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가사∙개화가사
2019년 7월
2019년 7월 18일
2019년 7월 17일
백구사
농부가
2019년 7월 16일
노처녀가(老處女歌)
권주가
2019년 6월
2019년 6월 25일
교훈가
2019년 6월 24일
거사가
2019년 6월 23일
about 가사∙개화가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내방 가사(內房歌辭) # 가사 # 노처녀가
【학습】
(2019.07.16. 19:30) 
◈ 노처녀가(老處女歌)
작자·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가사. 규방가사로 보기도 하나 그 성격을 규정하기 어렵다.
목   차
[숨기기]
인간 세상 사람들아 이내 말씀 들어보소.
인간 만물 생긴 후에 금수초목 짝이 잇다.
인간에 생긴 남여 부부 자손 갖건마는
이내 팔자 험구즐손 날 가튼 이 또 잇는가.
백년을 다 사러야 삼만육천 날이로다.
혼자살이 천년 살면 정녀(貞女) 되야 만년 살가.
 
답답한 우리부모 가난한 좀(스런) 양반이
양반인체 도를 차려 처사(處事)가 불민(不敏)하여
괴망(怪妄)을 일삼으니 다만 한 딸 늘거 간다.
적막한 빈 방 안에 적료(寂寥)하게 홀로 안자
전전불매(輾轉不寐) 잠 못 이뤄 혼자 사설 드러 보소.
노망(老妄)한 우리 부모 날 길러 무엇하리.
죽도록 날 길러서 자바 쓸가 구어 쓸가.
인황씨(人皇氏) 적 생긴 남녀 복희씨(伏羲氏) 적 지은 가취(嫁娶)
 
인간배필 혼취(婚娶)함은 예로부터 잇건마는
어떤 처녀 팔자 조하 이십 전에 시집 간다.
남녀 자손 시집장가 떳떳한 일이건만
이 내 팔자 기험(崎險)하야 사십까지 처녀로다.
이런 줄을 아랏스면 처음 아니 나올 것을
월명 사창(紗窓) 긴긴밤에 침불안석(寢不安席) 잠 못 드러
적막한 빈방 안에 오락가락 다니면서
장래사 생각하니 더욱 답답 민망하다.
부친하나 반편이오 모친하나 숙맥불변(菽麥不辨)
날이 새면 내일이오 세(歲)가 쇠면 내년이라.
 
혼인 사설 전폐하고 가난 사설뿐이로다.
어대서 손님 오면 행여나 중매신가
아희 불러 힐문(詰問)한즉 풍헌(風憲) 약정(約正) 환자(還子) 재촉(催促)
어대서 편지 왓네 행혀나 청혼선가
아희다려 무러 보니 외삼촌의 부음이라.
애닯고 서른지고 이 내 간장을 어이할고.
앞집에 아우아기 발서 자손 보단 말가.
동편집 용골녀는 금명간에 시집가네.
금명간(今明間)에 무정세월 시집가서 풀렷마는
친구 없고 혈속 업서 위로하리 전혀 업고
우리 부모 무정하여 내 생각 전혀 없다.
부귀빈천 생각 말고 인물풍채 마땅커든
처녀 사십 나이 적소 혼인 거동 차려주오.
 
김동이도 상처(喪妻)하고 이동이도 기처(棄妻)로다.
중매할미 전혀 없네 날 차즈리 어이 없노.
감정암소 살져 잇고 봉사(奉祀) 전답(田畓) 갖건마는
사족(士族) 가문(家門) 가리면서 이대도록 늙히노니
연지분도 잇건마는 성적단장(成赤丹粧) 전폐하고
감정치마 흰 저구리 화경거울 앞에 노코
원산(遠山) 가튼 푸른 눈섭 세류(細柳) 가튼 가는 허리
아름답다 나의 자태 묘하도다 나의 거동
흐르는 이 세월에 앗가울손 나의 거동
거울다려 하는 말이 어화답답 내 팔자여.
갈 데 없다 나도 나도 쓸데없다 너도 너도
우리 부친 병조판서 한아바지 호조판서
우리 문벌 이러하니 풍속 좇기 어려워라.
 
