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바람처럼의 지식창고 바람처럼 스쳐간…
바람처럼 스쳐간…
2018년 9월
2018년 9월 1일
2018년 8월
2018년 8월 28일
2018년 8월 2일
2018년 7월
2018년 7월 17일
2018년 7월 11일
2018년 7월 7일
2018년 6월
2018년 6월 29일
2018년 6월 11일
2018년 5월
2018년 5월 8일
2018년 4월
2018년 4월 17일
2018년 4월 16일
2018년 2월
2018년 2월 9일
2018년 1월
2018년 1월 9일
2018년 1월 1일
2017년 12월
2017년 12월 26일
2017년 12월 19일
2017년 12월 7일
2017년 12월 2일
2017년 11월
2017년 11월 24일
2017년 10월
2017년 10월 19일
2017년 10월 17일
2017년 10월 13일
2017년 10월 11일
2017년 10월 8일
2017년 10월 4일
2017년 9월
2017년 9월 28일
2017년 9월 23일
2017년 8월
2017년 8월 9일
2015년 11월
2015년 11월 29일
2015년 8월
2015년 8월 25일
2015년 5월
2015년 5월 26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23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2일
2014년 6월 6일
2014년 6월 4일
2013년 11월
2013년 11월 14일
2013년 8월
2013년 8월 17일
2013년 6월
2013년 6월 25일
2013년 6월 23일
2013년 6월 21일
2013년 6월 19일
2013년 6월 17일
2013년 6월 15일
2013년 6월 14일
2013년 5월
2013년 5월 31일
2013년 4월
2013년 4월 4일
2013년 3월
2013년 3월 19일
2013년 2월
2013년 2월 13일
2013년 2월 4일
2013년 1월
2013년 1월 9일
2012년 12월
2012년 12월 30일
2012년 12월 20일
2012년 12월 13일
2012년 12월 2일
2012년 11월
2012년 11월 16일
우쿨렐레(ukulele)의 만남
2012년 11월 5일
2012년 10월
2012년 10월 26일
2012년 10월 5일
2012년 9월
2012년 9월 17일
2012년 2월
2012년 2월 7일
2011년 9월
2011년 9월 27일
2011년 4월
2011년 4월 20일
2011년 3월
2011년 3월 12일
2011년 2월
2011년 2월 23일
2008년 3월
2008년 3월 31일
2008년 3월 21일
2008년 3월 19일
2008년 3월 17일
2008년 3월 14일
2008년 3월 11일
2008년 3월 8일
2008년 3월 6일
2008년 3월 1일
2008년 2월
2008년 2월 29일
2008년 2월 27일
2008년 2월 25일
2006년 10월
2006년 10월 6일
2006년 10월 5일
about 바람처럼 스쳐간…
전두성의 산과 삶의 자취
2018-08-27
【홍보】
【홍보】
내서재
추천 : 0
# 우쿨렐레 # 전두성
【여행】
(2018.06.13. 02:26) 
◈ 우쿨렐레(ukulele)의 만남
고등학교 일 학년 시절,
여름방학을 맞아 친구들과 한라산 등반과 제주도 일주를 마친 나는 남은 방학 기간에 혼자 울릉도 여행을 계획하였다.
외가가 포항에 있고 해운항만청에 근무하던 외삼촌 친구분이 승선 편의를 도와주어
별반 어려움 없이 시도할 수 있었던 울릉도 여행이었다.
 
건조한지 육 년쯤 된 청룡호라는 여객선이 정기운항을 하였는데 울릉도까지 대략 열 시간가량 걸렸던 것 같다.
그 당시 청룡호는 저녁에 출항하였다. 그곳에는 여름과 젊은이의 열정, 밤바다의 여행과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이 있었다.
 
그날 밤배가 뱃고동을 울리며 항구를 떠날 때,
대학생인듯싶은 한무리의 여행팀이 기타 반주와 함께 합창하는 화음은
음악에 대해 교과서적인 지식밖에 없었던 내게 커다란 감동을 주었다.
 
여행을 마친 나는 당장 기타를 연주하고 싶은 욕심에 사로잡혀 연습을 시작하였다.
마침 집안 창고에 망가져 나뒹구는 폐품 기타가 있어 그나마 행운이었다.
 
학교 친구 중에 기타를 배운 녀석이 있어 조금 지식을 얻고,
쉬운 노래 한 곡을 선택하여 노래와 함께 패밀리 코드(family code) 운지법과 스트로크(stroke) 연습을 반복했다.
 
