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요점 정리
|
|
|
|
|
|
• 갈래 : 기행가사
|
|
|
|
|
|
• 작자 : 조우인
|
|
|
|
|
|
• 주제 : 관동 지방의 아름다운 자연 예찬과 현실에 대한 비판
|
|
|
|
|
|
• 형식 : 3·4조가 기본 율조(律調)이며, 모두 210구
|
|
|
|
2. 내용 연구
|
|
|
|
|
|
3. 구성
|
|
|
|
|
|
1단계 : 기사에서는 기행동기와 행장을짧게 노래
|
|
|
|
|
|
2단계 : 승사에서는 동대문을 출발하여 삼부폭- 적화담-칠담-고석정-단발령-금강산
|
|
|
|
|
|
3단계 : 전사에서는 내금강, 외금강을 빠짐없이 구경하고 해금강에서 동해안을따라 내려오면서 관동팔경을차례로 구형하는 모습을 읊음
|
|
|
|
|
|
4단계 : 결사에서는 천상 신선과의수작을 묘사.
|
|
|
|
4. 이해와 감상
|
|
|
|
|
|
조선 후기에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210구이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조를 이루고 2·3조, 2·4조, 4·4조 등도 보인다. ≪이재영언 蓬齋詠言≫에 전편이 서(序)와 함께 전하며, 서에는 ‘속관동별곡(續關東別曲)’이라고 되어 있고, ≪간례 簡禮≫에는 끝부분이 결여된 채로 전한다.
|
|
|
|
|
|
작자가 만년에 우연히 정철(鄭澈)의 〈관동별곡〉을 읽고 느낀 바 있어, 자기가 젊었을 때에 관동지방에서 노닐던 기억을 재생하여 이 가사를 지었다고 한다. 내용은 4단계로 짜여져 있다.
|
|
|
|
|
|
제1단계인 기사(起詞)에서는 기행 동기와 행장을 짧게 노래하였다. 제2단계인 승사(承詞)에서는 동대문을 출발하여 삼부폭(三釜瀑)-적화담(積禾潭)-칠담(漆潭)-고석정(高石亭)을 거쳐 단발령을 넘어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노정을 보여주었다.
|
|
|
|
|
|
제3단계인 전사(轉詞)에서는 내금강·외금강을 빠짐없이 구경하고 해금강에서 동해안을 따라 내려오면서 관동팔경을 차례로 구경하는 모습을 읊었다. 제4단계인 결사(結詞)에서는 천상 신선과의 수작을 묘사하였다.
|
|
|
|
|
|
작자는 아름다운 자연을 즐기면서도 현실에 대한 비판을 잊지 않은 것이 특색이다. 그리고 동시에 이 가사는 〈관동별곡〉의 속편임을 자처한 만큼, 〈관동별곡〉에 나오는 곳은 간략히 다루고, 정철이 가보지 못한 백천동(百川洞)·비로봉·구룡폭(九龍瀑) 등을 자랑스럽게 노래하고 있다.
|
|
|
|
|
|
|
≪참고문헌≫ 續關東別曲(高敬植, 慶熙文選 1, 1962), 曺友仁의 歌辭集 蓬齋詠言(金永萬, 語文學 10, 韓國語文學會, 1963).(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5. 심화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