成)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달성군(達成君)이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고 저서로 사가정집(四佳亭集), 태평한화(太平閑話), 필원잡기(筆苑雜記)가 있다.
 
성 운(成 運) 〔1497-1579〕: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건숙(健叔), 호는 대곡(大谷),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였으나 형이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입자 보은 속리산에 은거하고 그 뒤벼슬을 주어도 나가지 않았다. 승지(承旨)에 추중되었으며 저서로 대곡집(大谷集)이 있다.
 
송능상(宋能相) 〔1710-1758〕: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사능(士能), 호는 운평(雲坪), 송시열(宋時烈)의 현손, 한원진(韓元震)의문인, 학행으로 장악원정(掌樂院正)을 지냈고 저서로 운평집 (雲坪集)이 있다.
 
송 렴(宋 㻩) 〔 ? - ? 〕: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여온(汝溫),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명종(明宗) 때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관찰사를 지냈다.
 
송상기(宋相琦) 〔1657-1723〕: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옥여(玉汝), 호는 옥오재(玉吾齋), 송시렬(宋時烈)의 문인으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고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며 저서로 옥오재집(玉吾齋集)이 있다.
 
송시열(宋時烈) 〔1607-1689〕: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 생원시(生員試)에 급제하고 좌의정(左議政)을 거쳐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냈으며 노론(老論)의영수로 화양동에 은거하였다. 시호는 문정(文正)이고 저서로 송자대전(宋子大全)이 있다.
 
송은헌(宋殷憲) 〔1876-1945〕: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경식(敬植), 호는 강와(剛窩), 보은의 한학자, 저서로 강와집(剛窩集)이있다.
 
신정하(申靖夏) 〔1680-1715〕: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정보(正甫), 호는 서암(恕菴),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부교리(副校理)를 거쳐 헌납(獻納)을 지냈다. 저서로 서암집(恕菴集)이 있다.
 
심 육(沈 錥) 〔1685-1713〕: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언화(彦和), 호는 저촌(樗村),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찬선(贊善)을 지냈다. 저서로 저촌유고(樗村遺稿)가 있다.
 
안방경(安邦慶) 〔1513-1569〕: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선응(善應), 호는 구배헌(灸背軒),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청홍도관찰사(淸洪道觀察使)를 거쳐 영흥부사(永興府使)를 지냈다
 
안상흡(安商洽) 〔1886-1972〕: 본관은 순흥(順興), 호는 검재(儉齋), 괴산의 한학자, 저서로 검재유고(儉齋遺稿)가 있다.
 
안영중(安泳中) 〔1881-1965〕: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치천(致天), 호는 암재(巖齋), 성균관(成均館)에서 공부하고 낙향하여후학을 가르쳤다. 저서로 암재유고(巖齋遺稿)가 있다.
 
안창준(安昌濬) 〔1877-1967〕: 본관은 순흥(順興), 호는 금석(錦石), 괴산의 한학자, 저서로 금석유고(錦石遺稿)가 있다.
 
양대박(梁大樸) 〔1544-1562〕: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사진(士眞), 호는 하곡(荷谷), 임진왜란 때 의병장,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장(忠壯)이며 저서로 청계집(淸溪集)이있다.
 
양유년(梁有年) 〔 ? - ? 〕: 중국 명(明)나라 사람. 자는 성옹(惺翁), 예과좌급사(禮科左給使)가 되어 선조(宣祖) 39년(1606)주지번(朱之蕃)을 따라 부사(副使)로 우리나라에 왔다가다
 
오 원(吳 瑗) 〔1700-1740〕: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옥 (伯玉), 호는 월곡(月谷),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정시문과(庭試 文科)에 장원하고 부제학(副提學)을 거쳐 공조참판(工曹參判)을 지냈다.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목(文穆)이며 저서 로 월곡집(月谷集)이 있다.
 