어느덧 춘절 되니 초목군생(草木群盛) 다 즐기네.
두견화 만발하고 잔디 닢 속닢 난다.
사근 바자 재생(再生)하고 종달새 도두 뜬다.
춘풍야월(春風夜月) 세우시(細雨時)에 독숙공방 어이할고.
원수의 아희들아 그런 말 하지마라.
앞집에는 신랑 오고 뒷집에는 신부 가네 .
내 귀에 듯는 바는 늣길 일도 하고 만타.
녹양방초(綠楊芳草) 저믄 날에 해는 어이 수이가노
초로(草露) 가튼 우리 인생 표연(飄然)히 늘거가니
머리채는 옆에 끼고 다만 한숨뿐이로다
긴 밤에 짝이 없고 긴 날에 벗이 없다
안잣다가 누엇다가 다시금 생각하니
아마도 모진 목숨 죽지 못해 원수로다.
 
자료 출처 : 원문은 (林基中 編, 『역대가사문학전집』, 8권, 동서문화원, 1987) 에서 그대로 옮긴 것임.
 

 
 

1. 요점 정리

• 연대 : 조선 후기로 추정
• 작자 : 미상
• 형식 :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63행인 가사
• 주제 : 사대부의 체면과 가난 때문에 혼인의 기회를 놓친 노처녀의 슬픔.
 
 

2. 내용 연구

 
 

3. 이해와 감상

밤이면 적막한 빈 방에서 홀로 잠못 이루며 자신을 출가시키지 않은 부모를 원망한다. 낮이면 행여 중매라도 들어올까기다리는 마음을 실감나게 그리고 있다. 또한, 자신의 신랑감을 이저저리 꼽아보면서 출가한 후의 자신의 모습을 그려본다. 노처녀의 시집 가고픈심리와 허울 좋은 양반가의 시집 보낼 수 없는 상황에서 빚어지는 갈등이무척 해학적으로 그려졌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사대부층의 몰락상을생생하게 드러냈다. 주인공은 자신이 노처녀가 된 신세를 체념하거나순응하려 들지 않았다. 그것이 양반층(부모)의 무능과 체면에 기인함을오히려 통렬히 공격하고 적극적으로 항변한다. 가사 내용의 '답답한우리 부모', '가난한 좀양반', '불만한 처사', '괴망' 등의 표현이 그러하다. 이렇듯, 이 작품은 봉건왕조 사회의 신분적 질곡에 대하여 날카롭게 항의하면서도, 그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4. 심화 자료

또 다른 노처녀가(老處女歌)
 
