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괴산군 괴산군 시문집 (2000)
괴산군 시문집 (2000)
(보기 : 목록별구성)
2018년 7월
2018년 7월 20일
애한정(愛閑亭)
about 괴산군 시문집 (2000)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누정(樓亭) # 애한정
【향토】
(2018.07.20. 10:25) 
◈ 애한정(愛閑亭)
애한정은 조선 광해군(光海君) 6년(1614)에 박지 겸(朴知謙)이 괴산군 괴산읍 검승리에 세운 정자인 데, 현종(顯宗) 15년(1674)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 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
목   차
[숨기기]
■ 애한정(愛閑亭)
애한정은 조선 광해군(光海君) 6년(1614)에 박지 겸(朴知謙)이 괴산군 괴산읍 검승리에 세운 정자인 데, 현종(顯宗) 15년(1674)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 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
 
 

1. 애한정 8영(愛閑亭 八詠)

박지겸(朴知謙) 〔1540-1623〕
 
송악의 맑은 바람        松嶽晴嵐
비온 뒤 옅은 산기운이 산을 감싸니        雨後輕嵐鎖碧山
푸르른 산빛이 아련하네        蔥籠山色有無間
잠시동안 거두어져 산은 옛과 같으니        須叟捲却山依舊
창에 의지하여 진종일 산을 바라보네        斜倚山牕盡日看
 
하당의 밤달        荷塘夜月
가을 밤 연못에 꽃이 활짝 피어나니        秋夜蓮塘花正開
가벼운 바람에 은은한 향기 풍기네        輕風細細送香來
비 뿌린 뒤에는 달빛마저 선명하니        況逢雨後分明月
시흥이 솟구치며 읊으라고 재촉하네        詩思无端十倍催
 
고촌의 저녁연기        孤村暮烟
몽롱한 눈에 어렴풋해 모두 구름같고        醉眼依俙望似雲
수촌인지 산곽인지 분간하기 어렵네        水村山郭杳難分
저물녁 긴 바람에 연기가 거두어지니        斜陽忽被長風捲
두 서너 민가에는 반쯤 문을 닫았네        三兩人家半掩門
 
창벽의 지는 해        蒼壁落照
뚜렷한 은 기둥이 구름 가에 박혔으니        分明銀柱揷雲端
반은 강물에 비치고 반은 산에 비치네        半映江波半映山
창벽은 공중에 의지하여 우뚝 솟았는데        蒼壁依空千尺立
그림 병풍 속에 있는 이 몸이 황홀하네        怳然身在畵屛間
 
석등의 행인        石磴行人
푸른 산 한 쪽으로 작은 길이 뜷렸는데        一面靑山小路通
석양 속에 사람 그림자 어렴풋이 보이네        依俙人影夕陽中
가고 가며 모두 앞 마을로 향하는데        行行盡向前村去
살펴보니 반은 나뭇꾼, 반은 목동이구나        半是樵夫半牧童
 
강포에 장사배        江浦商舶
아득한 긴 강가에 갈대 사철쑥 꽃 피고        渺渺長河蘆萩花
돛단배가 많으니 새도 뒤쫒아 돌아오네        亂帆无數逐歸鳽
해 저무니 사립문 가까이 배를 대놓고        斜陽近向柴門泊
아이를 불러 봉차를 사오라고 재촉하네        催喚家僮買鳳茶
 
절을 찾아가는 중        佛寺尋僧
그윽하고 궁벽한 곳에도 청산이 있어        幽居地僻近靑山
막대 짚고 때때로 찾아다가 돌아오네        黎杖時時自往還
봄날 꽃구경 누구와 동반하냐 물으니        春日看花誰是伴
늙은 중은 푸른 산에 있다고 대답하네        老僧應在翠微間
 
느티울 고기잡이        槐灘釣魚
작은 여울 가에 이끼 낀 바위가 있어        一片苔磯傍小灘
석양에 한가히 앉아 낚시를 드리웠네        夕陽閑坐把漁竿
동강에 낚시하는 늙은이 정말 우습네        桐江釣叟眞堪笑
무슨 일로 정치 일에 마음 얽매였나        何事關心漢鼎安
 