웅 화(熊 化) 〔 ? - ? 〕: 중국 명(明)나라 사람. 행인사행인(行人司行人)이 되어 광해군(光海君) 1년(1609)에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왔다가다.
 
유 근(柳 根) 〔1549-1627〕: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회부(晦 夫), 호는 서경(西坰),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예조판서(禮曹判書)를 거쳐 좌찬성(左贊成)을 지냈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이 되었다. 시호는 문정(文 靖)이고 저서로 서경집(西埛集)이 있다.
 
유몽인(柳夢寅) 〔1559-1623〕: 본관은 홍양(洪陽), 자는 응문(應文), 호는 어우당(於于堂),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하고 도승지(都承旨)를 거쳐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지냈다.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시호는 의정(義貞)이며 저서로 어우집(於于集), 어우야담(於于野談)이 있다.
 
유병상(劉秉相) 〔 ? - ? 〕: 호는 금산(錦山)이다.
 
윤봉구(尹鳳九) 〔1681-1767〕: 본관은 파평(坡坪), 자는 서응(瑞膺), 호는 병계(屛溪),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하고 유일로 청도군수(淸道郡守)를 거쳐 판서(判書)를 지냈다.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사람으로 시호는 문헌(文獻)이고 저서로 병계집(屛溪集), 화양존주록(華陽尊周錄)이있다.
 
윤봉조(尹鳳朝) 〔1680-1761〕: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명숙(鳴叔), 호는 포암(圃巖),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공조참판(工曹參判)을 거쳐 대제학(大提學)을 지냈으며 저서로 포암집(圃巖集)이 있다.
 
이경엄(李景嚴) 〔 ? - ? 〕: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지냈다.
 
이 구(李 玖) 〔 ? - ? 〕: 공민왕(恭愍王) 때 진사과(進士 科)에 급제하고 목사(牧使)를 거쳐 우왕(禑王)때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냈다.
 
이기홍(李箕洪) 〔1641-1708〕: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구(汝九), 호는 직재(直齋), 송시렬(宋時烈)의 문인, 학행으로 효릉참봉(孝陵參奉)을 거쳐 청풍부사(淸風府使)를 지내고 연풍에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저서로 직재집(直齋集), 자성편(自省編), 위학적방(爲學績方)이 있다.
 
이덕부(李德傅) 〔 ? - ? 〕: 영조 40년(1764)부터 영조 45년 (1769)까지 연풍현감(延豊縣監)으로 재임하였다.
 
이득수(李得秀) 〔1760-1814〕: 본관은 연안(延安), 호는 극성와(克省窩), 괴산의 한학자, 저서로 극성와유고(克省窩遺稿)가 있다.
 
이 륙(李 陸) 〔1438-1498〕: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방옹(放翁), 호는 청파(靑坡),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냈다. 저서로 청파집(靑坡集), 청파극담(靑坡劇談)이 있다.
 
이린상(李麟祥) 〔1710-1760〕: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원령(元靈), 호는 능호(凌壺), 음보로 음죽현감(陰竹縣監)을 지내고 단양 귀담(龜潭)에 은거하였다. 저서로 능호집(凌壺集)이 있다.
 
이만부(李萬敷) 〔1664-1732〕: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서(仲舒), 호는 식산(息山), 학행으로 장릉참봉(長陵參奉), 빙고별제(氷庫別提)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저서로 식산집(息山集), 노여어(魯餘語) 도동편(道東編)이 있다.
 
이병연(李秉延) 〔 ? - ? 〕: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백윤(伯允),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를 지냈다.
 
이병운(李柄運) 〔1858-1937〕: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덕칠 (德七), 호는 긍재(兢齋).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하고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으로 학문에 전념하였다. 저서로 긍재문집(兢齋文集)이 있다.
 
이수항(李壽沆) 〔 ? - ? 〕: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영조(英祖) 10년(1734) 1월부터 11년(1735) 9월까지 충청감사 (忠淸監司)를 지냈다.
 
