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220
|
|
|
|
|
|
범마라국에 광유성인이 임정사에 교화터시니
|
|
|
|
|
|
서천구에사라수왕이 사백국을 거느리셨더니.
|
|
|
|
|
|
|
221
|
|
|
|
|
|
승열 바라문을 왕궁에 부리시어
|
|
|
|
|
|
석장을 흔드시니원앙 부인이
|
|
|
|
|
|
왕령을 내셔 재미를 밭잡더시니..
|
|
|
|
|
|
|
222
|
|
|
|
|
|
재미를 맡으시거늘 왕이 친히 나시어
|
|
|
|
|
|
바라문을맞아들이시니 채녀를 청커시늘
|
|
|
|
|
|
왕이 기뻐하시어 팔채녀를 보내옵시니
|
|
|
|
|
|
|
223
|
|
|
|
|
|
채녀가 금관자 메셔 하루 오백 지계를
|
|
|
|
|
|
전단정에물길으시니 채녀가 공덕 닦으셔
|
|
|
|
|
|
삼년을 채우시니 무상도에 가까우시더니
|
|
|
|
|
|
|
224
|
|
|
|
|
|
승열 바라문이 왕궁에 또 오셔
|
|
|
|
|
|
석장을 흔드시니원앙 부인이
|
|
|
|
|
|
왕령을 또 내시어 재미를 받잡더시니
|
|
|
|
|
|
|
225
|
|
|
|
|
|
재미를 마다시거늘 왕이 친히 나오셔서
|
|
|
|
|
|
바라문을맞아들이시니 유나를 삼사오리라
|
|
|
|
|
|
|
226
|
|
|
|
|
|
사백 부인을 여의고, 가노라 하시며
|
|
|
|
|
|
눈물을 흘리시니, 원앙 부인이
|
|
|
|
|
|
여의옴을 싫어하셔 모시옴을 청하시니.
|
|
|
|
|
|
|
227
|
|
|
|
|
|
세 분이 길 가시어 죽림원 지나실 때
|
|
|
|
|
|
부인이 못움직이니, 두 분께 여쭙되
|
|
|
|
|
|
사람의 집을 얻어 내 몸을 팔고 싶습니다.
|
|
|
|
|
|
|
228
|
|
|
|
|
|
값을 받으셔서 내 가리킴 따라서
|
|
|
|
|
|
성인께 바치옵소서. 파는 것도 서러우시며,
|
|
|
|
|
|
저 말도 슬프시므로 두분이 매우 우시니.
|
|
|
|
|
|
|
229
|
|
|
|
|
|
자현장자께서 집에 세분이 나아가셔
|
|
|
|
|
|
계집종을팔고 싶습니다. 자현장자께서 듣고
|
|
|
|
|
|
세 분을 모셔 들여 계집종의값이 얼마입니까?
|
|
|
|
|
|
|
230
|
|
|
|
|
|
부인이 이르시되 내 몸의 값이
|
|
|
|
|
|
이천근의 값입니다. 부인이 또 이르시되
|
|
|
|
|
|
배안의 아기 빚이 도 이천근의 값입니다.
|
|
|
|
|
|
|
231
|
|
|
|
|
|
사천근의 돈을 값으로 내어
|
|
|
|
|
|
두 분께 바치오니하룻밤 주무시고
|
|
|
|
|
|
문밖에 나오시어 세 분이 슬퍼하시더니.
|
|
|
|
|
|
|
232
|
|
|
|
|
|
바운이 여쭈오시되 꿈이 아니면 어느 길에
|
|
|
|
|
|
다시보겠습니까? 사람이 선을 닦으면
|
|
|
|
|
|
이익을 받나니 왕생게를 가르치시옵노니
|
|
|
|
|
|
|
233
|
|
|
|
|
|
궁중에 계실 때 옷 떨어짐을 모르시며
|
|
|
|
|
|
배 고품도없었습니다. 왕생게를 외우시면,
|
|
|
|
|
|
헌옷이 아물며 고픈 배도 부를 것입니다.
|
|
|
|
|
|
|
234
|
|
|
|
|
|
아기의 이름을 아들이 나거나
|
|
|
|
|
|
딸이 나거나 어떻게하리이까?