【애한정(愛閑亭) 벽상시(壁上詩)】
 
 
 

2. 한한정 8영 : 박익경을 위하여 읇다(閑閑亭八 詠 : 爲朴益卿賦之)

이호민(李好閔) 〔1553-1634〕
 
송악산의 맑은 바람        松嶽晴嵐
산룡이 만물을 구제하는데        山龍濟物心
금년은 가물어 애를 태우네        今年旱焦土
아침에 산기운을 바라보니        朝看一抹嵐
농사 지을 비 올 줄 알겠네        知作三農雨
 
하당의 밤달        荷塘夜月
아래에는 둥근 연잎 있고        下有團團葉
위에는 둥근 달이 떠있네        上有團團月
달 밝은데 연잎 향기 번지고        月明葉有香
누었으니 마음이 다정하네        獨臥輸心曲
 
고촌의 저녁 연기        孤村暮烟
마을이 바둑판처럼 작은데        有村小如局
아침 저녁으로 연기 오르네        朝暮煙生白
그대는 때 맞춰 죽을 먹고서        知君飯粥時
배를 두드리면서 태평하네        太平同鼓腹
 
창벽에 저녁 햇빛        蒼壁落照
창벽이 병풍처럼 벌렸는데        有壁列似屛
이끼꽃이 푸르게 비치네        苔花相映碧
갑짜기 붉은 빛을 두르니        俄然帶紅紫
목동 피리소리도 빨라지네        牧笛聲聲急
 
석등거리의 행인        石磴行人
산 허리를 감도는 돌 비탈길에        回磴轉山腰
지나가는 행인 새같이 달아나네        行人如鳥迸
가도 가도 몇 사람이 돌아올까        行行幾人歸
하나 하나가 마음에 물결치네        一一波心影
 
강포의 장사배        江浦商舶
강 위에 둥둥 떠 있는 돛배들이        江心點點帆
어찌 모두가 장사배라고 하겠나        豈皆商人船
가을 바람이 하루종일 불어오니        秋風日夕起
이는 농어 찾는 손님이 아니겠나        莫是尋鱸客
 
성불사를 찾는 중        佛寺尋僧
오늘 아침에는 날씨가 좋으니        今朝風日好
숲동산을 구경하려고 나서네        林園試杖屨
홀연히 먼 곳 스님을 생각하니        忽憶遠上人
서서히 나무 붉어지려고 하네        徐徐度紅樹
 
느티울에서 고기낚기        槐灘釣魚
여울에서 늙은이 낚시 하지만        灘上釣魚翁
물이 차서 고기가 잡히지 않네        水寒魚不出
고기 잡히지 않는다 탄식 말고        魚不出莫嘆
반계에 물새가 있음을 알게나        知有磻溪玉
 
【오봉집(吾峯集)】
 
 
 

3. 애한정 8영 : 박익경을 위하여 짓다(愛閑亭八詠 : 爲朴益卿作)

이정구(李廷龜) 〔1564-1635〕
 
송악의 맑은 바람        松嶽晴嵐
아침 시원한 기운이 처마 밑에 스미니        朝來爽氣入虛簷
일어나 앞산 보려고 대발 걷어 올렸네        起向前山捲却簾
송악은 맑은 단장 짙게하여 아름다운데        濃抹澹粧俱有態
농부들은 한가롭게 날씨를 점치고 있네        農人閑作雨晴占
 
하당의 밤달        荷塘夜月
연못에 가벼운 바람이 잔잔히 불어오고        池面輕風細細吹
맑은 향기가 밤에 어우러지니 서늘하네        淸香偏與夜凉宜
하늘이 다시금 달의 그림자를 비쳐주니        天公更借氷輪影
높은 잎 무성한 꽃이 눈부시게 빛나네        高葉繁花光陸離
 
