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가사∙개화가사
2019년 7월
2019년 7월 18일
연행가(燕行歌)
2019년 7월 17일
백구사
농부가
2019년 7월 16일
권주가
2019년 6월
2019년 6월 25일
교훈가
2019년 6월 24일
거사가
2019년 6월 23일
about 가사∙개화가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1866년 가사(歌辭) 연행가(燕行歌) 홍순학(洪淳學) # 기행가사 # 병인연행가 # 북원록 # 연행록
【학습】
(2019.07.18. 11:33) 
◈ 연행가(燕行歌)
1866년(고종 3) 가례주청사(嘉禮奏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온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장편의 기행가사(紀行歌辭).
목   차
[숨기기]
아아, 하늘과 땅 사이에 남자 되기가 쉽지 않다.
변방에 위치한 나라에사는 내가 중국 보기를 원했더니,
고종 3년 3월에 가례 책봉이 되오시니,
국가의 큰 경사요 백성의 복이라.
청나라에 청원하기 위해 세명의 사신을 뽑아 내시니,
정사에는 우의정 유후조요, 부사에는예조 시랑 서당보로다.
일행 중에 어사인 서장관은 직책이 소중하구나.
겸직으로 사복 판사와 어영 낭청을 하였으니,
이 때의 나이가이십오 세라 이른 출세가 장하구나.
 
(중략) 줄거리
 
서울을 떠나 모화관, 무악재, 홍제원, 녹번, 박석 구파발, 창릉내, 고양, 파주목, 임진강, 진서루, 장단부, 송도, 만월대, 선죽교, 청석관, 금천, 청단역, 돌여울, 평산부, 곡산부, 중화참, 총수관, 서흥부, 검수관, 봉산군, 사인암, 황주, 월파루, 중화부, 이천역, 대동역, 평양에 이르며, 평양에서 연광정, 부벽루, 대동문, 청류벽, 전금문, 영명사, 칠성문, 기자문 등을 돌아본 뒤, 순안현, 숙천부, 안주성, 만경루, 백상루, 청천강, 박천, 가산, 샛별령, 납청정, 정주성, 북장대, 곽산군, 선천부, 의검정, 동림진, 차련관, 철산, 서림진, 양책관, 용천, 청류암, 석계교, 소곶관 등을 거쳐 의주에 들어가 취승당과 통군정을구경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압록강을 건너기까지 고국의 산천과 거기에얽힌 역사적 사실들을 사실적이면서도 정감있게 묘사하였다.
 
여름 5월 7일이 압록강을 건너는 날짜로 정해졌네.
가지고 갈 물건을점검하고 여행 장비를 잘 정돈하여
압록강가에 다다르니 송객정이여기로구나.
 
의주부윤이 나와 앉아서 다담상을 차려 놓고,
세 사신을 전별하는데구슬프기도 한이 없다.
한 잔 한 잔 또 한잔으로 서로 앉아 권고하고,
상사별곡 한 곡조를 차마 듣기 어려워라.
 
장계를봉투에 넣어 봉한 후에 떨뜨리고 일어나서,
나라를 떠나는 감회가한이 없어서 억제하기 어려운 중
여인의 꽃다운 눈물이 마음 속의회포를 더하게 하는구나.
육인교를 물려 놓으니 장독교를 대령하고,
가마 앞 통인이 하직하니 일산과 말고삐만 있고,
삼공형과 급창이물러서니 마두와 서자만 남았구나.
 
한조각 자그마한 배를 저어 점점 멀리 떠서 가니,
푸른 봉우리는 겹겹으로쌓여 나를 보고 즐기는 듯,
흰구름은 멀리 아득하고 햇살의 빛깔이참담하다.
어디에도 비하지 못할 이내 마음 오늘이 무슨 날인가?
세상에 태어난 지 25년 부모님을 모시고 자라나서
평소에 부모님곁을 떠나서 오래 있어 본 적이 없다.
반년이나 어찌할 것인가? 부모님 곁을 떠나는 마음이 어려우며,
경기도 경계를 백 리 밖으로벗어나 다녀 본 일이 없다.
허약하고 약한 기질에 만 리 여행길이걱정일세,
한 줄기 압록강이 두 나라의 경계를 나누었으니
돌아보고, 돌아보니 우리 나라 다시 보자.
 