옛적에 한 여자가 있느되 일신이 갖은 병신이라
나이사십이 넘도록 출가치 못하여
그저 처녀로 있으니 옥빈홍안(玉 紅顔)이스스로 늙어가고
설화부용(설화부용)이 공연히 없어지니 설움이 골수에맺히고
분함이 심중에 가득하여 미친 듯 취한 듯 좌불안석하여
세월을보내더니 일일(一日)은 가만히 탄식 왈(曰)
하늘이 음양을 내시매다 각기 정함이 있거늘
나는 어찌하여 이러한고 섧기도 측량(測量)없고
분하기도그지없네 이처로 방황하더니
문득 노래를 지어 화창(話唱)하니 갈왔으되
어와내 몸이여 섧고도 분한지고 이 설움을 어이하리
인간만사 설운 중에이내 설움 같을쏜가
설운 말 하자 하니 부끄럽기 측량없고
분한말 하자 하니 가슴 답답 그 뉘 알리
남 모르는 이런 설움 천지간에또 있는가
밥이 없어 설워할까 옷이 없어 설워할까
이 설움을어이 풀리 부모님도 야속하고
친척들도 무정하다 내 본시 둘째딸로
쓸데없다하려니와 내 나이를 헤어보니
오십줄에 들었구나 먼저는 우리 형님
십구세에 시집가고 셋째의 아우년은
이십에 서방 맞아 태평으로 지내는데
불쌍한 이내 몸은 어찌 그리 이러한고
어느덧 늙어지고 츠릉군이되었구나
시집이 어떠한지 서방맛이 어떠한지
생각하면 싱숭생숭쓴지 단지 내 몰라라
내 비록 병신이나 남과 같이 못할쏘냐
내얼굴 얽다 마소 얽은 궁게 슬기 들고
내 얼굴 검다 마소 분칠하면아니흴까
한 편 눈이 멀었으나 한 편 눈은 밝아 있네
바늘귀를능히 꿰니 보선볼을 못 박으며
귀먹다 나무라나 크게 하면 알아듣고
천둥소리능히 듣네
오른손으로 밥 먹으니 왼손 하여 무엇 할꼬
왼편 다리병신이나 뒷간 출입 능히 하고
콧구멍이 맥맥하나 내음새는 일쑤맡네
입시음이 푸르기는 연지빛을 발라보세
엉덩뼈가 너르기는해산 잘할 장본(張本)이오
목이 비록 옴쳤으나 만져보면 없을 쏜가
내얼굴 볼작시면
곱든 비록 아니하나 일등 수모(手母) 불러다가
헌거롭게단장하면 남대되 맞는 서방
낸들 설마 못 맞을까 얼굴 모양 그만두고
시속행실 으뜸이니 내 본시 총명키로
무슨 노릇 못할소냐 기역자(字) 나냐 자를
십년만에 깨쳐내니 효행록 열녀전을
무수히숙독하매 모를 행실 바이 없고
구고(舅姑)이 모인 곳에 방귀 뀌어본일 없고
밥주걱 엎어놓아 이를 죽여본 일 없네
장독소래 벗겨내어뒷물 그릇 한 일 없고
양치대를 집어내어 추목하여본 일 없네
이내행실 이만하면 어디 가서 못 살쏜가
행실 자랑 이만하고 재조 자랑들어보소
도포 짓는 수품(手品)알고
홑옷이며 핫옷이며 누비 상침모를쏜가
세 폭 붙이 홑이불을 삼일만에 맞춰내고
행주치마 지어낼제 다시 고쳐본 일 없네
함박쪽박 깨어지면 솔뿌리로 기워내고
버선본를못 얻으면 닛뷔자로 제일이오
보자(褓子)를 지을 제는 안반(案盤)놓고말아내니
슬기가 이만하고 재조가 이만하면
음식 숙설(熟設) 못할쏜가
수수전병부칠 제는 외꼭지를 잊지 말며
상치쌈을 먹을 제는 고추장이 제일이오
청국장을담을 제는 묵은 콩이 맛이 없네
청대콩을 삶지 말고 모닥불에 구워먹소
음식묘리(飮食妙理) 이만 알면 봉제서(奉祭祀)를 못할쏜가
내얼굴 이만하고 내 행실 이만하면
무슨 일이 막힐쏜가
남이라별 수 있고 인물인들 별날쏜가
남대되 맞는 서방 내 홀로 못 맞으니
어찌아니 설울쏜가
서방만 얻었으면 뒤 거두기 잘 못할까
내 모양볼작시면 어른인지 아해런지
바람 맞은 병인(病人)인지 광객(狂客)인지취객인지
열없기도 그지없고 부끄럽기 측량없네
어와 설운지고내 설움 어이할꼬
뒤 귀밑에 흰 털 나고 이마 위에 살 잡히니
운빈화안(雲 花顔)이어느덧에 어데 가고 속절없이 되었구나
긴 한숨에 자른 한숨
먹는것도 귀치않고 입는 것도 좋지 않다
어른인 체하자 하니 머리 땋은어른 없고
내인(內人)이라 하자 하니 귀밑머리 그저 있네
얼씨고좋을씨고 우리 형님 혼인할 제
숙수(熟手) 앉혀 음식하며 지의(地衣) 깔고 차일 치며
모란병풍 둘러치고 교주상에 와룡촉대(臥龍燭臺) 세워놓고
부용향(芙蓉香) 피우면서 나주불 질러놓고
신랑 온다왁자하고 전안(奠雁)한다 초례(醮禮)한다
왼 집안이 들빌 적에 빈방안에 혼자 있어