고촌의 저녁연기        孤村暮烟
쓰러질 듯한 사립문 낮고 낮은 울타리        仄仄柴扉短短籬
민가들이 석양 무렵에 옹기종기 모였네        人家多在夕陽陂
누어서 작은 들에 연기가 나는 걸 보니        臥看小野烟光合
들판에서 농부들 밥 먹는 줄 알겠구나        知是西疇餉饁時
 
창벽에 지는 해        蒼壁落照
햇발이 산에 비추니 은주같이 빛나고        日脚啣山銀柱明
엷은 어둠 하늘가에 보이기 시작하네        輕陰天際漸看生
개울 동쪽 푸른 석벽에 산그늘 생기고        溪東翠壁迎斜景
울굿불긋한 꽃이 얽혀서 그릴 수 없네        紅紫蔥籠畵不成
 
석등거리의 행인        石磴行人
산 허리 좁은 길에 구름이 둘렀고        山腰一逕細縈雲
지팡이 그림자 석양 빛이 감도네        笻影依依帶夕曛
개가 짓으니 마을이 멀지 않으니        犬吠前村歸不遠
아이들 사릿문에서 날 기다리겠네        兒童應已候柴門
 
강포의 장사배        江浦商舶
포구에는 거룻배가 드문드문 보이고        浦口時看點點篷
안개 걷히니 놋소리 말소리 섞여드네        霧開人語櫓聲中
배를 불러 서울 소식을 물으려 하니        呼船欲問東華信
앞 강물은 한강으로 통한다고 하네        爲是前江與漢通
 
절을 찾아가는 중        佛寺尋僧
옛 절이 개울 위 산 속에 있는데        古寺居隣溪上山
노승은 주인과 더불어 한가하네        老僧元與主人閑
봄바람에 꽃이 피는 남쪽 산길을        春風花發南岡路
인연 따라 지팡이 짚고 오간다네        杖屨隨緣去又還
 
느티울에 고기낚기        槐灘釣魚
깊은 여울 아래에 징검다리 있어        灘下深潭潭下梁
바람부는 수면에 낚시를 드리우네        水風吹面釣絲長
삿갓 쓰고 비 맞으며 늦게 돌아가        靑簑帶雨歸來晩
익은 솔잎술을 손님에게 권하려네        自醱松醪勸客嘗
 
【월사집(月沙集)】
 
 
 

4. 애한정 8영 : 월사공의 시를 공경하여 차운하 다(愛閑亭八詠 : 敬次月沙相公韻)

김득신(金得臣) 〔1603-1684〕
 
송악의 맑은 바람        松嶽晴嵐
송악의 산기운이 처마 밑으로 들어오니        松嶽浮嵐朝入簷
연기인지 안개인지 발 사이로 들어오네        非煙非霧透疎簾
가득한 비 기운을 농촌에서 기다리는데        油然雨氣田家望
날씨가 가물으니 주역점이나 처 볼까나        歲旱何須太古占
 
연못의 밤달        荷塘夜月
다락 밖에 향기로운 바람 잔잔히 부니        檻外香風淡淡吹
연못 가 좋은 밤 시 짓기가 알맞구나        良宵池閣賦詩宜
달빛이 대낮 같고, 꽃은 비단 같은데        月光如晝花如錦
달과 꽃 보느라 잠시도 떠날 수 없네        對月看花不暫離
 
고촌의 저녁 연기        孤村暮烟
초가집에 가시나무 울타리 둘렀는데        黃茅葺屋棘編籬
십리 밖에 있는 어촌을 가르키네        指點漁村十里陂
밥 짓는 연기 들숲으로 솔솔 번지니        勃勃炊烟籠野樹
새들마다 석양에 제집을 찾아 가네        鳥鳥歸峽夕陽時
 
창벽에 지는 해        蒼壁落照
높이 솟은 창벽에 저녁 빛도 밝은데        嵯峨蒼壁夕暉明
아득한 숲 속에는 어둠이 내리누나        漸看窮林暝色生
산 그림자 저녁 연기가 어우러지니        山影烟光相雜態
읊기 어려워 시구 쉽게 얻지 못하네        盡難模得句難成
 