구련성에다다라서 한 고개를 넘어서니
아까 보던 통군정이 그림자도 아니보이고,
조금 보이던 백마산이 봉우리도 아니 보인다.
백여리나 되는 사람 없는 곳에 인적이 고요하다.
위험한 만 겹의 산중빽빽이 우거진 나무들이며
적막한 새 소리는 곳곳에 구슬프고,
한가한들의 꽃은 누구를 위해 피었느냐?
아깝도다. 이러한 꽃 두 나라가버린 땅에,
사람도 아니 살고 논밭도 없다 하되,
곳곳이 깊은골짜기에서 닭과 개 소리가 들리는 듯,
끝없이 이어지는 험한 산세범과 표범에게 해를 입을까 겁이 난다.
 
밥짓는 곳에서 상을 차려 점심을 가져오니,
맨 땅에 내려 앉아서 점심을먹어 보자.
아까까지 귀하던 몸이 어이하여 갑자기 천해져서,
일등명창이 오락가락하던 수청하던 기생은 어디 가고,
상에 가득한 좋은반찬이나 곁들인 반찬도 없지마는,
건량청에서 준 밥 한 그릇을이렇듯이 달게 먹으니,
가엾게 되었지만 어찌 아니 우스우랴.
 
금석산을지나가니 온정평이 여기로구나,
날의 형세가 황혼이 되니 한데서잠자리를 정하자.
세 사신이 자는 곳은 군사들 쓰는 장막을 높이치고,
삿자리를 둘러 막아 임시로 꾸민 방처럼 하였으되,
역관이며비장 방장 불쌍하여 못 보겠다.
사방에서 외풍이 들이부니 밤 지니기가어렵도다.
군막이라고 말은 하지만 무명 한 겹으로 가렸으니,
오히려이번 길은 오뉴월 더운 때라,
하룻밤 지내기가 과히 어렵지 아니하나,
동지섣달 긴긴 밤에 바람과 눈이 들이칠 때
그 고생이 어떠하랴? 참혹하다고들 하데그려,
곳곳에 피운 화토불은 하인들이 들러앉고,
밤새도록 나팔 소리를 냄은 짐승이 올까 염려함이로다.
 
날이밝기를 기다려서 책문으로 향해 가니,
나무로 울타리를 하고 문하나를 열어 놓고
봉황성의 장이 나와 앉아 사람과 말을 점검하며,
차례로 들어오니 묻고 경계함이 엄숙하고 철저하다.
 
녹색창과 붉은 문의 여염집은 오색이 영롱하고,
화려한 집과 채색한난간의 시가지는 만물이 번화하다.
집집마다 만주 사람들은 길에나와 구경하니,
옷차림이 괴이하여 처음 보기에 놀랍도다.
머리는앞을 깎아 뒤만 땋아 늘어뜨려
당사실로 댕기를 드리고 마래기라는모자를 눌러 쓰며,
일 년 삼백 육십 일에 양치질 한 번도 아니하여
이빨은 황금빛이요 손톱은 다섯 치나 된다.
 
검은빛의 저고리는 깃이 없이 지었으되,
옷고름은 아니 달고 단추 달아입었으며,
검푸른 바지와 짙은 남빛 속옷 허리 띠로 눌러 매고,
두 다리에 행전 모양으로 맨 것을 타오구라 이름하여,
발목에서오금까지 가뜬하게 들이끼우고
깃 없는 푸른 두루마기 단추가 여럿이요,
좁은 소매가 손등을 덮어 손이 겨우 드나들고,
두루마기 위에덧저고리 입고 무릎 위에는 슬갑이라.
 
곰방대와옥 물뿌리 담배 넣는 주머니에,
부시까지 들고 뒷짐을 지는 것이버릇이라.
사람마다 그 모양이 천만 사람이 한 모습이라.
소국사람 온다 하고 저희끼리 수군대며
무엇이라고 인사 하나 한 마디도모르겠다.
 