창틈으로 여어보니 신랑의 풍신 좋고
사모풍대더욱 좋다 형님도 저러하니
나도 아니 저러하랴 차례로 할작시면
내 아니 둘째런가 형님을 치웠으니
나도 저러할 것이라 이처로정한 마음
그대로 아니 되어 괴악(怪惡)한 아우년이
먼저 출가한단말가 꿈결에나 생각하며
의심이나 있을쏜가 도래떡이 안팎 없고
후생목(後生木)이우뚝하다
원수로 온 중매어미 날은 아니 치워주고
사주단자(四柱單子) 의양단자(衣樣單子) 오락가락 하올적에
내 비록 미련하나 눈치조차없을쏜가
용심(用心)이 절로 나고 화증(火症)이 복발(復發)한다
풀쳐생각 잠깐 하면 선하품이 절로 난다
만사에 무심하니
앉으면 눕기좋고 누으면 일기 싫다
손님 보기 부끄럽고 일가 보기 더욱 싫다
이신세를 어이할꼬 살고 싶은 뜻이 없네
간수 먹고 죽자한들 목이 쓰려어찌 먹고
비상 먹고 죽자한들 내음새를 어찌할꼬
부모유체(父母遺體)난처하다이런 생각 저런 생각
빈방 중에 혼자 앉아 온가지로 생각하나
입맛만없어지고 인물만 초췌하다
생각을 마자 하나 스스로 먼저 나네
곤충도짝이 있고 금수도 자웅(雌雄)있고
헌 짚신도 짝이 있어 음양의 배합법을
낸들 아니 모를쏜가 부모님도 보기 싫고
형님도 보기 싫고 아우년도보기 싫다
날다려 이른 말이 불상하다 하는 소리
더구나 듣기싫고 눈물만 솟아나네
내 신세 이러하고 내 마음 이러한들
뉘라서걱정하며 뉘라서 염려하리
이런 생각 마자 하고 혼자 앉아 맹세하여
마음을 활짝 풀고 잠이나 자자하니
무슨 잠이 차마 오며 자고깨면 원통하다
아무 사람 만나볼 제 헛웃음이 절로 나고
무안하여돌아서면 긴 한숨이 절로 나네
웃지 말고 새침하면 남 보기에 매몰하고
게정풀이 하자 하면 심술궂은 사람되네
아무리 생각하나 이런팔자 또 있는가
이리 하기 더 어렵고 저리 하기 더 어렵다
아주죽어 잊자함이 한두 번이 아니로되
목숨이 길었던지 무슨 낙을 보렸던지
날이가고 달이 가매 갈수록 설운 심사
어찌하고 어찌하리 베개를 탁 던지고
입은채 드러누워 옷가슴을 활짝 열고
가슴을 두드리며 답답하고 답답하다
이마음을 어찌할꼬 미친 마음 절로 난다
대체로 생각하면 내가 결단못할쏜가
부모동생 믿다가는 서방맞이 망연(茫然)하다
오늘 밤이어서 가고 내일 아침 돌아오면
중매파(仲媒婆)를 불러다가기운 조작으로 표차로이
구혼하면 어찌 아니 못될쏜가
이처로생각하니 없던 웃음 절로 난다
음식 먹고 체한 병에 정기산(正氣散)을먹은 듯이
급히 앓는 곽란병( 亂病)에 청심환을 먹은 듯이
화짝일어 앉으면서 돌통대를 입에 물고
끄덕이며 궁리하되
내 서방을내 갈히지 남다려 부탁할까
내 어찌 미련하여 이 의사(意思)르 못냈던고
만일 벌써 깨쳤더면 이 모양이 되었을까
청각(聽覺)먹고생각하니 아주 쉬운 일이로다
적은 염치 돌아보면 어느 년(年)에출가할까
고름 맺고 내기하며 손바닥에 침을 뱉아
맹세하고 이른말이
내 팔자에 탕인 서방 어떤 사람 몫에 질꼬
쇠침이나 하여보세알고지고 알고지고
어서 바삐 알고지고 내 서방이 뉘가 되며
내낭군이 뉘가 될까 천장배필(天定配匹) 있었으면
제라서 마다 한들내 고집 내 억지로
우김성에 아니 들까 소문에도 들었으니
내눈에 아니 들까 저 건너 김도령이
날과 서로 연갑(年甲)이오 뒤 골목에권수재(秀才)는
내 나보단 더 한지라 인물 좋고 줄기차니
수망(首望)에는김도령이오 부망(副望)에는 권수재라
각각 성명 써가지고 쇠침통을흔들면서
손 고초와 비는 말이 모년 모월 모일 야(夜)에
나이사십 넘은 노처녀는 엎디어 묻잡나니
곽곽선생 이순풍(李淳風)과소강절(邵康節) 원천강(袁天剛)은
신지영(神祗靈)하오시니 감이순통(感而順通)하옵소서
후취(後娶)에참여할까 삼취(三娶)에 참여할까
김도령이 배필 될까 권수재가 배필될까
내 일로 되게 하여 신통함을 뵈옵소서
흔들흔들 높이 들어소침 하나 빼어내니
수망(首望)치던 김도령이 첫가락에 나단말가
얼씨고좋을씨고 이야 아니 무던하냐
평생 소원 이뤘구나 옳다 옳다 이제는
큰 소리를 하여보자 형님 불워 쓸데없고
아우년 저만 것이 나를어이 숭을 보랴