이승소(李承召) 〔1422-1484〕: 본관은 양성(陽城), 자는 윤보(胤保), 호는 삼탄(三灘),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좌참찬(左參贊)을 지냈다.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양성군(陽城君)이 되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고 저서로 삼탄집(三灘集)이 있다.
 
이시발(李時發) 〔1569-1626〕: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양구(養久), 호는 벽오(碧梧), 이덕윤(李德胤)의 문인,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형조판서(刑曹判書)를 거쳐 삼남도관찰사(三南道觀察使)를 지냈다.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익(忠翼)이며 저서는 벽오유고(碧梧遺稿), 주병록(籌邊錄)이 있다.
 
이안눌(李安訥) 〔1571-1637〕: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민(子敏), 호는 동악(東岳),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고 예조판서(禮曹判書)를 거쳐 공청도관찰사(公淸道觀察使)를 지냈다.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혜(文惠)이며 저서로 동악집(東岳集)이 있다.
 
이 온(李 溫) 〔 ? - ? 〕: 효종(孝宗) 3년(1652) 12월부터 효종(孝宗) 5년(1654) 12월까지 청안현감(淸安縣監)으로 재직하였다.
 
이 원(李 亻原) 〔 ? - ? 〕: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헌(聖 憲), 호는 석남(石南), 도사(都事)를 지냈다.
 
이 재(李 縡) 〔1680-1746〕: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희경(熙卿), 호는 도암(陶庵),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고 대사헌(大司憲)을 지냈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며 저서로 도암집(陶庵集)이 있다.
 
이 정(李 楨) 〔1512-1571〕: 본관은 사천(泗川). 자는 강이(剛而), 호는 귀암(龜巖), 송린수(宋麟壽)의 문인으로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하고 경주부윤(慶州府尹)을 지내고 부제학(副提學)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저서로 경현록(景賢錄), 성리유편(性理遺編)이 있다.
 
이정구(李廷龜) 〔1564-1635〕: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으로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형조판서(刑曹判書)를 거쳐 좌의정(左議 政)을 지냈다. 조선중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으로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저서로 월사집(月沙集)이 있다.
 
이 준(李 埈) 〔1560-1635〕: 본관은 흥양(興陽), 자는 숙평(叔平), 호는 창석(蒼石). 유성룡(柳成龍)의 문인.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단양군수(丹陽郡守)를 거쳐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지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고 저서로 창석문집(蒼石文集)이 있다.
 
이준우(李駿愚) 〔1807-1882〕: 본관은 연안(延安), 호는 달관(達觀), 괴산의 한학자, 저서로 달관유고(達觀遺稿)가 있다.
 
이집수(李集秀) 〔1777-1839〕: 본관은 연안(延安), 호는 노암(鹵菴), 괴산의 한학자, 저서로 노암유고(鹵菴遺稿)가 있다.
 
이천보(李天輔) 〔1698-1761〕: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의숙(宜叔), 호는 진암(晉庵),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며 저서로 진암집(晉庵集)이 있다.
 
이춘영(李春英) 〔1563-1606〕: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실지(實之), 호는 체소재(體素齋), 성흔(成渾)의 문인으로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봉사시첨정(奉常寺僉正)을 지냈다.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숙(文肅)이며 저서로 체소집(體素集)이 있다.
 
이하곤(李夏坤) 〔1677-1724〕: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재대(載大), 호는 담헌(澹軒),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진사과(進士科)에 장원하고 음보로 관직을 받았으나 나가지 진천 초평에은거하였다. 저서로 두타초(頭陀草)가 있다.
 
이해수(李海壽) 〔1536-1598〕: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대중(大仲), 호는 약포(藥圃),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지냈다.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 양포집(藥圃集)이 있다.
 
이해종(李海宗) 〔1659-1720〕: 본관은 성산(星山), 호는 진백(進伯), 호는 매죽당(梅竹堂).
 