석등거리의 행인        石磴行人
길은 청산에, 산은 구름 속에 있고        路入靑山山入雲
해는 지려는데 말을 타고 떠나가네        馬蹄相送日曛曛
모두 세상에 인연 있어 오고가는데        皆緣世故長來往
어찌하여 유인처럼 나가지 못하나        何似幽人不出門
 
강포에 장사배        江浦商舶
장사하는 거룻배 팔고사며 오가다가        坐看商買去來篷
해 지자 괴산 산골에 배를 정박하네        暮泊槐州古峽中
때로 백사장에서 시끄런 소리 들리니        時聽沙頭人語鬧
시골사람 모여서 흥정하는 것 같구나        村氓相聚有無通
 
절을 찾아가는 중        佛寺尋僧
초제를 방문하려고 산사에 올라가        爲訪招提上此山
중과 마주하니 그지없이 한가롭네        法朋相對共閑閒
불교에 대하여 질문하려고 했으나        今來欲問西方敎
선실에서 잠 들었는지 나오지 않네        丈室蒲團宿不還
 
느티울에서 고기낚기        槐灘釣魚
삿갓 쓰고 도롱 입고 돌다리에 기대어        戴笠披簑倚石梁
가랑비 오는 여울에 낚시줄을 드리웠네        灘頭微雨一絲長
이따금 고기 잡혀 돌아갈 생각 잊었으나        時時得雋忘歸處
얼마간의 은빛 고기 잡았으니 적당하네        多少銀鱗此可嘗
 
【백곡집(栢谷集)】
 
 
 

5. 애한정 8영(愛閑亭 八詠)

김현성(金玄成) 〔1542-1625〕
 
송악의 맑은 바람        松嶽晴嵐
산마루 위에 있는 많은 소나무들        嶺上萬株松
뿌리는 흙 되어버린 돌에 나렸네        根以石爲土
맑은 산기운이 산머리에 걸리더니        浮嵐掛其顚
물 방울되어서 하늘에서 떨어지네        翠滴晴空雨
 
연못의 밤달        荷塘夜月
조고만 이랑에 네모진 연못 파니        半畝開方塘
좋은 밤에 달이 물결에 일렁이네        良宵激霽月
맑은 못 가운데 연꽃을 옮겨심고        蓮移玉井中
청계 굽이 물을 끌어 대었누나        水引淸溪曲
 
고촌의 저녁연기        孤村暮烟
저녁 연기가 초가집에서 오르니        暮煙起茅屋
연기 푸르고 지붕은 희게 보이네        煙靑而屋白
뿌연 연기 나무 끝에 아롱거리고        霏微籠樹頭
푸르슴한 빛이 산 허리 에워쌓네        縹緲橫山腹
 
창벽의 낙조        蒼壁落照
저녁 햇살이 창벽을 비치는데        夕陽照蒼崖
못 가운데 푸르게 되비치네        倒影潭心碧
앞 마을이 어두어지려고 하니        前村忽欲暝
잘새도 깃들려 급히 날아가네        宿鳥歸飛急
 
석등거리의 행인        石磴行人
가파른 비탈길 이끼도 미끄러운데        危磴荒蘚滑
나무가지에 샘물이 날려 흩어지네        樹梢飛泉迸
돌 위의 댕댕이 넝쿨 잡고 오르니        唯攀石上蘿
물 속에는 그림자도 비치지 않네        不見潭心影
 
강포의 장사배        江浦商舶
강물이 얕아지는 가을철에는        淺灘秋水時
옹기종기 물 가에 배 대누나        離離上海舶
빈 돛대만 숲처럼 서있는데        檣竿簇似林
모두가 강남의 장사꾼일쎄        盡是江南客
 
