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 제90회 큰 짐승을 부려서 남만병을 여섯번째 깨뜨리고, 등갑군을 불태워 맹획을 일곱번째 사로잡다. ◇
카탈로그   목차 (총 : 120권)     이전 90권 다음
1400년경
나관중
1
삼국지연의 (三國志演義) 第九十回 驅巨獸六破蠻兵 燒藤甲七擒孟獲
2
제90회 큰 짐승을 부려서 남만병을 여섯번째 깨뜨리고, 등갑군을 불태워 맹획을 일곱번째 사로잡다.
 
 
3
卻說孔明放了孟獲等一幹人,楊鋒父子皆封官爵,重賞洞兵。楊鋒等拜謝而去。孟獲等連夜奔回銀坑洞。那洞外有三江:乃是瀘水、甘南水、西城水。三路水會合,故爲三江。其洞北近平坦三百餘裏,多產萬物。洞西二百裏,有鹽井。西南二百裏,直抵瀘、甘。正南三百裏,乃是梁都洞,洞中有山,環抱其洞;山上出銀礦,故名爲銀坑山。山中置宮殿樓台,以爲蠻王巢穴。
 
4
각설, 공명이 맹획 등 한 무리의 사람을 풀어주고, 양봉 부자에게 모두 벼슬과 작위를 내리고, 남만 병사들에게 크게 음식을 내리고 위로했다. 양봉 등이 절을 올려 사례하고 떠났다. 맹획 등이 밤낮없이 은갱동으로 달아났다. 은갱동 밖에 흐르는 강이 셋 있으니, 바로 노수, 감남수, 서성수다. 세 갈래 물이 만나니 삼강이라 불렀다. 은갱동 북쪽 가까이 평야가 3백여 리 펼쳐져서 온갖 산물이 많았다. 은갱동 서쪽 2백 리에 소금 웅덩이가 있었다. 서남쪽 2백 리에서 노수, 감남수가 만났다. 정남쪽 3백 리는 바로 양도동인데, 그곳에 산이 하나 솟아서 양도동을 빙 둘러싸고 있었다. 산 위에서 은광석이 나오니 그래서 은갱산이라 이름을 붙였다. 산속에 궁전과 누대를 세워서 만왕(남쪽 오랑캐 왕)의 소굴로 삼았다.
 
 
5
其中建一祖廟,名曰“家鬼”。四時殺牛宰馬享祭,名爲“蔔鬼”。每年常以蜀人並外鄉之人祭之。若人患病,不肯服藥,只禱師巫,名爲“藥鬼”。其處無刑法,但犯罪即斬。有女長成,卻於溪中沐浴,男女自相混淆,任其自配,父母不禁,名爲“學藝”。年歲雨水均調,則種稻穀;倘若不熟,殺蛇爲羹,煮象爲飯。每方隅之中,上戶號曰“洞主”,次曰“酋長”。每月初一、十五兩日,皆在三江城中買賣,轉易貨物。其風俗如此。
 
6
그 가운데 조상 사당을 하나 세워서 ‘가귀’라고 했다. 네 철에 소와 말을 잡아 드리는 제사를 ‘복귀’라고 했다. 해마다 늘 촉나라 사람이나 다른 지역 사람을 제물로 바쳤다. 사람이 병에 걸리면, 약을 먹으려 하지 않고, 오로지 기도하며 무당을 섬기니,‘약귀’라고 했다. 이곳에는 형법이 따로 없고 죄를 저지르면 즉시 참했다. 딸이 성장하면 계곡에서 목욕하다 남녀가 저절로 어지러이 뒤섞여서 자기 짝을 만나 임신해도 부모가 금하지 않고, ‘학예’라고 했다. 해마다 비가 고르게 내리니 볍씨를 골짜기에 뿌렸다. 벼가 익지 않으면 뱀을 잡아 국을 끓이고 코끼리를 삶아 밥으로 먹었다. 지역마다 지위가 높은 집안을‘동주’라 일컫고, 그 아래를 ‘추장'이라 했다.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모두 삼강의 성 안에서 물건을 팔고 사고, 화물을 교환했다. 그 풍속이 이러했다.
 
 
7
卻說孟獲在洞中,聚集宗黨千餘人,謂之曰:“吾屢受辱於蜀兵,立誓欲報之。汝等有何高見?”言未畢,一人應曰:“吾舉一人,可破諸葛亮。” 衆視之,乃孟獲妻弟,現爲八番部長,名曰‘帶來洞主’。獲大喜,急問何人。帶來洞主曰:“此去西南八納洞,洞主木鹿大王,深通法術:出則騎象,能呼風喚雨,常有虎豹豺狼、毒蛇惡蠍跟隨。手下更有三萬神兵,甚是英勇。大王可修書具禮,某親往求之。此人若允,何懼蜀兵哉!”獲忻然,令國舅齎書而去。卻令朵思大王守把三江城,以爲前面屏障。
 
8
한편, 맹획은 은갱동에 머물며, 자신의 종족 천 명 남짓을 불러모아, 그들에게 이르기를,
 
9
“내가 여러 차례 촉나라 군사에게 치욕을 입어, 지금 당장 이 원한을 갚아야 하겠소. 그대들에게 고견이 있다면 말해 보시오.”
 
10
하니, 말이 끝나기도 전에 한 사람이 응하여 말하기를,
 
11
“제가 제갈량을 격파할 만한 한 사람을 천거하겠습니다.”
 
12
했다. 사람들이 쳐다보니 바로 맹획의 처남이며, 현재 팔번부의 우두머리인데 대래동주라고 불렸다. 맹획이 크게 기뻐하며, 급히 누구인지 묻자, 대래동주가 말하기를,
 
13
“여기서 서남쪽 ‘팔납동’의 동주 목록대왕은 마술에 매우 통달했습니다. 코끼리를 타고 다니며, 능히 비와 바람을 부르고, 늘 곁에 호랑이, 표범, 승냥이, 이리, 독사, 전갈을 데리고 다닙니다. 그의 수하에는 귀신병사 3만이 있는데 몹시 영웅스럽고 용맹합니다. 대왕께서 예의를 차려 글을 써 주시면, 제가 직접 찾아가 요청하겠습니다. 그가 허락하면 어찌 촉병을 두려워하겠습니까!”
 
