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아아! 계장님에 이 방아 찧습니다.
|
|
|
|
|
|
이 방아 찌을 때에 방아 노래 내 부르마.
|
|
|
|
|
|
태고적혼돈하여 곡식이 없었더니,
|
|
|
|
|
|
신농씨 시험하여 쟁기 따비 만든 후에
|
|
|
|
|
|
후직씨땅을 보아 논밭을 분별하여
|
|
|
|
|
|
곡식이 비록 난들 찧어 멋지 안호겟는가?
|
|
|
|
|
|
심산에자란 나무 도끼로 베어내어
|
|
|
|
|
|
확 앉히고 고맞추어 걸어 내니 방아로다.
|
|
|
|
|
|
고리키를 내어 놓고 욱이거니 꺽으거니,
|
|
|
|
|
|
명주를 움키는 듯 백옥을 부수는듯
|
|
|
|
|
|
입립이 신고한 것 행여 한 데 떨구리라.
|
|
|
|
|
|
우물의 물을 길어일거니 씻거니.
|
|
|
|
|
|
솥 밑에 불을 때어 지어내니 밥이로다.
|
|
|
|
|
|
이 밥지어내니 먹을 이도 많고 많다.
|
|
|
|
|
|
구중 궁궐의 우리 임금 생각한 후
|
|
|
|
|
|
일국신민이 뉘 아니 먹겠는가?
|
|
|
|
|
|
먹고 놀겠느냐? 할 일은 다 있으니,
|
|
|
|
|
|
치국안민은 성상의 할 일이오.
|
|
|
|
|
|
섭리 음양은 재상의 할 일이오.
|
|
|
|
|
|
승류선화는 방백의 할 일이오.
|
|
|
|
|
|
면절 정쟁은 댁산의 할 일이오.
|
|
|
|
|
|
절층어모는 대간의 할 일이오.
|
|
|
|
|
|
권농 홍학은 수령의 할 일이오.
|
|
|
|
|
|
입효출세는 선비의 할 일이오.
|
|
|
|
|
|
무본 역색은 백성의 할 일이오.
|
|
|
|
|
|
방적주식은 부녀의 할 일이오.
|
|
|
|
|
|
친상 사장은 군사의 할 일이라
|
|
|
|
|
|
우리도이 방이 찧어내니 부모 공양하리라
|
|
|
|
|
|
|
|
|
1. 요점 정리
|
|
|
|
|
|
|
• 연대 : 미상
|
|
|
|
|
|
• 작자 : 미상(이황이라는 설도 있음)
|
|
|
|
|
|
• 형식 : 도덕가사
|
|
|
|
|
|
• 성격 : 교훈적
|
|
|
|
|
|
• 주제 : 방아찧기를 빌어서 치국안민(治國安民)으로부터 부모(父母)공양(供養)에이르기까지 제마다 할 일을 교훈
|
|
|
|
2. 내용 연구
|
|
|
|
|
3. 이해와 감상
|
|
|
|
|
|
'고금가곡(古今歌曲)'에 실려 전하는 가사로 내용은 방아찧기를 빌어서 치국안민으로부터 부모공양에 이르기까지 제마다 할 일을 교훈하는 도덕가이다.
|
|
|
|
4. 심화 자료
|
|
|
|
▣ 정보 :
학습 (보통)
|
|
▣ 참조목록
|
|
|
◈ 소유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