계집년들볼 만하다. 그 모양은 어떻더냐.
머리만 치거슬러 가르마는 아니타고,
뒤통수에 모아다가 맵시 있게 장식하고,
오색으로 만든꽃은 사면으로 꽂았으며,
도화색 분으로 단장하여 반쯤 취한 모양같이
불그스레 고운 태도 눈썹 치장을 하였고,
귀밑머리 고이 끼고붓으로 그렸으니,
입술 아래 연지빛은 붉은 입술이 분명하고,
귓방울뚫은 구멍에 귀고리를 달았으며,
 
의복을볼 것 같으면 사나이 제도로되,
다홍빛 바지에다 푸른빛 저고리요,
연두색 두루마기를 발등까지 길게 지어,
목도리며 소매 끝동에꽃무늬로 수를 놓고,
품이 너르고 소매가 넓어 풍채 좋게 떨쳐 입고,
 
고운손의 금가락지는 한 짝만 넓적하고
손목에 낀 옥고리는 굵게 사려서둥글구나,
손톱을 길게 길러 한 치만큼 길렀으며,
 
발맵시를 볼 것 같으면 수를 놓은 당혜를 신었으며,
청나라 여자는발이 커서 남자의 발같이 생겼으나,
한족의 여자는 발이 작아 두치쯤 되는 것을
비단으로 꼭 동이고 신 뒤축에 굽을 달아
뒤뚱뒤뚱가는 모양이 넘어질까 위태롭다.
그렇다고 웃지 마라. 명나라가남긴 제도
져 계집의 발 한 가지가 지금까지 볼 것 있다.
 
아이들도나와 구경하느라 옹기종기 몰려 서 있다.
이삼 세 먹은 아이들은어른 년이 추켜 안고
오륙 세 되는 것은 앞뒤로 이끈다.
머리는다 깎아다가 좌우로 한 줌씩
뾰족하니 땋았으되 붉은 당사로 댕기를드려
복주감투 마래기 모자에 채색 비단 수를 놓아
검은 공단선을 둘러 붉은 단추로 꼭지하고,
바지와 저고리도 오색으로 무늬를놓고,
옷소매 아래 배라기라고 하는 것은 보자기에 끈을 달아
모가지에걸었으니 배꼽 가린 꼴이로구나.
 
십여세 처녀들은 대문 밖에 나와 서 있네.
머리는 아니 깎고 한 편 옆에모아다가
쪽지는 머리 모양처럼 여러 번 접어서 잡아매고,
꽃가지를꽂았으니 풍속이 그러하다.
호호 백발 늙은 년도 머리마다 조화(造花)로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담배들을 즐기는구나.
팔구 세 이하의 아이들도곰방대를 물었으며,
 
묵을곳이라고 찾아가니 집 제도가 우습도다.
보 다섯 줄로 된 집 두칸 반에 벽돌을 곱게 깔고,
반 칸씩 캉이라는 걸 지어 좌우로 마주보게 하니,
캉의 모양이 어떻더냐. 캉 제도를 못 보았으면
우리나라의 부뚜막이 그것과 거의 흡사하여,
그 밑에 구들을 놓아 불을땔 수 있게 마련하고,
그 위에 자리 펴고 밤이면 누워 자며
낮이면손님 접대 걸터앉기에 매우 좋고,
기름칠을 한 완자창과 회를 바른벽돌담은
미천한 오랑캐 주제에 집치레가 지나치구나.
 
때도없이 먹는 밥은 기장, 좁쌀, 수수쌀을
푹 삶아 내어 냉수에 채워두고,
끈끈한 기운은 다 빠져서 아무 맛도 없는 것을,
남녀노소 식구대로 부모 형제 처자 권속
한 상에 둘러앉아, 한 그릇씩밥을 떠서
젓가락으로 긁어 먹고, 부족하면 더 떠다 먹는다.
반찬이라하는 것은 돼지 기름과 날파 나물,
큰 독에 담근 장은 소금물에메주 넣고,
날마다 가끔가끔 막대기로 휘저으니,
죽 같은 된장물을장이라고 떠나 먹네
 
오랑캐의풍속들이 가축치기를 숭상하여,
잘 달리는 좋은 말들이며 범 같은큰 노새를
굴레도 씌우지 않고 재갈도 물리지 않은 채
백여필씩 앞세우고 한 사람이 몰아가되,
구유에 들어서서 달래는 것못 보겠고,
양이며 돼지를 수백 마리 떼를 지어
조그마한 아이놈이한둘이 몰아가되,
대가리를 한데 모아 흩어지지 아니하고,
집채같은 황소라도 코 안 뚫고 잘 부리며,
조그마한 당나귀도 맷돌질을능히 하고,
댓닭, 장닭, 오리, 거위, 개, 고양이까지 기르며,
발바리라하는 개는 계집년들이 품고 자네.
심지어 초롱 속에 온갖 새를 넣었으니,
앵무새며 지빠귀는 사람의 말을 능히 한다.
 
