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가사∙개화가사
2019년 7월
2019년 7월 18일
2019년 7월 17일
백구사
농부가
2019년 7월 16일
길몽가(吉夢歌)
권주가
2019년 6월
2019년 6월 25일
교훈가
2019년 6월 24일
거사가
2019년 6월 23일
about 가사∙개화가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1759년 # 길몽가 # 한석지
【학습】
(2019.07.16. 17:01) 
◈ 길몽가(吉夢歌)
1759년(영조 35) 한석지(韓錫地)가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 ≪온고록 溫故錄≫(일명 明善錄) 끝에 실려 있다. 작자가 51세 때 운림(雲林) 중덕산 (中德山)에서 지은 것으로 추측된다. 국한문혼용으로 되어 있으며 4음보 1행으로 헤아려 총 140구이다.
목   차
[숨기기]
....
 

 
 

1. 요점 정리

 
• 연대 : 1759년 영조 35년경
• 작자 : 한석지
• 주제 : 맹자의 사상을 밝히고, 그 도로써 제세구민하려는 이상을 펴냄.
• 해제 : 중국의 역대 인물들의 초청을 모두 물리치고맹자를 만나 그의 도를 받아 세상을 교화할 것을 마음 먹고 물러나오는광경을 노래하였다.
 
 

2. 내용 연구

 
 
 
 

3. 이해와 감상

1759년(영조 35) 한석지(韓錫地)가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 ≪온고록 溫故錄≫(일명 明善錄) 끝에 실려 있다. 작자가 51세 때 운림(雲林) 중덕산 (中德山)에서 지은 것으로 추측된다. 국한문혼용으로 되어 있으며 4음보 1행으로 헤아려 총 140구이다.
작자가 어느 날 꿈을 꾸었는데, 어떤 사람들이 와서 자기를 찾는다고 하여 나가 보았더니, 뜻밖에도 중국 역대인물인 한신(韓信)·장량(張良)·엄광(嚴光)·진단(陳邱)·가의(賈誼) 등이 자기를 초청하러 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작자는 여러 가지 핑계로 맹자의 도와 거리가 있는 이들의 초청을 거부하고, 맹자의 제자를 만나 그의 인도로 맹자를 알현하게 된다. 맹자는 낭랑한 음성으로 작자를 위로하고, 자기의 도를 잘 지켜 세상을 교화해 달라고 부탁한다. 이에 크게 감격한 작자는 그의 부탁을 명심하고, 절하고 물러난다는 것이 그 줄거리이다.
내용으로 보아 작자는 맹자의 도와 사상을 사모하고 숭상한 나머지, ‘꿈’을 빌려 이에 대한 자기의 이상을 펴 보려 한 것인데, 이것은 맹자와의 대화 장면에서 잘 나타나 있다. 요컨대, 이 가사는 맹자의 도와 사상을 널리 선양하고 세상을 제도하여 만민을 구해 보겠다는 작자 나름의 이상을 표현한 가사라 하겠다.
전체 8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단은 서사(序詞)로서 ‘길몽을 꾼 기쁨’을 노래했는데, 너무 희한한 만고의 길몽이기 때문에 작자 혼자만이 간직할 수 없어 모든 사람에게 알리고 싶다는 것이다.
제2단에서는 ‘작자의 천성’을 술회하여, 괴팍한 성품으로 부귀공명을 원하지 않고, 중정인의(中正仁義)만을 숭앙한다고 했다. 제3단에는 ‘역대인물들의 초청과 이에 응대하는 작자의 자세’가 그려져 있다.
제4단에서는 ‘맹자 제자와의 접견과 맹자 친서를 받는 감격’을 노래했는데, 이때 맹자의 친필 척소(尺素)를 가지고 온 유생은 맹자의 제자답게 정제한 의관에 단정한 거동을 보여 주고 이를 통해 친서를 받는 작자의 송연함과 감격을 잘 표현하고 있다.
제5단은 ‘친서의 내용’인데 맹자는 여기서 작자가 문장과 지혜에 뛰어나고, 지행일치한 호걸이라고 칭찬하면서 속히 자기에게 와주기를 부탁한다.
제6단에서는 ‘맹자와의 접견과 작자의 고백’을 노래했는데, 이때 맹자는 소쇄(瀟灑)한 당실(堂室)에 엄연한 모습으로 좌정해 있었고, 그의 위용은 구주(九州)의 호기를 배합한 것 같고, 좌상은 화기 넘치는 춘풍 같다고 칭송한다. 그러나 작자는 세속이 어지러워 가고, 성현의 도가 날로 쇠퇴하여 생령의 곤액(困厄)이 염려되지 않을 수 없음을 맹자에게 고백하고, 그 구제의 길이 없겠느냐고 묻는다.
제7단에서는 ‘맹자의 당부’를 노래하고 있는데, 작자의 고백을 들은 맹자는 그를 어여삐 여겨 “네 뜻이 내 뜻이요 네 도리 내 도리라 문행(文行)을 교훈하야 충신으로 권하여라.”고 당부한다.
그리고 작자의 처신에 대하여도 간곡한 당부를 하는데, 안연(顔淵)의 사물(四勿)과 증자(曾子)의 삼성(三省)을 잊지 말고 지키라고 일러준다.
제8단은 결사로서, 맹자의 간절한 교시를 받은 작자는 이를 길이 간직할 것을 다짐하고, 아울러 이 길몽을 다 함께 나누고 싶다는 뜻을 비치면서 끝을 맺는다.
국한문혼용체인 이 가사는 한글 철자의 통일성이 없고 무질서함을 보여 준다. 체언에 있어 ‘아해’와 ‘아羸’, 용언에 있어 ‘悧고’와 ‘하고’, ‘할器’과 ‘할산’, 조사에 있어 ‘을’과 ‘올’, ‘勘’과 ‘난’, 경음표기에 있어 ‘內’과 ‘購’이 호용된 것이 그 예이다.
한편, 한자표기가 비교적 적고, 우리말이 자연스럽게 구사된 것은 친근감을 가지게 한다. 또한, 개세강개(慨世慷慨)하는 충정과 제세구민(濟世救民)을 염원하는 정신이 작품 전면에 깔려 있어, 선비의 고고한 기개를 살필 수 있다.
이 작품은 몽자가사(夢字歌辭)로서는 조선시대 가사사상 유일본이라는 점에서 그 제재상의 특성을 들 수 있다. 또, 내용전개에 있어서 대화체의 수법을 빌려 절실한 감흥에 젖게 한 것도 평가하여야 할 일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李朝歌辭精選(李相寶, 精硏社, 1966), 芸菴의 吉夢歌考察(丁益燮, 語文學 9, 韓國語文學會, 1963).(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심화 자료

한석지(1709~?)
자는 평중. 호는 운암, 또는 호산자 숙종 35년(1709)에함흥에서 낳아 병고와 가난 속에서 불우한 80여 평생을 지냈다. 유저로 '명선록'이 있으니 일명 '온고록'이며 그 끝에 '길몽가'가 실려 있다.
1759년 # 길몽가 # 한석지
【학습】 가사∙개화가사
• 나옹화상서왕가(懶翁和尙西往歌)
• 길몽가(吉夢歌)
• 금보가(琴譜歌)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