절로 중 찾아가기        佛寺尋僧
절은 있으나 중은 없는 것 같은데        院開似無僧
문 밖 댓돌에 신발 한 켤래 있네        戶外惟有屢
들어가 서역에서 왔느냐 물었더니        入戶問西來
웃으며 뜰 앞의 나무를 가르키네        笑指庭前樹
 
느티울에서 고기낚기        槐灘釣魚
낚싯대 들고 푸른 느티울에 나가서        持竿綠槐灘
낚싯줄에 붉은 고기를 낚아 올렸네        絲曳紅鱗出
낚시를 마치니 해는 지려고 하는데        釣罷日初沉
하늘 가에는 찬 옥을 부친 것 같네        天邊帖寒玉
 
【애한정(愛閑亭) 벽상시(壁上詩)】
 
 
 

6. 애한정 8영 : 남창(南窓)의 시를 차운하다(愛 閑亭八詠 : 次南窓韻)

용 계(龍 溪) 〔 ? - ? 〕
 
송악의 맑은 바람        松嶽晴嵐
산머리에 바람 잠시 하늘대더니        山頂乍霏微
아래로 내려오며 더욱 짙어지네        彌漫冒下土
맑디맑게 아침 햇빛 받아드리고        淡淡受朝暉
짙고짙게 비 기운을 머금었다네        濃濃帶宿雨
 
연못의 밤달        荷塘夜月
맑은 향기 하얀 꽃이 어우러지고        淸香與素華
연꽃과 달이 둘 다 아름답구나        兩美荷閒月
희고희게 티끌도 없고        皎皎絶緇塵
아득아득 굴곡도 없네        亭亭無屈曲
 
고촌의 저녁연기        孤村暮烟
한 가닥 푸르게 집에서 나와        出屋一絛靑
천길을 하얗게 하늘 감싸네        絙空千丈白
돌아가는 구름과 합세하여        歸雲與合勢
해 지는 산을 반이나 덮었네        暮山藏半腹
 
창벽의 낙조        蒼壁落照
석양 빛이 동쪽 산에 빗기니        夕陽忽東斜
가파른 벼랑이 울긋불긋하네        峭壁生丹碧
숨은 이가 문밖으로 나와보니        幽人看來闌
길손은 돌아가기를 서두르네        行客歸何急
 
석등거리의 행인        石磴行人
하늘에 돌 비탈길이 위태로운데        半空石磴危
풀과 나무가 길가에 벌려있구나        草樹羅生逕
보였다 안 보이는 사람 누군인가        隱暎彼何人
하늘하늘 해 그림자 어리비치네        依依帶日影
 
강포의 강사배        江浦商舶
긴 바람이 바다쪽에서 불어오니        長風海門來
원근에서 많은 배들이 모여드네        遠近參差舶
왁자지껄 돛을 내리는 사람들은        喧呼齊落帆
거의가 생선과 소금장사들이네        太半魚鹽客
 
절을 찾아가는 중        佛寺尋僧
구름 깊은 곳에 스님이 사는데        雲深遠公居
돌길 걸으니 짚신에 이끼 밟히네        石路苔侵屨
비스듬이 물가에 지팡이 짚었는데        橫斜水邊筇
산 속에 나무들 어지러히 서있네        歷亂山中樹
 
느티울에서 고기낚기        槐灘釣魚
바람이 세차면 깊이 숨던 고기가        風亂魚深入
햇볕이 따뜻하면 물 위로 나오네        日暄魚盡出
마주하여 서로 엿보기에 익숙한데        相對慣相窺
물가 모래에 물새가 지키고 있네        沙頭有屬玉
 
【애한정(愛閑亭) 벽상시(壁上詩)】
 
 
 

7. 별좌 박지겸의 애한정 8경운 (朴別坐知謙 愛閑 亭八景韻)

정 실(鄭 宲) 〔1701-1776〕
 
송악의 맑은 산바람        松嶽晴嵐
솔숲 안쪽 가파른 바위 푸르러        松裏玉巉岩
티끌과 먼지가 하나도 없구나        更無塵與土
맑은 봉우리에 산기운 스치니        晴峯一抹嵐
시냇가 마을에 비를 뿌리네        散作溪村雨
 