14
했다. 맹획이 흔쾌히 국구(처남)에게 글을 가지고 떠나게 했다. 또한 타사대왕에게 영을 내려서 삼강성을 지키게 하여, 앞쪽의 방어벽으로 삼았다.
 
 
15
卻說孔明提兵直至三江城,遙望見此城三面傍江,一面通旱;即遣魏延、趙雲同領一軍,於旱路打城。軍到城下時,城上弓弩齊發:原來洞中之人,多習弓弩,一弩齊發十矢,箭頭上皆用毒藥;但有中箭者,皮肉皆爛,見五髒而死。趙雲、魏延不能取勝,回見孔明,言藥箭之事。孔明自乘小車,到軍前看了虛實,回到寨中,令軍退數裏下寨。蠻兵望見蜀兵遠退,皆大笑作賀,只疑蜀兵懼怯而退,因此夜間安心穩睡,不去哨探。
 
16
한편, 공명은 병력을 거느리고 곧장 삼강성에 이르러, 멀리 바라보니 이 성의 3면은 강이 흐르고, 한쪽 면만이 육지와 통했다. 즉시 위연과 조운을 파견해서 한 무리 군사를 거느리고 육로를 통해 성을 공격하게 했다. 군사들이 성 아래에 이르자, 성 위에서 활과 쇠뇌를 일제히 쏘아댔다. 원래, 은갱동의 사람들은 활과 쇠뇌를 쏘기에 능숙한 이가 많고, 쇠뇌 하나로 한꺼번에 화살 열 발을 쏘는데, 화살촉에 모두 독약을 발랐다. 화살에 맞는 사람은 피부와 살이 모두 문드러져 오장이 드러난 채 죽었다. 조운과 위연이 이길 수가 없어서, 돌아와 공명을 만나 독화살 이야기를 했다. 공명이 스스로 작은 수레를 타고 싸움터로 와서 허실을 살펴보고, 영채 안으로 되돌아와서 군사들에게 몇 리 후퇴해 영채를 세우게 했다. 오랑캐 병사들은 촉나라 병력이 멀리 후퇴하자, 모두 크게 웃고 축하하며, 다만 촉병들이 겁을 내서 달아난 줄로 의심했다. 그래서 야간에도 안심하고 잠들어 보초와 정탐을 하지 않았다.
 
 
17
卻說孔明約軍退後,即閉寨不出。一連五日,並無號令。黃昏左側,忽起微風。孔明傳令曰:“每軍要衣襟一幅,限一更時分應點。無者立斬。”諸將皆不知其意, 衆軍依令預備。初更時分,又傳令曰:“每軍衣襟一幅,包土一包。無者立斬。” 衆軍亦不知其意,只得依令預備。孔明又傳令曰:“諸軍包土,俱在三江城下交割。先到者有賞。” 衆軍聞令,皆包淨土,飛奔城下。孔明令積土爲蹬道,先上城者爲頭功。於是蜀兵十餘萬,並降兵萬餘,將所包之土,一齊棄於城下。
 
18
한편, 공명은 군사르 추슬러 후퇴한 뒤 즉시 영채 문을 닫고 출전하지 못하게 했다. 잇달아 닷새 동안 아무런 명령도 내리지 않았다. 어느날 해질 무렵, 갑자기 미풍이 일어나자 공명이 명령을 전하기를,
 
19
“군사들은 제각기 옷자락 한 폭씩을 준비해서 초경(저녁 8시쯤)까지 점검을 받으라. 준비하지 않는 자는 당장 참한다.”
 
20
했다. 장수들이 모두 그 뜻을 알지 못하고 군사들은 명령대로 준비했다. 초경이 되자 다시 전령하기를,
 
21
“군사들은 제각기 옷자락 한 폭에 흙을 한 꾸러미씩 담으라. 준비하지 않는 자는 당장 참한다.”
 
22
했다. 군사들은 역시 그 뜻을 알지 못한 채, 다만 명령대로 준비했다. 공명이 다시 전령하기를,
 
23
“군사들은 흙은 담아, 모두 삼강성 아래에 쏟아부어라. 먼저 도착하는 이에게 상을 내리겠다.”
 
24
했다. 군사들이 명령을 듣고, 모두 깨끗한 흙을 담아서 나는 듯이 성 아래로 달렸다. 공명이 명령하여 흙을 쌓아 성을 오르는 길을 만들게 하고, 먼저 성을 오르는 것을 으뜸가는 공으로 쳤다. 이에 촉병 10여 만과 항복한 병사 1만여 명이 흙 한 꾸러미씩 가지고 가서 일제히 성 아래에 쏟아부었다.
 
 
25
一霎時,積土成山,接連城上。一聲暗號,蜀兵皆上城。蠻兵急放弩時,大半早被執下,餘者棄城而走。朵思大王死於亂軍之中。蜀將督軍分路剿殺。孔明取了三江城,所得珍寶,皆賞三軍。敗殘蠻兵逃回見孟獲說:“朵思大王身死。失了三江城。”獲大驚。正慮之間,人報蜀兵已渡江,現在本洞前下寨。孟獲甚是慌張。忽然屏風後一人大笑而出曰:“既爲男子,何無智也?我雖是一婦人,願與你出戰。”獲視之,乃妻祝融夫人也。夫人世居南蠻,乃祝融氏之後;善使飛刀,百發百中。孟獲起身稱謝。
 
26
삽시간에 흙을 쌓아 산을 이루어 성 위와 이어졌다. 암호 소리와 함께 촉병들이 모두 성에 올랐다. 남만병들이 서둘러 쇠뇌를 쏘려 하지만, 태반이 어느새 붙잡히고 나머지는 성을 버리고 달아났다. 타사대왕은 난군 중에 죽었다. 촉나라 장수들이 군사들을 독려해서 길을 나눠 소탕했다. 공명이 삼강성을 점령하고, 노획한 진귀한 보물들을 모두 삼군의 군사들에게 상으로 내렸다. 오랑캐 패잔병들이 달아나 맹획을 만나 말하기를,
 
27
“타사대왕께서 전사하셨고, 삼강성을 빼앗겼습니다.”
 