이형윤(李烱胤) 〔1593-1645〕: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승(汝承), 호는 창주(滄洲), 종시(宗試)에 급제하고 봉래군수(蓬萊郡守)를 거쳐 부총관(副總管)을 지냈다. 저서로 창주유고(滄洲遺稿)가 있다.
 
이호민(李好閔) 〔1553-1634〕: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효언(孝彦), 호는 오봉(五峯),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예조판서(禮曹判書)를 거쳐 좌찬성(左贊成)을 지냈다.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이 되고 시호는 문희(文僖)이며 저서로 오봉집(五峰集)이 있다.
 
이 황(李 滉) 〔1501-1570〕: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충청도암행어사(忠淸道暗行御史), 단양군수(丹陽郡守), 우찬성(右贊成)을거쳐 대제학(大提學)을 지냈다.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순(文純)이며 저서로 퇴계전서(退溪全書), 퇴계서절요 (退溪書節要), 자성록(自省錄)이 있다.
 
임상원(任相元) 〔1638-1697〕: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공보(公輔), 호는 염재(恬齋),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청풍부사(淸風府使)로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하고 좌참찬(左參贊)을지냈다. 시호는 효문(孝文)이며 저서로 염헌집(恬軒集)이 있다.
 
임수간(任守幹) 〔1665-1721〕: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용예(用譽), 호는 둔와(遯窩),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고 부수찬(副修撰)을 거쳐 우승지(右承旨)를 지냈다.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고 저서로 둔와집(遯窩集)이 있다.
 
정두경(鄭斗卿) 〔1597-1673〕: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군평(君平), 호는 동명(東溟), 이항복(李恒福)의 문인.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교리(校理)를 지네고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임명되었으나 노환으로 나가지 않았다.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 동명집(東溟集)이 있다.
 
정래교(鄭來僑) 〔1681-1757〕: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윤경(潤卿), 호는 완암(浣巖), 왜어역관(倭語譯官)을 거쳐 승문원제술관(承文院製述官)을 지냈으며 저서로 완암집(浣巖集)이 있다.
 
정 실(鄭 宲) 〔1701-1776〕: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공화(公華), 호는 염재(念齋). 이재(李縡)의 문인.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고 안동부사(安東府使)를 거쳐 이조판서(吏曹判書)를지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저서로 송강년보(松江年譜)가 있다.
 
정 철(鄭 澈) 〔1536-1593〕: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김인후(金仁厚)의 문인,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서인(西人)의 영수로 좌의정(左議政)을 거쳐 충청도체찰사(忠淸道體察使)를 지냈다. 시호는 문청(文淸)이고저서로 송강집(松江集), 송강가사(松江歌辭)가 있다.
 
정 호(鄭 澔) 〔1648-1736〕: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중순(仲淳), 호는 장암(丈巖), 송시렬(宋時烈)의 문인,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고 좌의정(左議政)을 거쳐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말년에 연풍에 은거하였다. 시호는 문경(文敬)이고 저서로장암집(丈巖集)이 있다.
 
조계생(趙啓生) 〔1373-1438〕: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경부(敬夫), 호는 두곡(杜谷),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참찬(參贊)을 지냈다. 시호는 정평(靖平)이다.
 
조광조(趙光祖) 〔1482-1519〕: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菴),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고 부제학(副提學)을 거쳐 대사헌(大司憲)을 지냈다.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정(文正)이고 저서로 정암집(靜菴集)이 있다.
 
조 위(曺 偉) 〔1454-1503〕: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태허(太虛), 호는 매계(梅溪),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대사성(大司成)을 지냈다. 시호는 문장(文莊)이고 저서로 매계집(梅溪集)이 있다.
 
조유수(趙裕壽) 〔1663-1741〕: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의중(毅仲), 호는 후계(後溪),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하고 연풍현감(延豊縣監)을 거쳐 장예원판결사(掌隸院判決事)를 지냈다.
 
조찬한(趙纘韓) 〔1572-1631〕: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선술(善述), 호는 현주(玄洲),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상주목사(尙州牧使)를 거쳐 예조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며 저서로 현주집(玄洲集)이 있다.
 