연못의 밤달        荷塘夜月
뜰가 작은 연못에 연꽃 피었고        庭際半塘蓮
연꽃 사이 밤중에 달빛 비치네        蓮間午夜月
맑은 향기 맑은 빛이 어울리니        淸香與淸暉
염계곡인 줄로 의심하겠네        疑是濂溪曲
 
고촌의 저녁연기        孤村暮烟
마을의 주변에 어둠이 내리니        瞑色村邊來
한 가닥 연기 하얗게 오르고        孤煙望裡白
바람을 따라 냇물을 건너가서        隨風渡溪頭
앞산 허리를 반쯤 스쳐가네        半抹前山腹
 
창벽의 낙조        蒼壁落照
산 속에 해가 저물려고 하니        山中欲斜暉
저 앞 창벽에 석양이 비치네        照此前崖璧
시냇가 마주한 목동 돌아오며        牧童隔溪歸
길이 어두어 소를 급히 모네        路暗駈牛急
 
석등거리의 행인        石磴行人
들길 건너는데 돌이 다리 되어        野渡石爲橋
시냇 물은 다리 아래로 흐르네        溪流橋下迸
지나 다니는 행인 많지 않지만        行行多少人
저마다 한가로운 그림자 비치네        各照閑忙影
 
강포의 장사배        江浦商舶
골짜기 물이 한강으로 흐르니        峽引漢江流
돗배가 강가에 연이어 정박했네        帆連兩岸舶
서로 만나서 흥정은 하지 않고        相逢不辨商
상류쪽 나그네를 찾아 묻는구나        誤問尋源客
 
절을 찾아가는 중        佛寺尋僧
아침 경소리 들으며 홀로 찾는데        獨尋朝磬行
돌길의 이슬이 신발을 적시네        石路霜侵屨
한나절 같이 있는 중 한가롭고        半日同僧閑
향불 연기 저녁 나무에 감도네        香煙暮繞樹
 
느티울에서 고기낚기        槐灘釣魚
한가하여 물굽이에 낚시 드리고        乘閑臨釣灣
미끼 던지고 고기를 기다리네        投餌看魚出
무엇과 서로 짝할 수 있으리        何物與相親
물새가 짝을 지어 날아 오네        飛來雙屬玉
 
【괴산군지(槐山郡誌)】
 
 
 

8. 애한정 강회에 참석하여(赴愛閑亭講會)

김보년(金輔年) 〔1848-1927〕
 
맑은 놀이 빼어나니 가을인 듯한데        淸遊爲秀占凉天
아이 어른 다 오니 한낮이 가깝네        少長咸來近午煙
후학에 예를 전하고 익히는 곳이니        後學猶傳禮習地
애한정은 이 물가에서 빛나는구나        愛閑亭子潤之邊
 
【지당음집(止堂吟什)】
 
 
 

9. 애한정에 올라(登愛閑亭)

송은헌(宋殷憲) 〔1876-1945〕
 
티끌 맑게 씻어 푸르고 높게 솟았고        淨洗塵埃聳碧穹
처마에 걸린 시문 단정하고 아름답네        楣端詞墨亘文虹
뭇산에 기운이 신령스런 곳과 열렸고        群山鍾氣靈區闢
맑은 물 근원은 넘실대는 물과 통하네        淸澗遡源活水通
정자에 올라 바로 가볍게 묻지를 말고        登臨非直偸聞意
강학은 각고를 공고히 하여야 한다네        講學必須刻苦工
사술의 어려움이 지금 더욱 힘드니        嗣述之難今愈倍
그대는 옳게 이해하는 공 버리지 말게        願君勿替肯搆功
 
【강와집(剛窩集)】
누정(樓亭) # 애한정
【향토】 괴산군 시문집 (2000)
• 침탄정(枕灘亭)
• 애한정(愛閑亭)
• 고산정(孤山亭)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향토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애한정 (1)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