28
하니, 맹획이 크게 놀랐다. 걱정하고 있는데, 보고하기를, 촉병들이 이미 강을 건너서 이제 은갱동 앞에 영채를 세웠다고 했다. 맹획이 몹시 당황해 허둥댔다. 그런데 병풍 뒤에서 한 사람이 크게 웃으며 나와 말하기를,
 
29
“남자로 태어나서 어찌 지혜가 없단 말이오? 내가 비록 일개 부인이나, 바라건대 당신과 더불어 출전하고 싶소.”
 
30
했다. 맹획이 보니, 바로 그의 아내 축융부인이었다. 부인은 대대로 남만에 살았으니 바로 축융씨(불의 신)의 후손이다. 비도(던지는 칼)를 잘 써서 백발백중이었다. 맹획이 몸을 일으켜 고마워했다.
 
 
31
夫人忻然上馬,引宗黨猛將數百員、生力洞兵五萬,出銀坑宮闕,來與蜀兵對敵。方才轉過洞口,一彪軍攔住:爲首蜀將,乃是張嶷。蠻兵見之,卻早兩路擺開。祝融夫人背插五口飛刀,手挺丈八長槍,坐下卷毛赤兔馬。張嶷見之,暗暗稱奇。二人驟馬交鋒。戰不數合,夫人撥馬便走。張嶷趕去,空中一把飛刀落下。嶷急用手隔,正中左臂,翻身落馬。蠻兵發一聲喊,將張嶷執縛去了。
 
32
부인이 흔쾌히 말에 올라, 종족의 용맹한 장수 수백 명과 기력이 왕성한 남만병사 5만을 이끌고, 은갱동의 궁궐을 나가서 촉병과 대적하러 갔다. 은갱동 입구를 돌자마자, 한 무리 군사가 가로막으니, 선두의 촉나라 장수는 바로 장의였다. 남만병이 이를 보고 재빨리 두 갈래로 전개했다. 축융부인이 등에 비도 다섯 자루를 꽂고, 손에 장팔장창(여덜 길 길이의 긴 창)을 꼬나쥐고, 아래에 곱슬털의 적토마를 탔다. 장의가 이를 보고 마음 속으로 칭찬했다. 두 사람이 말을 몰아 교전했다. 싸운지 몇합 되지 않아 부인이 말머리를 돌려 달아났다. 장의가 쫓아 가는데, 공중에서 한 자루 비도가 날아들었다. 장의가 급히 손으로 막지만 왼팔에 명중해서 몸이 뒤집히며 말에서 떨어졌다. 남만병들이 일제히 함성을 지르더니 장의를 포박해 끌고 갔다.
 
 
33
馬忠聽得張嶷被執,急出救時,早被蠻兵捆住。望見祝融夫人挺槍勒馬而立,忠忿怒向前去戰,坐下馬絆倒,亦被擒了。都解入洞中來見孟獲。獲設席慶賀。夫人叱刀斧手推出張嶷、馬忠要斬。獲止曰:“諸葛亮放吾五次,今番若殺彼將,是不義也。且囚在洞中,待擒住諸葛亮,殺之未遲。”夫人從其言,笑飲作樂。
 
34
마충이 장의가 잡혀간 것을 듣고 급히 구출하려는데, 어느새 남만병들에게 포위되었다. 멀리서 축융부인이 창을 꼬나쥐고 말을 타고 서 있는 것이 보여서, 마충이 분노하여 싸우러 달려가다가, 타고 있던 말이 올가미에 걸려 넘어지니, 마충 역시 사로잡혔다. 모두 은갱동으로 압송돼 맹획 앞으로 끌려갔다. 맹획이 술자리를 열어 축하했다. 부인이 도부수들에게 호통을 쳐서 장의와 마충을 끌어내 목을 베라고 했다. 맹획이 말리며 말하기를,
 
35
“제갈량이 나를 다섯 번이나 풀어줬는데, 이번에 그의 장수들을 죽인다면, 이것은 의롭지 못하오. 우선 고을의 옥에 가두어, 제갈량을 사로잡은 뒤 죽여도 늦지 않소.”
 
36
하니, 부인이 그 말을 따르고, 웃고 마시며 즐거워했다.
 
 
37
卻說敗殘兵來見孔明,告知其事。孔明即喚馬岱、趙雲、魏延三人受計,各自領軍前去。次日,蠻兵報入洞中,說趙雲搦戰。祝融夫人即上馬出迎。二人戰不數合,雲撥馬便走。夫人恐有埋伏,勒兵而回。魏延又引軍來搦戰,夫人縱馬相迎。正交鋒緊急,延詐敗而逃,夫人只不趕。次日,趙雲又引軍來搦戰,夫人領洞兵出迎。二人戰不數合,雲詐敗而走,夫人按槍不趕。欲收兵回洞時,魏延引軍齊聲辱罵,夫人急挺槍來取魏延。延撥馬便走。夫人忿怒趕來,延驟馬奔入山僻小路。忽然背後一聲響亮,延回頭視之,夫人仰鞍落馬:原來馬岱埋伏在此,用絆馬索絆倒。就裏擒縛,解投大寨而來。蠻將洞兵皆來救時,趙雲一陣殺散。
 