어린아이기르는 법은 풍속이 괴상하다.
작은 상자에 줄을 매어 그네 매듯추켜 달고,
우는 아이 젖을 먹여 포대기로 대강 싸서
행담 속에뉘어 놓고 줄을 잡아 흔들며는
아무 소리 아니하고 보채는 일없다하대.
 
농사하기, 길쌈하기 부지런히 일을 한다.
집집마다 대문 앞에 쌓은 거름이태산 같고,
논은 없고 밭만 있어 온갖 곡식을 다 심는다.
나귀와말에게 쟁기를 메어 소 없어도 능히 갈며,
호미자루 길게 하여 김매기를서서 한다.
 
씨아질에물레질과 실꾸리 감는 계집이라.
도투마리 날을 맬 때 풀칠을 하지않고 잘들하며,
베틀이라 하는 것은 가뿐하고 재치가 있다.
쇠꼬리가없더라도 잉아 사용 어렵지 않고,
북을 집어 던지며는 바디질은저절로 한다.
 
(후략) 나머지 부분의 내용
 
봉황성을 떠나 청석령에 이르러서는효종 대왕이 볼모로 잡혀갈 때의 일을 비감해 하고, 넓고 넓은 요동벌을바라보며 감격해 하기도 하고, 관제묠를 둘러 보고 여러 가지 놀음을구경하기도 하고, 봉천성과 영원성, 산해관, 통주성의 동악묘 등의 풍물을구경한 뒤 북경에 이른다.
 
북경에서는 노독에 잠깐 동안고향과 부모님을 생각하고, 이어 예부에 나아가 임무를 마치고 시내구경을 한다. 북경의 여러 문과 궁성의 엄청난 규모에 놀라며, 만불사와천부사 등의 사찰, 성인을 모신 대성전, 왕래하는 거리, 시장인 유리창, 진귀하고 많은 물품들, 낙타며 잔나비 등 처음보는 동물 모양과 상가의풍속 등을 묘사했다. 이어 천녕사와 만수사의 승방이며, 건물, 요술공연, 초청 받아 간 여러 집안의 장식과 갖가지 음식을 구경하고, 거리에서는서양 사람들을 보고, '다팔다팔 빨간 머리 샛노란 둥근 눈깔, 정녕히짐승이지 사람 종자 아니로다'라는 생각도 한다.
 
가을이 되는 7월 18일에 길을떠나 돌아오는 길에 심양에서는 마적의 머리를 베어 매단 것을 보고, 만주의 석문령에서는 집에서 부쳐 온 편지를 받아 보고 부모님의 은혜를다시 생각하며 돌아와 인정전에서 임금님을 뵙고, 집에 돌아와 부모님을뵙는 것으로 끝이 난다.
 

 
 

1. 요점 정리

• 작자 : 홍순학
• 연대 : 고종 3년(1866)
• 갈래 : 장편 기행 가사, 후기 가사, 양반 가사, 사행 가사
• 별칭 : 병인연행가, 북원록, 연행록
• 성격 : 객관적, 사실적, 서사적, 비판적, 묘사적
• 구성 :
송객정에서전별 잔치
=> 압록강 건너기
=> 만주에서의 여정, 감회 - 만주에서의 초라한 모습 묘사, 초라한 점심식사, 온정평에서 노숙하게 됨
=> 봉황성의 호인들의 모습과 의복 - 봉황성의 엄격한 검문, 봉황성의 호인들, 봉황성의 여인들 모습, 봉황성의 아이들 모습
=> 호인들의생활 풍속 - 주택 문화, 식생활 풍습, 가축 기르는 모습, 육아 풍속, 농사 퐁속, 베짜기
 
여정
작별 송객정에서 의주 부윤의 배웅을 받고 작별했다.
나라를 떠나는 감회가 깊었다.
 
도강 작은 배를 타고 압록강을 건너며 우리 나라를 자꾸 돌아보았다.
부모님과 나라 생각을 했다.
 
구련성 백여 리 무인지경을 지났고, 들판에서 조촐한 음식을 먹었다.
두 나라에서 버려진 땅이 아까웠고, 밥 한 그릇도 달게 먹는 처지가 우스꽝스러움
 
온정평 온정평에서 야영을 했는데, 사신의 숙소는 그런 대로 괜찮았지만, 수행원들은 고생이 심했다.
수행원들이 불쌍했으며, 겨울에 오는 사신들은 고생이 매우 심할 것 같았음
 
봉황성 봉황성의 경계가 엄하고, 시가지가 매우 번화하였다.
시가지가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함
 
남자들의 복색 호인들은 변발에다 양치를 아니한 이빨, 옷고름 대신 단추를 단 저고리, 타오구라는 행전 등을 하였다.
의복이 괴이하고 처음 보기에 놀라웠으며, 위생 상태가 불결함.
 