큰 기침 절로 나고 어깨춤이 절로 난다
누워시락앉아시락 지게문을 자주 열며
어찌 오늘 더디 새노 오늘 밤은 긺도길다
역정스레 누으면서 기지개를 길게 켜고
이리저리 돌아누으며이마 위에 손을 얹고
정신을 진정하니 잠간 사이 잠이 온다
평생에맺힌 인연 오늘 밤 춘몽중(春夢中)에
혼인이 되었구나
앞뜰에차일 치고 뒷뜰에 숙수 앉고
화문방석(花紋方席) 만화방석(滿花方席)
안팎없이 포설(鋪設)하고 일가권속 가득 모여
가화(假花) 꽃은 다담상이이리저리 오락가락
형님이며 아주미며 아우년 조카붙이
긴 담장자른 담장 거룩하게 모였으니
일기는 화창하고 향내는 촉비(觸鼻)한다
문전이요란하며 신랑을 맞아들 제
위의(威儀)도 거룩하다
차일 밑에전안(奠雁)하고 초례하러 들어올 제
내 몸을 굽어보니 어이 그리잘났던고
큰머리 떠는 잠(簪)에 준주투심 갖추오고
귀의 고리용잠(龍簪)이며
속속들이 비단옷과 진홍 대단치마 입고
옷고름에노리개를 어찌 이루 다 이르랴
용문대단(龍紋大緞) 활옷 입고 홍선(紅扇)을 손에 쥐고
수모와 중매어미 좌우에 옹위하여
신랑을 맞을적에 어찌 이리 거룩한고
초례교배(醮禮交拜) 마친 후에 동뢰연(同牢宴) 합환주로
백년기약 더욱 좋다
감은 눈을 잠깐 뜨고 신랑을 살펴보니
수망치던 김도령이 날과 과연 배필이다
내 점이 영검하여 이처로 만났는가
하늘이유의하여 내게로 보내신가
이처로 노닐다가 짓독에 바람 들어
인연을못 일우고 개 소리에 놀라 깨니
침상일몽(寢上一夢)이라
심신이황홀하여 섬거이 앉아보니
등불은 희미하고 월색(月色)은 만정(滿庭)한데
원근의계명성(鷄鳴聲)은 새벽을 재촉하고
창밖에 개 소리는 단잠을 깨는구나
아까울사이내 꿈을 다시 얻어보리
꿈을 상시 삼고 그 모양 상시 삼아
혼인이되려무나
미친증이 대발(大發)하여 벌떡 일어 앉으면서
입은 치마다시 찾고 신은 버선 또 찾으며
방춧돌을 옆에 끼고 짖는 개를 때릴듯이
와당퉁탕 냅들 적에 업더지락 곱더지락
바람벽에 이마 박고문지방에 코를 깨며
면경(面鏡) 석경(石鏡) 성적함(成赤函)을 낱낱이다 깨치고
한숨 지며 하는 말이
아깝고 아까울사 이내 꿈 아까울사
눈에암암 귀에 쟁쟁
그 모양 그 거동을 어찌 다시 하여보리
남이 알까부끄리나 안 슬픈 일 하여보자
홍두깨에 자를 매어 갓 씌우고 옷입히니
사람 모양 거의 같다 쓰다듬어 세워놓고
새 저고리 긴치마를 호기있게 떨쳐 입고
머리위에 팔을 들어 제법(制法)으로 절을하니
눈물이 종행(縱行)하여 입은 치마 다 적시고
한숨이 복발하여곡성이 날 듯하다
마음을 강잉(强仍)하여 가만히 헤어보니
가련하고불쌍하다 이런 모양 이 거동을
신령(神靈)은 알 것이니 지성이면감천이라
부모들도 의논하고 동생들도 의논하여
김도령과 의혼(議婚)하니첫마디에 되는구나
혼인 택일 가까우니 엉덩춤이 절로 난다
주먹을불근 쥐고 종종걸음 보살피며
삽살개 귀에 대고 넌지시 이른 말이
나도이제 시집간다 네가내 꿈을 깨던 날에
원수같이 보았더니 오늘이야너를 보니
이별할 날 멀지 않고 밥 줄 사람 나뿐이랴
이처로 말한후에 혼일(婚日)이 다다르니
신부의 칠보단장 꿈과 같이 거룩하고
신랑의사모풍대 더구나 보기 좋다
전안초례 마친 후에 방친영(房親迎) 더욱좋네
신랑의 동탕(動蕩)함과 신부의 아남함이
차등(差等)이 없었으니
천장한배필인 줄 오늘이야 알겠구나
이렇듯이 쉬운 일을 어찌하여 지완(遲緩)턴고
신방에금침 펴고 부부 서로 동침하니
원앙은 녹수에 놀고 비취는 연리지(連理枝)에길들임 같으니
평생 소원 다 풀리고 온갓 시름 바히 없네
이전에있던 새암 이제록 생각하니
도리어 춘몽 같고 내가 설마 그러하랴
이제는기탄없다 먹은 귀 밝아지고
병신 팔을 능히 쓰니 아니 희한한가
혼인한지 십 삭 만에 옥동자를 순산하니
쌍태(雙胎)를 어이 알리 즐겁기측량없네
개개이 영준(英俊)이오 문재(文才)가 비상하다
부부의금슬 좋고 자손이 만당(滿堂)하며
가산(家産)이 부요(富饒)하고 공명(功名)이이음차니
이 아니 무던한가
이 말이 가장 우습고 희한하기로 기록하노라
 