38
한편, 패잔병들이 돌아와 공명을 만나서 그 일을 알렸다. 공명이 즉시 마대, 조운, 위연 세 사람을 불러 계책을 주니, 제각기 군사를 이끌고 떠났다. 다음날, 남만병들이 은갱동 안으로 들어가, 조운이 싸움을 건다고 알렸다. 축융부인이 즉시 말에 올라서 맞이하러 나갔다. 두 사람이 싸운 지 몇 합이 되지 않아, 조운이 말머리를 돌려 달아났다. 부인이 매복이 있을까 두려워서 군사들을 멈추게 하고 되돌아갔다. 위연도 군사를 이끌고 가서 싸움을 거니, 부인이 말을 몰아서 맞이했다. 맹렬하게 싸우다가 위연이 거짓 패한 척 달아나니, 부인이 뒤쫓지 않았다. 다음날, 조운이 또다시 군사를 이끌고 싸움을 거니, 부인이 남만병들을 거느리고 맞이하러 나갔다. 두 사람이 싸운 지 몇 합이 되지 않아 조운이 거짓 패한 척 달아나지만, 부인은 창을 든 채 뒤쫓지 않았다. 병력을 거두어 은갱동으로 돌아가려는데, 위연이 군사를 이끌고 일제히 소리지르며 모욕을 주고 꾸짖으니, 부인이 급히 창을 꼬나쥐고 위연에게 달려들었다. 위연이 말머리를 돌려 달아나자, 부인이 분노해 뒤쫓아 오는데, 위연이 말을 몰아 산속의 외진 길로 달아났다. 홀연 등 뒤에서 한바탕 요란한 소리가 나기에 위연이 고개를 돌려 보니, 부인이 말안장에서 뒤집혀 낙마했다. 원래, 마대가 이곳에 매복하여, 반마삭(말을 거는 노끈)으로 걸려 넘어지게 만든 것이다. 그렇게 부인을 사로잡아 대채로 압송해 왔다. 남만 장수와 병사들이 모두 구원하려 왔지만, 조운이 한바탕 무찔러 흩어버렸다.
 
 
39
孔明端坐於帳上,馬岱解祝融夫人到,孔明急令武士去其縛,請在別帳賜酒壓驚,遣使往告孟獲,欲送夫人換張嶷、馬忠二將。孟獲允諾,即放出張嶷、馬忠,還了孔明。孔明遂送夫人入洞。孟獲接入,又喜又惱。忽報八納洞主到。孟獲出洞迎接,見其人騎著白象,身穿金珠纓絡,腰懸兩口大刀,領著一班喂養虎豹豺狼之士,簇擁而入。獲再拜哀告,訴說前事。木鹿大王許以報仇。獲大喜,設宴相待。
 
40
공명이 군막 상좌에 단정히 앉았는데, 마대가 축융부인을 압송해 오자, 공명이 급히 무사들에게 시켜 부인의 포박을 풀게 했다. 부인을 다른 군막에 머물게 하고, 술을 내려 그 놀란 마음을 가라앉혔다. 사자를 맹획에게 보내어 알리고, 부인을 장의, 마충 두 장수와 교환하자고 했다. 맹획이 응낙해서 즉시 장의와 마충을 풀어주어 공명에게 돌려보냈다. 공명이 곧 축융부인을 은갱동으로 들여보냈다. 맹획이 부인을 맞이해 들여서 기뻐하고 또 괴로워했다. 갑자기 보고하기를, 팔납동의 동주가 왔다고 했다. 맹획이 은갱동을 나가 영접하는데, 그 사람은 하얀 코끼리를 타고, 몸을 황금과 진주, 옥돌로 장식하고, 허리에 큰 칼 두 자루를 차고, 한 무리의 호랑이, 표범, 승냥이, 이리와 같은 맹수들을 부리는 사람들을 거느렸다. 그들이 빽빽히 밀려들었다. 맹획이 거듭 절하고, 지난 일들을 하소연했다. 목록대왕이 함께 복수할 것을 승낙하자, 맹획이 크게 기뻐하며, 잔치를 베풀어 대접했다.
 
 
41
次日,木鹿大王引本洞兵帶猛獸而出。趙雲、魏延聽知蠻兵出,遂將軍馬布成陣勢。二將並轡立於陣前視之,只見蠻兵旗幟器械皆別:人多不穿衣甲,盡裸身赤體,面目醜陋;身帶四把尖刀;軍中不鳴鼓角,但篩金爲號;木鹿大王腰掛兩把寶刀,手執蒂鍾,身騎白象,從大旗中而出。趙雲見了,謂魏延曰:“我等上陣一生,未嘗見如此人物。”二人正沉吟之際,只見木鹿大王口中不知念甚咒語,手搖蒂鍾。忽然狂風大作,飛砂走石,如同驟雨;一聲畫角響,虎豹豺狼,毒蛇猛獸,乘風而出,張牙舞爪,沖將過來。蜀兵如何抵當,往後便退。蠻兵隨後追殺,直趕到三江界路方回。
 
42
다음날, 목록대왕이 팔납동의 병력을 이끌고 맹수를 거느리고 나왔다. 조운과 위연이 남쪽 오랑캐의 출병을 듣고, 곧 군마를 거느리고 포진했다. 두 장수가 군진 앞에 나란히 말고삐를 잡고 서서 바라보니, 남만병들의 깃발들과 군사장비가 모두 달랐다. 많은 이들이 옷이나 갑옷을 입지 않고, 모조리 알몸뚱이 벌거숭이고, 얼굴 생김새가 추하고 더러웠다. 몸에는 네 자루의 뾰죡한 칼을 가졌고, 군중에서 북을 치거나 나팔을 불지 않고, 다만 징을 쳐서 신호로 삼았다. 목록대왕이 허리에 두 자루 보검을 차고, 손으로 꼭지 달린 종을 잡고, 하얀 코끼리에 올라타서, 큰 깃발 사이로 나왔다. 조운이 보더니 위연에게 말하기를,
 
43
“우리가 싸움터에서 일생을 보냈지만, 아직까지 이와 같은 인물은 보지 못했소.”
 
44
했다. 두 사람이 생각하는 사이에, 목록대왕이 그 입으로 알아차릴 수 없는 주문을 잔뜩 외우고, 손으로 꼭지 달린 종을 흔들었다. 갑자기 미친 바람이 크게 일어나서, 모래가 날고 돌이 굴러서 마치 소나기 같이 내렸다. 화각(그림을 새긴 나팔) 소리가 한바탕 울리더니, 호랑이, 표범, 승냥이, 이리 등 맹수들과 독사가 바람을 타고 나타나서 이빨을 드러내고 발톱을 세워서 쳐들어왔다. 촉병들이 어떻게 막아낼 줄을 몰라서, 뒷쪽으로 물러났다. 남만병들이 뒤를 따라 추격하다가 삼강 경계에 이르러서야 돌아갔다.
 