|
|
|
|
|
|
자식의 이름을 아버지가 있으며
|
|
|
|
|
|
어머니가 있으면서하나로 정하십시다
|
|
|
|
|
|
|
235
|
|
|
|
|
|
왕이 들으시고 눈물을 흘리시고
|
|
|
|
|
|
부인의 뜻을 불쌍히생각하셔
|
|
|
|
|
|
아들 곧 나거든 안락국이라 하고
|
|
|
|
|
|
딸이든 효양이라 하라
|
|
|
|
|
|
|
236
|
|
|
|
|
|
문밖에 서 계셔 두 분이 이별하실 때
|
|
|
|
|
|
안보이도록울며 가시니 임정사에 가셔서
|
|
|
|
|
|
성인을 뵈옵거늘 매우 기뻐 물을 긷게하시니.
|
|
|
|
|
|
|
237
|
|
|
|
|
|
어깨 위에 쇠두레박 메시어
|
|
|
|
|
|
우물에 물 길으시더니왼쪽 손으로
|
|
|
|
|
|
왕생게 잡으시어 길에서 외우시더니
|
|
|
|
|
|
|
238
|
|
|
|
|
|
아드님이 나시어 나이 일곱이어늘
|
|
|
|
|
|
아버님을 물으시니어머님이 들으시어
|
|
|
|
|
|
목 메어 우시어 아버님을 이르시니
|
|
|
|
|
|
|
239
|
|
|
|
|
|
아기가 도망하시어 아버님을 뵈오리라
|
|
|
|
|
|
임정사를향하시더니, 큰 물에 다달아
|
|
|
|
|
|
짚동을 타시어 범마라국에 이르시니,
|
|
|
|
|
|
|
240
|
|
|
|
|
|
나아 가시다가 팔채녀를 보시니
|
|
|
|
|
|
사라수왕이 오신다하시니, 또 나아 가시다가
|
|
|
|
|
|
아버님 만나시니, 두 종아리를 안고 우시니
|
|
|
|
|
|
|
241
|
|
|
|
|
|
왕이 물으시되 네 어떤 아이이기에
|
|
|
|
|
|
종아리를 안고우냐? 아기가 말을 아뢰고
|
|
|
|
|
|
왕생게를 외우셨는데, 아버님이 안으셨습니다
|
|
|
|
|
|
|
242
|
|
|
|
|
|
전날 네 어머니가 나를 여의어
|
|
|
|
|
|
시름으로 살아왔거늘오늘 네 어머니가
|
|
|
|
|
|
너를 여의어 눈물로 사시느니라
|
|
|
|
|
|
|
243
|
|
|
|
|
|
아기가 하직하시어 아버님을 이별하실 때
|
|
|
|
|
|
눈물을흘리시니, 아버님이 슬퍼하셔
|
|
|
|
|
|
아기를 보내실 때 노래를 부르시니
|
|
|
|
|
|
|
244
|
|
|
|
|
|
아! 갈 사람이 없는 이런 고생길에
|
|
|
|
|
|
누굴 보려울며 왔냐? 대자비 원앙새와
|
|
|
|
|
|
공덕 닦는 내몸이 정각날에 만나뵈오렵니다
|
|
|
|
|
|
|
245
|
|
|
|
|
|
돌아 오는 길에 목동을 보시니
|
|
|
|
|
|
노래를 부르더니, 안락국 이는
|
|
|
|
|
|
아버지를 보러 가니, 어머니를 못보아 시름이 깊었다
|
|
|
|
|
|
|
246
|
|
|
|
|
|
장작께서 노하여 부인을 죽이셨더니,
|
|
|
|
|
|
노래를 부르셨습니다. 고운님 못 뵈어
|
|
|
|
|
|
슬피 울며 지냈더니, 오늘 날에 넔이 없습니다.
|
|
|
|
|
|
|
247
|
|
|
|
|
|
부인이 없으시어 세 도막이 되어서
|
|
|
|
|
|
큰 나무 아래던지셨더니, 아기가 우시어
|
|
|
|
|
|
세도막을 모으시어 서방에 합장하시니.
|
|
|
|
|
|
|
248
|
|
|
|
|
|
극락 세계에서의 사십팔 용선이
|
|
|
|
|
|
공중에 날아오시니, 중생들을 이끌어 만나시는
|
|
|
|
|
|
여러 큰 보살님들이 사자좌로 맞아가시니
|
|
|
|
|
|
|
249
|
|
|
|
|
|
광유성인은 서가모니시고, 바라문은 문수보살이시니,
|
|
|
|
|
|
사라수왕은아미타불이시고, 부인은 관음보살이시니.