 

5. 이해와 감상

작자·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가사. 규방가사로 보기도 하나 그 성격을 규정하기 어렵다. 이 작품은 이본이 여럿 있는데, 시집 못간 미모의 노처녀가 토로하는 신세한탄을 내용으로 하는 계열과, 추녀이며 갖은 병신인 노처녀가 결국 시집을 가게 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열의 두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편의상, 앞의 계열을 노처녀가(1), 뒤의 계열을 노처녀가(2)라고 부른다.
 
〔노처녀가(1)
 
노처녀가(1)은 내방가사(內房歌辭)의 분포지인 안동·청송·상주·경주 등지에 필사본으로 전하며, 전라북도 익산에서도 발견되었다. 한인석(韓仁錫)이 엮은 ≪조선신구잡가 朝鮮新舊雜歌≫에도 수록된 것으로 보아 다른 지역에도 널리 전파되었을 듯하다. 이 계열에 속한 이본들은 내용과 형식에 큰 차이가 없으며,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63행이다.
집안의 경제적인 곤궁과 양반가(兩班家)의 체면이 빚어낸 갈등 때문에 혼인의 기회를 놓쳐버린 노처녀가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내용으로 노처녀가 겪는 슬픔과 한스러움을 자탄의 어법으로 토로하고 있다.
작품의 화자는 나이 사십이 넘은 노처녀인데, 밤마다 적막한 빈 방에서 잠 못 이루며, 자신을 출가시키지 않는 부모를 원망한다. 낮이면 행여 중매라도 들어올까 기다리는 마음을 실감나게 표현했다. 또한 자신의 신랑감을 이리저리 꼽아보면서 출가한 뒤의 모습을 머리 속에 그려보기도 한다. 노처녀로서 시집가고픈 심리와 양반가(兩班家)이기에 아무 데나 시집갈 수 없는 처지 사이에서 빚어지는 갈등을 해학적으로 드러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양반층의 몰락상을 생생히 반영한다. 화자는 자신이 노처녀가 된 신세를 체념하거나 순응하려 들지 않고, 그것이 양반층(부모)의 무능과 체면 때문이라고 하면서, 오히려 통렬히 공격하고 적극적으로 항변한다. ‘답답한 우리 부모 가난한 좀양반이/양반인체 된체하고 처사가 불민하야/괴망을 일삼으니 과년한 딸 늙어간다.’등의 표현이 그러하다.
그러나 이 작품은 봉건왕조 사회의 신분적 질곡에 대하여 날카롭게 항의하면서도 그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지는 못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노처녀가(2)
 