여자들의 복색 청나라 여자는 맵시 있게 장식한 머리, 화장한 얼굴에 남자처럼 바지를 입었고, 한족은 전족을 하였다.
전족 제도는 명나라가 남긴 제도로 오늘날에도 의의가 있음.
 
아이의 모습 아이들은 머리 모양과 의복이 특이했는데, 여자아이들은 특히 머리에 꽃을 꽂았으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끽연 풍속이 있었다.
배라기는 마치 배꼽을 가린 꼴이었음.
 
가옥 구조 부뚜막과 비슷한 캉이 있어서 침실과 거실 겸용으로 사용하고 완자창과 회칠한 벽돌담이 있었다.
집 제도가 우스운데, 미천한 호인들의 집치레가 지나친 것 같음
 
식생활 기장, 좁쌀, 수수로 지은 밥을 먹으며, 반찬도 보잘 것 없는 것이다.
식생활이 미개함
 
가축 기르기 가축을 잘 다루며 발바리, 앵무새, 백설조 등도 기른다.
가축을 매우 능숙하게 다룸
 
육아법 아이를 행담에 넣어 기른다.
괴상하다. 효율적임
 
농사와 길쌈 나귀로 밭을 갈며 긴 호미로 서서 밭을 매고, 아낙네들의 길쌈 솜씨도 뛰어나다.
농사짓기와 길쌈하기를 부지런히 함
 
• 제재 : 청나 연경을 다녀온 견문과 여정
• 주제 : 청나라를 다녀온 견문과 여정
• 의의 : 일동장유가와 더불어 기행 가사의 쌍벽을이룸.
• 특징 : 여정의 다양한 내용을 특색 있는 묘사, 적절한 비유, 대구의 묘 등을 살려 균형감있게기술하고, 시인의 사물에 대한 인식이 명쾌하게 제시되었고, 해학과익살에의해 비판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대상에 대한 인식과 표현에서 중국의 고사성어나 한시 구절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 출전 : 연행가 필사본, 심재완 교합본
 
 

2. 내용 연구

 
 
 

3. 이해와 감상

일동장유가와쌍벽을 이루는 장편 기행 가사로 '연행가'는 총 3,924구로 된 장편 기행가사로 고종 3년(1866)에 고종이 왕비를 맞이한 사실을 알리기 위해중국에 사신을 보낸 진하사은겸주청사행(進賀謝恩兼奏請使行)에, 지은이홍순학이 서장관(書狀官)으로 따라가서 북경에 갔다가 일행이 4월 9일서울을 출발하여 6월 6일 북경에 당도하고 40일간의 북경 체류 후, 8월 23일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까지의 130여 일 간의 여정과 견문을 노래한작품이다.
 
가사 작품으로는 보기 드물게장편인 까닭으로 노정이 자세하고 서술 내용이 풍부하며, 치밀한 관찰력으로대상을 자세하고도 객관적으로 묘사하여 독자에게 생동감을 준다. 고사성어나 한자의사용을 억제하고 순 한글로 기록하여 서민 계층의 독자를겨냥한 것은 조선 후기 가사의 한 특징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김인겸의 '일동장유가'와 더불어 조선 후기 기행 가사의 대표적인 작품으로평가할 만하다.
 
 

4. 심화 자료

연행가의 내용
 
25세의 젊은 선비였던 홍순학은 연로한 김인겸이떠날 때 가족들을 생각하며 이런저런 걱정에 빠졌던 경우와는 달리, 소년 공명의 자부심과 기개가 있었다.
 
그러나 그 연행의 길은 서울을 떠나 고양, 파주, 임진강, 장단, 송도, 평산, 곡산, 황주, 평양, 가산, 정주를 거쳐의주까지 국내서만도 근 한 달이 걸린 여정이었다. 압록강을 건너면서비로소 "허박하고 약한 기질 만 리 행역 걱정일세." 하고가족의 곁을 떠난 외로움과 나라 생각에 무거운 나그네의 심회를 말해주고 있다.
 