|
|
|
|
|
|
|
250
|
|
|
|
|
|
여덟 채녀는 팔대 보살이시고, 안락국은 대세지시니.
|
|
|
|
|
|
오백제자는 오백 나한이시고,
|
|
|
|
|
|
자현 장자는 무간 지옥에 드니.
|
|
|
|
|
|
|
|
|
1. 요점 정리
|
|
|
|
|
|
• 연대 : 세종
|
|
|
|
|
|
• 작자 : 수양대군
|
|
|
|
|
|
• 형식 : 삽입 가요
|
|
|
|
|
|
• 주제 : 원앙부인이 극락왕생하는 인연담을 노래로 고쳐 지은 것
|
|
|
|
2. 내용 연구
|
|
|
|
|
|
• 바라문 : 인도 4성의 최고 지위에 있는 종족으로 승려의 계급. 바라문교의전권을 장악하고 신의 후예라고자칭하며 왕권을 배심함.
|
|
|
|
|
|
• 석장 : 승려가 짚는 지팡이. 지팡이의 상부는 주석, 중부는 나무, 하부는뿔 또는 상아를 씀, 지팡이 머리는둥근데 여섯 개의 방울을 달아서 일명 육환장이라고도 함.
|
|
|
|
|
|
• 전단정 : 향나무 우물, 전단은 향나무의 일종.
|
|
|
|
|
|
• 유나 : 절의 사물을 관리하며, 모든 일을 지휘하는 소임.
|
|
|
|
|
|
• 왕생계 : 이 세계에서 저 세계에 가서 나는 일을 적은 운문체의 글.
|
|
|
|
|
|
• 석가모니 : 범어 Sakyamuni. 불교의 교조. 능인적묵이라 번역. 줄여서석가문, 석가라고도 함. 석가종족의성자라는 뜻.
|
|
|
|
|
|
• 문수사리 : 범어 Manjusri. 대승 보살, 문수는 묘의 뜻, 사리는 두. 덕. 길상의 뜻. 석가모니불의 왼쪽에 거하며지혜를 맡음.
|
|
|
|
|
|
• 관세음 : 범어 Avalokitesvara의. 관자재, 광세음, 관세자재, 관세음자재라고도함. 대자대비를 근본 서원으로하는 보살. 미타삼존의 하나.
|
|
|
|
|
|
• 보살 : 범어 Bodhisattva의 음역인 보제살타의 준말. 각유정, 개사, 대사, 고사, 대심중생, 시사라고도함. 불과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이 또는 대승교에 귀의한 이를 이름.
|
|
|
|
|
|
• 대세지 : 범어 Mahasthamaprapta의 역. 대정진, 득대세라고도 함. 아미타불의지혜문.
|
|
|
|
|
|
• 나한 : 범어 Arhan의 음역인 아라한의 준말. 소승교를 수행하는 성문 4과의 가장 윗자리.
|
|
|
|
|
|
• 무간지옥 : 팔열지옥의하나 범어 Avici의 번역, 남섬부주 아래 2만 유순되는곳에 있는 몹시 괴롭다는 지옥.
|
|
|
|
3. 이해와 감상
|
|
|
|
|
|
이 작품은 원래 <월인 석보>제8 제77엽앞면에 <월인곡> 기 220으로부터 동 89엽 뒷면 <월인곡> 기 250까지에 실려 있는 일종의 삽입가요이다. 내용은 원앙부인이 극락왕생하는 인연담을 노래로 고쳐 지은 것이다. 이 작품을 가사작품의한 원초형태라고 주장하면서 학계에 처음 소개한 사람은 사재동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작품 이름만 가사작품을 인용할 뿐, 이 전문을널리 활용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원형을 보여준다는뜻에서 가급적이면 본 모습대로 분련체로 된 표기방식을 취하되 인쇄상어려운 방점 같은 것은 줄여 간편하게 처리한다. (자료 출처 : 한국고전문학전집가사1, 최강현역주,고대출판사간)
|
|
|
|
4. 심화 자료
|
|
|
|
▣ 정보 :
학습 (보통)
|
|
▣ 참조목록
|
|
|
◈ 소유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