 
45
趙雲、魏延收聚敗兵,來孔明帳前請罪,細說此事。孔明笑曰:“非汝二人之罪。吾未出茅廬之時,先知南蠻有驅虎豹之法。吾在蜀中已辦下破此陣之物也:隨軍有二十輛車,俱封記在此。今日且用一半;留下一半,後有別用。”遂令左右取了十輛紅油櫃車到帳下,留十輛黑油櫃車在後。 衆皆不知其意。孔明將櫃打開,皆是木刻彩畫巨獸,俱用五色絨線爲毛衣,鋼鐵爲牙爪,一個可騎坐十人。孔明選了精壯軍士一千餘人,領了一百,口內裝煙火之物,藏在軍中。
 
46
조운과 위연이 패잔병들을 거두어 모아 공명의 군막 앞으로 가서 죄를 청하며, 이 일을 자세히 이야기했다. 공명이 웃으며 말하기를,
 
47
“그대 두 사람의 죄가 아니오. 내가 아직 초려(초가집)에서 나오지 않았을 때, 남만에 호랑이와 표범을 부리는 술법이 있음을 이미 알았소. 내가 촉나라에 있을 때부터 이미 이러한 군진을 깨뜨릴 물건을 준비했소. 군사들을 뒤따라 스무 량의 수레가 있는데, 모두 여기에 밀봉해 적어놨소. 오늘 우선 그 절반을 쓰고, 나머지 절반은 남겨서, 훗날 따로 쓸 것이오.”
 
48
했다. 곧 좌우의 사람들에게 명령해, 붉은 색 궤(상자)를 실은 수레 열 량을 군막 아래로 가져오게 하고, 검은 색 궤를 실은 수레 열 량을 뒷쪽에 남겨두게 했다. 사람들이 모두 그 뜻을 알지 못했다. 공명이 궤를 여니, 모두 나무를 깎아 색칠한 큰 짐승들로, 모두 다섯 색깔 털실로 털옷을 만들고, 강철로 이빨과 발톱을 만들었는데, 한 개에 열 사람이 올라탈 수 있었다. 공명이 튼튼한 군사를 1천여 명을 가려뽑고, 백 명에게 불과 연기를 일으키는 물건을 (큰 짐승의) 입 속에 장치하게하고 군중에 숨어 있게 했다.
 
 
49
次日,孔明驅兵大進,布於洞口。蠻兵探知,入洞報與蠻王。木鹿大王自謂無敵,即與孟獲引洞兵而出。孔明綸巾羽扇,身衣道袍,端坐於車上。孟獲指曰:“車上坐的便是諸葛亮!若擒住此人,大事定矣!”木鹿大王口中念咒,手搖蒂鍾。頃刻之間,狂風大作,猛獸突出。孔明將羽扇一搖,其風便回吹彼陣中去了,蜀陣中假獸擁出。蠻洞真獸見蜀陣巨獸口吐火焰,鼻出黑煙,身搖銅鈴,張牙舞爪而來,諸惡獸不敢前進,皆奔回蠻洞,反將蠻兵沖倒無數。孔明驅兵大進,鼓角齊鳴,望前追殺。木鹿大王死於亂軍之中。洞內孟獲宗黨,皆棄宮闕,扒山越嶺而走。孔明大軍占了銀坑洞。
 
50
다음날, 공명이 병력을 몰아 크게 진격해서 은갱동 입구에 포진했다. 남만병들이 탐지하고, 은갱동으로 들어가 남만왕에게 알렸다. 목록대왕이 스스로 무적이라 여기고, 즉시 맹획과 더불어 남만병들을 이끌고 출격했다. 공명이 머리에 윤건을 쓰고 손에 깃털 부채를 들고, 몸에 도포를 입은 채, 수레 위에 단정히 앉았다. 맹획이 가리키며 말하기를,
 
51
“수레 위에 앉은 이가 바로 제갈량이오! 저 사람을 잡으면 대사(큰일)가 정해질 것이오!”
 
52
했다. 목록대왕이 입속에서 주문을 외며, 손으로 꼭지 달린 종을 흔들었다. 눈깜짝할 사이에 미친 바람이 크게 일고, 맹수들이 튀어나왔다. 공명이 깃털 부채를 한번 흔들자, 그 바람이 적진으로 되돌아서 불고, 촉나라 진영에서 가짜 맹수들이 몰려나왔다. 남쪽 오랑캐의 진짜 맹수들이 촉나라 진영의 거대 맹수들이 입에서 화염을 뿜고, 코에서 검은 연기를 내고, 몸에 달린 구리방울들이 요동치는 가운데, 이빨을 드러내고 발톱을 휘두르며 달려드는 것을 보고, (남쪽 오랑캐의) 흉악한 맹수들이 감히 전진하지 못하고, 모두 되돌아 오랑캐 쪽으로 달아나서 도리어 오랑캐 병사들이 무수히 부딪혀 쓰러졌다. 공명이 병력을 몰아 크게 진격하니, 북과 피리 소리를 일제히 울리며, 앞으로 나아가 뒤쫓아 죽였다. 목록대왕이 난전 중에 죽었다. 은갱동 안의 맹획의 종족이 궁궐을 버리고 산과 고개를 넘어 달아났다. 공명의 대군이 은갱동을 점령했다.
 
 
53
次日,孔明正要分兵緝擒孟獲,忽報:“蠻王孟獲妻弟帶來洞主,因勸孟獲歸降,獲不從,今將孟獲並祝融夫人及宗黨數百餘人盡皆擒來,獻與丞相。”孔明聽知,即喚張嶷、馬忠,分付如此如此。二將受了計,引二千精壯兵,伏於兩廊。孔明即令守門將,俱放進來。帶來洞主引刀斧手解孟獲等數百人,拜於殿下。孔明大喝曰:“與吾擒下!”兩廊壯兵齊出,二人捉一人,盡被執縛。
 
54
다음날, 공명이 병력을 나누어 맹획을 잡으려는데, 갑자기 보고하기를,
 
55
“남만왕 맹획의 처남 대래동주가 맹획에게 투항을 권했으나 맹획이 따르지 않자, 이제 맹획과 아울러 축융부인 및 종족 수백여 사람을 모조리 사로잡아 와서, 승상께 바치겠다고 합니다.”
 