나라 안에서 융숭했던 대접과는 달리, 무인지경인만주 벌판에서 군막 생활의 괴로움과, 봉황성에서 만난 남녀 호인들의기괴한 옷차림과 그들의 주식 생활 등 낯선 이국의 풍물을 소상히 관찰하고, 그의 특유의 익살로 표현하고 있다.
 
청석령을 넘으며 효종이 심양으로 잡혀 간치욕을 통분해하기도 하고, 요동 칠백 리에서 사내의 호기를 뽐내기도했다. 이르는 곳마다 고적을 찾아 상고하며 북경에 도달한 것은 석 달만인 6월 6일. "자문을 받을어서 상서에게 봉전하고 삼 사신 꿇어앉아아홉 번 고두하여 예필 후 돌아오니 사신 할 일 다 하였네." 긴행역에 비해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북경의 문루, 절, 고적을 구경하고, 시전을두루 살피고, 환희 요술을 참관, 인사를 방문하여 인정을 교환하였던일 등 당시 저쪽과 이쪽의 정황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눈깔은 움쑥하고 콧마루는 우뚝하며, 머리털은 빨간 것이 곱슬곱슬 양모 같고, 키꼴은 팔 척 장신, 의복도괴이하다. 쓴 것은 무엇인지 우뚝한 전립 같고, 입은 것은 어찌하여두 다리가 팽팽하냐? 계집년들 볼작시면 더구나 흉괴하다. 퉁퉁하고커다란 년 살빛은 푸르스름 …… 새끼 놈들 볼 만하다. 사오륙 세 먹은것이 다팔다팔 빨간 머리 샛노란 둥근눈깔, 원숭이 새끼들과 천연히도흡사하다."
 
북경 길가에서 만난, 처음 보는 서양인을 표현한대목에서도 그의 익살과 조선 선비의 오기를 볼 수 있다.
 
7월 18일 돌아서서 8월 23일 도착, 왕께 복명하고집에 돌아오기까지 반 년에 걸친 연행 기간 중 그가 보고, 느끼고, 접한바를 3800여 구에 담아 노래로 엮었다.
 
사대 사행의 일원으로 수행하며 배타 천시의오기가 넘친 청년 선비, 그의 눈에 비친 이국의 풍물과 경개를 자상하고흥미롭게 기록한 '연행가'는 그 때 그 역사와 인정을 상고하기에 귀중한자료다. (자료 출처 : 이석래, '교주 기행가사집')
 
갈등의 대청(對淸) 의식
 
이 작품에서 "일 년 삼백육십 일에 양치한 번 아니하여 이빨은 황금이요, 손톱은 다섯 치라."고 한 것은청나라 사람을 멸시한 예라고 하겠다.
 
청나라 궁궐에 들어가서 황제의 동가를 보면서 "용봉지자 천일지표 어떠하신 천안인고?"라고 기대감을 표명한다음, "천하의 제일인이 호복한 이 자란 말가?" 하고 실망을나타낸다. 여기서 우리는 지은이의 가슴 속 깊은 곳에 잠재되어 있는대청 의식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실망감의 표현은 지은이의 마음속에 일고 있는 일종의 갈등을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정공수, 황운곡, 동문환, 방정여, 방범염, 왕조제, 황현인 등을 만나 보고, 그 인물들의 준수한 기상과 고결한성품을 찬양한 다음, "모두 다 대명 적에 명문 거족 후예로서, 마지못해 삭발하고 호인에게 벼슬하나, 의관이 수 통함은 분한 마음맺혔구나. 예의의관 조선 사람 형제같이 반긴다."라고 노래하고있는 데에서는, 명나라 후예 곧 한인과 청나라 사람 곧 호인을 구별하여, 전자를 망국민이기는 하지만 잃어버린 조국에 대한 강개지심을 가진문화와 예의의 선비들이라고 생각하고 사모하는 마음을 가진 데 반하여, 후자는 비록 천자라 하더라도 문화와 예의 풍속에 있어서는 미개한 야만으로멸시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지은이는 비록 호인이라 하더라도 좋은풍습, 부지런한 처신들에 관해서는 거짓 없이 받아들이기도 하고, 또정확하게 평가하는 객관성을 가지기도 하였다. 육아법에 관한 묘사나 , 농사와 길쌈에 부지런함을 노래한 것이 그 예가 된다. (자료 출처 : 최강현, '한국 기행문학 연구')
 