노처녀가(2)는 국문 고소설집인 ≪삼설기 三說記≫ 권3에 실려있다. 가사형식을 취했으나 작품의 앞뒤에 편집자의 목소리를 내는 이질적 서술자가 개입하고, 흥미를 끌 만한 이야기의 면모를 갖추어 소설의 경향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노처녀가(1)의 경우와는 달리 화자인 노처녀의 신분이 드러나지 않는다. 화자는 나이가 오십이 다 되었으며, 갖은 병신인 추녀(醜女)로 설정되어 있다. 얼굴이 얽고, 귀가 먹고, 눈은 애꾸요, 왼손과 왼쪽 다리는 불구인데 밤낮으로 슬픈 노래를 읊조리다가, 하루는 건넛집에 사는 김도령과 혼인하여 행복하게 사는 꿈을 꾸었다.
개 짖는 소리에 놀라 깬 노처녀는 자신의 가엾은 처지를 한탄하며 홍두깨에다 갓과 옷을 입혀 모의 결혼식을 올리는 등, 파행적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실제로 김도령 집에서 혼인 제의가 들어오고 결혼해서 기쁨을 누리니 그 동안의 시름은 간 데 없고, 허물을 벗어 흉한 몰골을 모두 벗어 버렸다. 그 뒤 쌍둥이 옥동자를 낳아 자손이 번창하고 가산이 풍족한 가운데 부귀공명을 오래도록 누렸다는 내용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이 불구자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주인공은 불구의 상황을 그대로 용인하지 않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내며 끈질긴 노력 끝에 노처녀 신세를 면하게 된다. 이로써 육체적 불구와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노처녀가(2)는 이처럼 이야기 구조를 지니면서 서사적 반전(反轉)을 보이고 있어 한층 서사성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삼설기≫의 편자에 의하여 이 작품이 소설처럼 취급되고 있는 점 또한 주목된다. 다른 가사 작품에 비해 노처녀가(2)가 이야기의 흥미성과 구성력이 높다는 점에서 소설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문학사적 의의〕
 
작품의 이러한 성격은 조선 후기에 서사적 경향을 보이는 가사 작품들이 점차 증가했다는 점에 비추어보면, 가사가 소설과 마찬가지로 읽을 거리를 원하는 수용자층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독서물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조선 전기에는 사대부계층이 자신들의 이념과 세계관을 서술하는데 가사장르를 용이하게 활용했다고 볼 때, 후기 가사의 이러한 성격 변모는 가사장르의 성격이 후기에 오면서 오히려 사대부 이념을 극복하려 했던 소설 장르와 동반적인 장르로 전환하였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노처녀가〉(1), (2) 모두 신분의 질곡과 봉건 사회의 모순에 날카롭게 항의하면서도 그것에서 완전히 해방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는 점은 이 작품이 가사라는 장르의 관습에 강하게 얽매어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朝鮮新舊雜歌(韓仁錫 編, 平壤 宋基和商店, 1914), 閨房歌辭 Ⅰ(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79), 古小說坊刻本全集 Ⅰ(金東旭 編, 延世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73), 老處女歌에 關한 硏究(林憲道, 李崇寧博士頌壽紀念論叢, 1968), 朝鮮後期詩歌에 나타난 庶民的 美意識(金學成, 韓國人의 生活意識과 民衆藝術,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83).(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내방 가사(內房歌辭) # 가사 # 노처녀가
【학습】 가사∙개화가사
•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 노처녀가(老處女歌)
• 노인가(老人歌)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가사 (6)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