56
했다. 공명이 이 말을 듣고, 즉시 장의와 마충을 불러 이렇게 이렇게 하라고 분부했다. 두 장수가 계책을 받고, 건장한 병력 2천을 이끌고 양쪽 옆 군막에 매복했다. 공명이 곧 수문장에게 명령해서 문을 모두 열어서 들여보내게 했다. 대래동주가 도부수들을 이끌고 맹획 등 수백 사람을 압송해 오더니, 계단 아래에서 절을 올렸다. 공명이 크게 호통쳐 말하기를,
 
57
“이놈들을 붙잡아라!”
 
58
하니, 양쪽 옆 군막에서 건장한 병사들이 일제히 나와서, 두 사람이 한 사람씩 붙잡아, 모조리 포박했다.
 
 
59
孔明大笑曰:“量汝些小詭計,如何瞞得過我!汝見二次俱是本洞人擒汝來降,吾不加害;汝只道吾深信,故來詐降,欲就洞中殺吾!”喝令武士搜其身畔,果然各帶利刀。孔明問孟獲曰:“汝原說在汝家擒住,方始心服;今日如何?”獲曰:“此是我等自來送死,非汝之能也。吾心未服。”孔明曰:“吾擒住六番,尚然不服,欲待何時耶?”獲曰:“汝第七次擒住,吾方傾心歸服,誓不反矣。”孔明曰:“巢穴已破,吾何慮哉!”令武士盡去其縛,叱之曰:“這番擒住,再若支吾,必不輕恕!”孟獲等抱頭鼠竄而去。
 
60
공명이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61
“네 하찮은 속임수로 어찌 나를 속여 넘기겠느냐! 너도 보았다시피, 너희 고을 사람들이 두번이나 너를 잡아서 투항해 왔지만, 나는 해치지 않았다. 너는 내가 깊이 믿는 줄만 여기고, 거짓 항복하여 찾아와 나를 이 고을에서 죽이려 한 것이다!”
 
62
하고, 무사들에게 소리쳐서 그 몸을 뒤지니, 과연 제각기 예리한 칼을 지녔다. 공명이 맹획에게 묻기를,
 
63
“너는 원래 네 집에서 사로잡히면 비로소 진심으로 복종하겠다고 말했다. 오늘 어떻게 하겠느냐?”
 
64
하니, 맹획이 말하기를,
 
65
“이것은 우리가 스스로 죽을 길을 찾아온 것이지, 그대가 잘해서가 아니오. 나는 마음으로 복종할 수 없소.”
 
66
했다. 공명이 말하기를,
 
67
“내게 여섯 번이나 사로잡히고도, 아직도 복종하지 않겠다면, 언제까지 기다리란 것이냐?”
 
68
하니, 맹획이 말하기를,
 
69
“그대가 일곱 번째로 사로잡으면 나는 비로소 마음을 기울여 귀순하고 맹세코 배반하지 않겠소!”
 
70
했다. 공명이 말하기를,
 
71
“소굴을 이미 깨뜨렸거늘, 내가 무엇을 걱정하랴!”
 
72
했다. 무사들을 시켜 그들의 포박을 모두 풀어주고 꾸짖어 말하기를,
 
73
“이번에 붙잡히고도 다시 항거한다면 결코 가볍게 용서하지 않겠다!”
 
74
했다. 맹획 등이 머리를 감싸쥐고 쥐새끼처럼 달아났다.
 
 
75
卻說敗殘蠻兵有千餘人,大半中傷而逃,正遇蠻王孟獲。獲收了敗兵,心中稍喜,卻與帶來洞主商議曰:“吾今洞府已被蜀兵所占,今投何地安身?”帶來洞主曰:“止有一國可以破蜀。”獲喜曰:“何處可去?”帶來洞主曰:“此去東南七百裏,有一國,名烏戈國。國主兀突骨,身長丈二,不食五穀,以生蛇惡獸爲飯;身有鱗甲,刀箭不能侵。其手下軍士,俱穿藤甲;其藤生於山澗之中,盤於石壁之上;國人采取,浸於油中,半年方取出曬之;曬幹複浸,凡十餘遍,卻才造成鎧甲;穿在身上,渡江不沉,經水不濕,刀箭皆不能入:因此號爲‘藤甲軍’。今大王可往求之。若得彼相助,擒諸葛亮如利刀破竹也。”
 
76
한편, 남만의 패잔병 천여 명이 태반이나 부상을 입고 달아나다가, 마침 남만왕 맹획과 만났다. 맹획이 패잔병들을 거두어 마음 속으로 자못 기뻐하며, 대래동주와 상의해 말하기를,
 
77
“내 이제 남만 고을을 이미 촉병들에게 빼앗겼으니 이제 어디로 가서 몸을 부치겠소?”
 
78
하니, 대래동주가 말하기를,
 
79
“촉나라를 격파할 나라가 꼭 하나 있사옵니다.”
 
80
했다. 맹획이 기뻐하며 말하기를,
 
81
“어디로 가면 되겠소?”
 
82
하니, 대래동주가 말하기를,
 
83
“여기서 동남쪽 칠백 리에 한 나라가 있으니 이름하여 오과국입니다. 국왕 올돌골은 키가 두 길이고, 오곡을 먹지 않고, 살아 있는 뱀과 흉악한 짐승을 밥으로 먹습니다. 몸에는 비늘 갑옷이 있어서 칼이나 화살로 뚫을 수 없습니다. 그 수하 군사들은 모두 등나무 갑옷을 입습니다. 그 등나무는 산골짜기에서 자라서 암벽 위로 감아 올라갑니다. 그 나라 사람들이 그것을 채취해서 기름 속에 담갔다가 반년이 지나면 꺼내어 햇볕에 말립니다. 말리고 다시 기름에 담그기를 무릇 십여 번을 한 뒤에야 그것으로 갑옷을 만듭니다. 그것을 몸 위에 걸치면, 강을 건너도 가라앉지 않고, 물 속을 지나가도 젖지 않으며, 칼이나 화살로 뚫을 수 없습니다. 이러므로 이름하여 등갑군이라 합니다. 이제 대왕께서 가서 요청하셔서, 만약 그의 도움을 얻는다면 제갈량을 사로잡는 것은 마치 날카로운 칼로써 대나무를 쪼갬과 같사옵니다.”
 