꼬박 나흘 밤낮을 먹고 잠자는 시간만 빼고는 기타를 껴안고 살았다.
학교에서는 의자의 등 받침대를 빼내어 기타 프랫(fret)을 종이로 그려 붙여서 연습했고,
방과 후에 집에 돌아와선 탬버린(tambourine) 소리가 나는 기타를 들고 코드와 스트로크 연습을 계속했다.
챙챙거리는 쇳소리에 질려버린 어머니, 내가 학교에서 돌아올 때면 귀에 솜 마개를 틀어막고 방으로 들어가 버리셨다.
 
일주일쯤 지나서였다.
손가락 끝에 굳은살이 박일 때쯤,
기타 연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알려준 친구가 가지고 있던 기타를 싼값에 팔아넘겨 주는 혜택을 베풀었다.
나일론 줄(string)의 포크 기타였는데 썩 좋지는 않았어도 그동안 내가 연습하던 폐품 기타보다는 하늘과 땅만큼이나 차이가 있었다.
그날 집에 놀러 온 외가 친척과 어머니 앞에서 처음으로 코드 화음이 제대로 어울리는 반주로 연습했던 노래를 들려드렸다.
 
이듬해 여름,
당시 도봉산 '할머니 가게'라는 알피니스트의 쉼터에서 마운틴빌라(서울고등학교 산악부 OB)팀의 김태호 선배를 알게 되었다.
나보다 오륙 년 연배의 태호 형은 밴조 타입의 둥그런 우쿨렐레를 가지고 다녔다.
 
장미 나무뿌리 원목으로 만들었다는 우쿨렐레는 보기에도 우아했으며 깜찍한 악기에서 울리는 음색이 그리 고울 수가 없었다.
스트링이 네 가닥이라 코드 폼(chord form)도 간편했고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도 좋았다.
다만 같은 코드 폼에 4도 높은 화음이 나는 것밖에는 기타와 다를 바 없었다. 나는 곧 우쿨렐레에 빠져들어 갔다.
 
그러나 그 시절 일반 악기점에서는 우쿨렐레를 구할 수 없었다.
이름마저 생소하다며 그런 악기가 있는 것조차 모르는 악기점이 대부분이었다.
 
신설동에 밀집해 있던 악기 제조 공장을 둘러보다 한 곳에서 오리지널 타입의 우쿨렐레를 발견했다.
아마도 공장에서는 아이들 장난감으로 만든 것이지 않았나 싶다.
가격을 흥정하여 600원에 첫 우쿨렐레를 장만하였다.
너트와 프랫이 정밀하지 않아 조율도 안 되는 것을 줄로 다듬어 어느 정도 소리를 낼 수 있게 만들었다.
 
또 한해가 지난 뒤 태호 형이 작사했다는 '설악아 잘 있거라.',
이정훈 형이 작사 작곡한 '설악가, 즐거운 산행길'은 우쿨렐레와 가장 잘 어울리는 산노래가 되었다.
 
매 주말 등반은 거의 야영이었다. 모닥불은 항상 빠지지 않았고, 저녁은 우쿨렐레 반주로 캠프 송을 부르는 시간이었다.
그때부터 난 산악계의 베짱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사십 년이 넘는 세월 동안 거쳐 간 우쿨렐레가 한 이십여 개 정도 되나?
등반과 여행에 항상 휴대하다 보니 부서지고 잃어버린 것만도 예닐곱 개는 되는 것 같다.
지금 가지고 있는 것만 밴조 타입, 파인애플 타입, 오리지널 타입을 포함해 다섯 개가량이니 대략 열다섯 개는 넘어 설듯싶다.
 
평생을 우쿨렐레와 산노래 속에 묻혀 살았어도 연주 실력은 별로다.
늘 같은 노래를 스트로크 주법으로만 연주하였기 때문이다.
 
우쿨렐레엔 미안하지만 내 산악 생활의 주역은 개척과 모험등반이었고 악기와 노래는 소품이었다.
하지만 이제 산에서 내려온 뒤 그리운 마음을 달래주는 벗은 우쿨렐레뿐이다.
 
 
하와이 현악기. 1870년대에 포르투갈인에 의해 도입되었다고 한다.
기타를 작게 한 4현의 악기로 하와이언 음악에 활용되고 있다.
우쿨렐레(ukulele)는<뛰는 벼룩>을 뜻하는 하와이어.
 
# 우쿨렐레 # 전두성
【여행】 바람처럼 스쳐간…
• 시인이 되었던 겨울등반
• 우쿨렐레(ukulele)의 만남
• 포항의 추억
【작성】 전두성의 산과 삶의 자취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전두성 (1)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