연행가(燕行歌)
 
1866년(고종 3) 가례주청사(嘉禮奏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온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장편의 기행가사(紀行歌辭).
1866년 3월에 왕비 책봉을 청나라에 주청하기 위하여 우의정 유후조(柳厚祚)를 상사(上使), 서당보(徐堂輔)를 부사로 한 사행(使行:사절단)의 일원이 된 그는 4월 9일 서울을 출발하여 북경에 갔다가 그 해 8월 23일 서울로 돌아올 때까지 총 133일 동안의 견문을 기록한 것이다. 모두 3,800여 구에 달한다.
서울에서 북경까지 긴 노정에 따라 고적을 더듬고, 풍속을 살피고, 인정에 접하였던 바를 소상히 기록한 여행기로김인겸(金仁謙)의 〈일동장유가 日東壯遊歌〉와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작자 홍순학은 1857년(철종 8)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이후 협판교섭통상사무(協辦交涉通商事務)를 지낸 25세의 젊은 선비로 사행에 오를 때 소년공명(少年功名)의 자부심과 기개가 있었다.
 
〔주요내용〕
 
서울을 떠나 고양·파주·임진강(臨津江)·장단(長湍)·송도·평산(平山)·곡산(谷山)·황주·평양·가산(嘉山)·정주(定州)를 거쳐 의주까지 국내에서만도 거의 한 달이 걸린 여정이었다.
압록강을 건너면서 비로소 “허박하고 약한 기질 만리행역 걱정일쎄.”라 하며 이측(離側)한 외로움과 가국(家國) 생각에 무거운 나그네의 심회를 말하고 있다.
국내에서 융숭하였던 지공(支供)·지대(支待)와는 달리, 무인지경 만주 벌판에서의 군막생활(軍幕生活)의 어려움과 봉황성(鳳凰城)에서 만난 호인남녀(胡人男女)의 기괴한 옷차림과 생활, 낯선 이국의 풍물 등을 소상히 관찰하여 그의 특유의 익살로 표현하였다.
청석령(靑石嶺)을 넘으며 효종 입심(入瀋:심양에 끌려감.)의 수욕(受辱)을 통분하였던 이야기며, 요동(遼東) 700리에서 뽐낸 사내의 호기가 번뜩인다. 북경의 문루(門樓)·사우(寺宇)·고적을 소견하고, 시전(市廛)을 두루 살펴 환희(幻戱)·요술(妖術)을 참관하고, 인사를 방문하여 인정을 교환하였던 일 등 당시의 정황을 밝혀주고 있다.
“눈깔은 움쑥하고 콧마루는 우뚝하며 머리털은 빨간 것이 곱슬곱슬 양모 같고 키꼴은 팔척장신 의복도 괴이하다. 쓴 것은 무엇인지 우뚝한 전립 같고 입은 것은 어찌하여 두 다리가 팽팽하냐, 계집년들 볼짝시면 더구나 흉괴하다. 퉁퉁하고 커다란 년 살빛은 푸르스름…… 새끼놈들 볼 만하다. 사오륙세 먹은 것이 다팔다팔 빨간 머리 샛노란 둥근 눈깔 원숭이 새끼들과 천연히도 흡사하다.”라고 하였다.
북경 길가에서 만난 초견(初見) 서양인을 익살로 표현한 대목에서 조선 선비의 오기(傲氣)를 볼 수 있다. 7월 18일 회환(回還), 복명하고 집에 돌아오기까지 반년에 걸친 연행중 보고 느낀 것을 담아놓은 작품이다.
낙선재본(樂善齋本)과 국회도서관본이 전하고 있으며, 이 두 대본을 대교(對校)하여 수정한 신구문화사(新丘文化社)에서 간행한 ≪연행가≫가 보급되어 있다. 이 작품을 가사로 보지 않고 광의의 수필문학에 포함시키는 이도 있다.
 
≪참고문헌≫ 哲宗實錄, 高宗實錄, 國文學通論(張德順, 新丘文化社, 1960), 燕行歌(李石來校註, 新丘文化社, 1976).(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66년 가사(歌辭) 연행가(燕行歌) 홍순학(洪淳學) # 기행가사 # 병인연행가 # 북원록 # 연행록
【학습】 가사∙개화가사
• 영남가(嶺南歌)
• 연행가(燕行歌)
• 애국(愛國)하는 노래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