84
했다.
 
 
85
孟獲大喜,遂投烏戈國,來見兀突骨。其洞無宇舍,皆居土穴之內。孟獲入洞,再拜哀告前事。兀突骨曰:“吾起本洞之兵,與汝報仇。”獲欣然拜謝。於是兀突骨喚兩個領兵俘長:一名土安,一名奚泥,起三萬兵,皆穿藤甲,離烏戈國望東北而來。行至一江,名桃花水,兩岸有桃樹,曆年落葉於水中,若別國人飲之盡死,惟烏戈國人飲之,倍添精神。兀突骨兵至桃花渡口下寨,以待蜀兵。
 
86
맹획이 크게 기뻐하며 마침내 오과국으로 올돌골을 만나러 갔다. 그 고을에는 집이 없고, 모두 토굴에서 거주했다. 맹획이 그 고을에 들어가서 거듭 절하고, 지난 일을 하소연했다. 올돌골이 말하기를,
 
87
“우리 고을의 병력을 일으켜서 그대의 복수를 해주겠소.”
 
88
했다. 맹획이 기뻐하며 고개숙여 고마워했다. 이에 올돌골이 병력을 이끌 장수 두 사람을 부르니, 한 사람의 이름은 토안이고 또 한 사람의 이름이 해니였다. 3만 병력을 일으켰는데 모두 등갑을 걸치고, 오과국을 떠나 동북쪽으로 갔다. 어느 강에 이르니 이름하여 도화수로 양쪽 물가에 복숭아 나무가 있어, 해마다 물 속에 그 잎이 떨어졌다. 만약 다른 나라 사람이 강물을 마시면 모두 죽지만, 오직 오과국 사람이 마시면 오히려 기력이 갑절로 늘어났다. 올돌골의 병사들이 도화수 나루에 이르러 영채를 세우고 촉병을 기다렸다.
 
 
89
卻說孔明令蠻人哨探孟獲消息,回報曰:“孟獲請烏戈國主,引三萬藤甲軍,現屯於桃花渡口。孟獲又在各番聚集蠻兵,並力拒戰。”孔明聽說,提兵大進,直至桃花渡口。隔岸望見蠻兵,不類人形,甚是醜惡;又問土人,言說即日桃葉正落,水不可飲。孔明退五裏下寨,留魏延守寨。 次日,烏戈國主引一彪藤甲軍過河來,金鼓大震。魏延引兵出迎。蠻兵卷地而至。蜀兵以弩箭射到藤甲之上,皆不能透,俱落於地;刀砍槍刺,亦不能入。蠻兵皆使利刀鋼叉,蜀兵如何抵當,盡皆敗走。蠻兵不趕而回。魏延複回,趕到桃花渡口,只見蠻兵帶甲渡水而去;內有困乏者,將甲脫下,放在水面,以身坐其上而渡。
 
90
한편, 공명이 남만인을 시켜 맹획의 소식을 정탐하니, 돌아와서 보고하기를,
 
91
“맹획이 오과국의 군주에게 요청해서 등갑군 3만을 이끌고, 현재 도화수 나루에 주둔했습니다. 맹획이 또한 번국(제후국)마다 오랑캐 병사를 불러모아, 힘을 합쳐 막아 싸우려 합니다.”
 
92
했다. 공명이 듣고, 병력을 거느리고 크게 진격하여, 곧바로 도화수 나루에 이르렀다. 강 건너 남쪽 오랑캐 병력을 바라보니, 사람의 모양 같지 않고 몹시 추악했다. 또한 원주민에게 물으니, 이 날 복숭아 나뭇잎이 강물에 떨어지고 있어, 물을 마실 수 없다고 했다. 공명이 5 리를 물러 영채를 세우게 하고, 위연을 남겨 영채를 지키게 했다. 다음날, 오과국 군주가 한 무리의 등갑군을 이끌고 강을 건너오니, 징소리와 북소리가 크게 진동했다. 위연이 병력을 이끌고 나아가 맞았다. 남만병들이 땅을 뒤덮으며 몰려왔다. 촉병들이 쏜 쇠뇌 화살이 등갑을 맞추지만 모두 등갑을 뚫지 못하고 땅으로 떨어졌다. 칼로 베고 창으로 찔러도 역시 뚫고 들어가지 못했다. 남만병들이 모두 예리한 칼과 강차(막대 끝에 Y자형의 강철을 꽂은 무기)를 쓰니 촉병들이 어떻게 막아낼 수가 없어 모두 패주했다. 남만병들이 뒤쫓지 않고 되돌아갔다. 위연이 다시 돌아와서 도화수 나루에 가보니, 남만병들이 갑옷을 입고 물을 건너갔다. 그들 가운데 피곤한 자들은 갑옷을 벗어 물 위에 띄우고 그 위에 앉아 강을 건넜다.
 
 
93
魏延急回大寨,來稟孔明,細言其事。孔明請呂凱並土人問之。凱曰:“某素聞南蠻中有一烏戈國,無人倫者也。更有藤甲護身,急切難傷。又有桃葉惡水,本國人飲之,反添精神;別國人飲之即死:如此蠻方,縱使全勝,有何益焉?不如班師早回。”孔明笑曰:“吾非容易到此,豈可便去!吾明日自有平蠻之策。”於是令趙雲助魏延守寨,且休輕出。
 
94
위연이 급히 대채로 돌아와서 공명에게 여쭈며 그 일을 자세히 말했다. 공명이 여개와 원주민을 불러 물으니, 여개가 말하기를,
 
95
“제가 평소 듣자니, 남만에 오과국이라고 있는데 인륜(인간의 도리)이 없다고 합니다. 또한 등나무 갑옷으로 몸을 지키니 쉽사리 살상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도화수의 나쁜 물은 그 나라 사람이 마시면 도리어 기력이 더욱 솟지만 다른 나라 사람이 마시면 곧바로 죽습니다. 이러한 오랑캐 나라는 비록 완전히 이긴들 무슨 이익이 있겠습니까? 차라리 군사들 거둬 어서 돌아감만 못합니다.”
 