조태억(趙泰億) 〔1671-1728〕: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대년(大年), 호는 겸재(謙齋),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거쳐 좌의정(左議政)을 지냈으며 시호는문충(文忠)이며 저서로 겸재집(謙齋集)이 있다.
 
진의귀(陳義貴) 〔 ? -1424〕: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우상시 (右常侍)를 지내고 조선에 와서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지냈다.
 
채 수(蔡 壽) 〔1449-1515〕: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 추장문과(秋場文科)에 장원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냈으며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인천군(仁川君)이 되었다. 시호는 양정 (襄靖)이고 저서로 나재집(懶齋集)이 있다.
 
최숙생(崔淑生) 〔1457-1520〕: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진(子眞), 호는 충재(盅齋),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우찬성(右贊成)을 거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냈다.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정(文貞)이고 저서로 충재집 (盅齋集)이 있다.
 
최치중(崔致重) 〔 ? - ? 〕: 본관은 수성(隨城), 호는 한곡(閑 谷), 경종(景宗) 4년(1724)부터 영조(英祖) 3년(1727)까지 연풍현감(延豊縣監)으로 재직하였다.
 
한원진(韓元震) 〔1682-1751〕: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학행으로 영능참봉(寧陵參奉)으로 지내고 기호학파 호론(湖論)의 영수로 학문에 힘 썼다.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순(文純)이며 저서로 남당집(南塘集)이 있다.
 
한준겸(韓浚謙) 〔1557-1627〕: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익지(益之), 호는 유천(柳川),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거쳐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로 지냈으며 딸이 인열왕후(仁烈王后)가 되면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이 되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며 저서로 유천유고(柳川遺稿)가 있다.
 
허 봉(許 篈) 〔1551-1588〕: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미숙(美叔), 호는 하곡(荷谷),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하고 교리(校理)를 거쳐 창원부사(昌原府使)를 지냈다. 저서로 하곡집(荷谷集), 하곡수어(荷谷粹語)가 있다.
 
허 지(許 墀) 〔1604 - ? 〕: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여유(汝孺), 허적(許積)의 형,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호조정랑(戶曹正郞)을 지냈다.
 
홍귀달(洪貴達) 〔1438-1504〕: 본관은 부계(缶溪), 자는 겸선(兼善), 호는 허백당(虛白堂),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거쳐 좌참찬(左參贊)을 지냈다. 시호는 문광(文匡)이고 저서로 허백정문집(虛白亭文集)이 있다.
 
홍언충(洪彦忠) 〔1473-1508〕: 본관은 부계(缶溪), 자는 직경(直卿), 호는 우암(寓菴), 홍귀달(洪貴達)의 아들,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예조정랑(禮曹正郞)을 거쳐 직강(直講)을 지냈다. 사걸(四傑)의 한 사람이며 저서로 자만사(自挽辭)가 있다
 
홍태유(洪泰猷) 〔1672-1715〕: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백형(伯亨), 호는 내재(耐齋),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화를 입자 벼슬하지 않고 학문에 정진하였다. 지평(持平)에 추증되고저서로 옥오재집(玉吾齋集)이 있다.
 
황준량(黃俊良) 〔1517-1563〕: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중거(仲擧), 호는 금계(錦溪), 이황(李滉)의 문인, 식년문과(式年文科)에급제하고 단양군수(丹陽郡守)를 거쳐 성주목사(星州牧使)를 지냈다. 저서로 금계집(錦溪集)이 있다.
 
황 호(黃 㦿) 〔1604-1856〕: 본관은 창원(昌原), 호는 만랑 (漫浪),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을 지냈다. 저서로 만랑집(漫浪集)이 있다.
【향토】 괴산군 시문집 (2000)
• 편집 후기
• 지은이 약력
• 선유동기(仙遊洞記) / 이만부(李萬敷)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향토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