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1. 요점 정리
|
|
|
|
2. 내용 연구
|
|
|
|
3. 이해와 감상
|
|
|
|
|
|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1,600여 구의 장편으로 되어 있으며, 작품의 율조는 다소 조잡한 편이나 그 만큼 사설적이며, 분량은 2음보 1구로 헤아려 1,611구나 되어 현전 금강산계 기행가사 중에서는 가장 길다.
|
|
|
|
|
|
제작연대는 작품 앞부분에서 “기미년 하사월…… 추석 후 제 삼일에 가벼운 행장으로……”라는 내용으로 보아 1859년(철종 10) 기미년으로 짐작된다. 기행의 동기는 관동팔경과 금강산을 찾아다니며 풍류를 즐기기 위함이다.
|
|
|
|
|
|
작품의 구조와 노정은 등정의 동기와 출발을 적은 서사, 목적지까지의 노정, 목적지인 내·외금강산의 구경, 귀로의 여정과 창작 동기를 적은 결사 등 4단계로 짜여 있다.
|
|
|
|
|
|
내용에 있어서는 노정이 정선-삼척-두타산-강릉-낙산사-계조굴-신흥사-와선대-청간정-명랑호-고성읍-해금강-삼일포-통천읍-총석정-천도-고성-외금강-내금강-장안사-만천교로 되어 있다.
|
|
|
|
|
|
그런데 다른 금강산계 가사들의 그것과 역순이 되며, 특히 〈삼화사연기설화 三和寺緣起說話〉·〈천후산설화 天候山說話〉·〈자마석설화 自磨石說話〉등 많은 설화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
|
|
|
|
≪참고문헌≫ 韓國紀行文學硏究(崔康賢, 一志社, 1982).(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4. 심화 자료
|
|
|
|
▣ 정보 :
학습 (보통)
|
|
▣ 참조목록
|
|
|
◈ 소유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