96
했다. 공명이 웃으며 말하기를,
 
97
“내가 어렵게 이곳까지 왔는데 어찌 바로 돌아가겠소! 내게 내일 오랑캐를 평정할 계책이 있소.”
 
98
했다. 이에 조운에게 위연을 도와 영채를 지키라 명령하고, 우선 가볍게 출전하지 말라고 했다.
 
 
99
次日,孔明令土人引路,自乘小車到桃花渡口北岸山僻去處,遍觀地理。山險嶺峻之處,車不能行,孔明棄車步行。忽到一山,望見一穀,形如長蛇,皆光峭石壁,並無樹木,中間一條大路。孔明問土人曰:“此穀何名?”土人答曰:“此處名爲盤蛇穀。出穀則三江城大路,穀前名塔郎甸。”孔明大喜曰:“此乃天賜吾成功於此也!”遂回舊路,上車歸寨,喚馬岱分付曰:“與汝黑油櫃車十輛,須用竹竿千條,櫃內之物,如此如此。可將本部兵去把住盤蛇穀兩頭,依法而行。與汝半月限,一切完備。至期如此施設。倘有走漏,定按軍法。”馬岱受計而去。
 
100
다음날, 공명이 원주민을 길잡이로 삼아 스스로 작은 수레를 타고 도화수 나루 북쪽 물가의 산 속 외진 곳으로 가서 지리를 두루 살폈다. 산과 고개가 험한 곳에서 수레가 갈 수 없어서 공명이 수레에서 내려 걸었다. 그런데 어느 산에 이르러 골짜기를 바라보니 생김새가 마치 긴 뱀과 같고, 모두 번쩍이는 가파른 암벽에 수목이 전혀 없는데, 중간에 한 줄기 큰 길이 나 있다. 공명이 원주민에게 묻기를,
 
101
“이 골짜기의 이름이 무엇인가?”
 
102
하니, 원주민이 말하기를,
 
103
“이곳은 이름하여 반사곡(뱀이 서린 골짜기)이라 합니다. 골짜기를 나가면 삼강성의 큰 길이 나옵니다. 골짜기 앞을 탑랑전라고 부릅니다.”
 
104
했다. 공명이 크게 기뻐하며 말하기를,
 
105
“이것은 바로 하늘이 나로 하여금 이곳에서 공을 이루라는 것이다!”
 
106
했다. 곧 왔던 길로 되돌아가 수레를 타고 영채로 돌아와 마대를 불러 분부하기를,
 
107
“그대에게 검은 칠한 궤(상자)를 실은 수레 열 량을 줄 테니, 반드시 대나무 장대 천 개와 궤 안의 물건으ㄹ써서 이러이러하게 하고, 휘하 병력을 거느리고 반사곡 양쪽 입구를 차단하고 알려준 방법대로 실행하시오. 보름의 시한을 주겠으니 모두 완비하시오. 그때까지 이와같이 설치하시오. 만약 준비가 모자라면 군법에 따라 벌하겠소.”
 
108
하니, 마대가 계책을 받아 떠났다.
 
 
109
又喚趙雲分付曰:“汝去盤蛇穀後,三江大路口如此守把。所用之物,克日完備。”趙雲受計而去。又喚魏延分付曰:“汝可引本部兵去桃花渡口下寨。如蠻兵渡水來敵,汝便棄了寨,望白旗處而走。限半個月內,須要連輸十五陣,棄七個寨柵。若輸十四陣,也休來見我。”魏延領命,心中不樂,怏怏而去。孔明又喚張翼另引一軍,依所指之處,築立寨柵去了;卻令張嶷、馬忠引本洞所降千人,如此行之。各人都依計而行。
 
110
다시 조운을 불러 분부하기를,
 
111
“그대는 반사곡 뒤의 삼강대로의 입구로 가서, 이렇게 지키고, 필요한 것들을 당일까지 완비하시오.”
 
112
라고 했다. 조운이 계책을 받고 떠났다. 다시 위연을 불러 분부하기를,
 
113
“그대는 휘하 병력을 이끌고 도화수 나루로 가서 영채를 세우시오. 남만병이 물을 건너 쳐들어오면 그대는 바로 영채를 버리고, 백기가 펄럭이는 쪽으로 달아나시오. 보름 안에 잇달아 열다섯 번을 패전하고 일곱 개의 영채와 울타리를 포기해야겠소. 열네 번 패전하더라도 나를 찾아오지 마시오.”
 
114
했다. 위연이 명령을 받들고 마음속이 즐겁지 않아서 불만스러워 하며 떠났다. 공명이 다시 장익을 불러서 따로 한 무리 군사를 이끌고 공명이 알려준 곳으로 가서 영채와 울타리를 세우라고 했다. 다시 장의와 마충을 불러, 항복한 남만병 천 명을 이끌고, 이같이 실행하라고 명령한다. 각각 계책에 따라 실행했다.
 
 
115
卻說孟獲與烏戈國主兀突骨曰:“諸葛亮多有巧計,只是埋伏。今後交戰,分付三軍:但見山穀之中,林木多處,不可輕進。”兀突骨曰:“大王說的有理。吾已知道中國人多行詭計。今後依此言行之。吾在前面廝殺;汝在背後教道。”兩人商議已定。忽報蜀兵在桃花渡口北岸立起營寨。兀突骨即差二俘長引藤甲軍渡了河,來與蜀兵交戰。不數合,魏延敗走。蠻兵恐有埋伏,不趕自回。次日,魏延又去立了營寨。蠻兵哨得,又引 衆軍渡過河來戰。延出迎之。不數合,延敗走。蠻兵追殺十餘裏,見四下並無動靜,便在蜀寨中屯住。
 
116
한편, 맹획은 오과국 군주 올돌골에게 말하기를,
 
117
“제갈량은 교묘한 꾀가 많으니 이것은 매복작전이 틀림없소. 이제부터 교전할 때 삼군에 분부하여, 산골짜기 안이나 수풀이 많은 곳을 보면 함부로 진군하지 못하게 하시오.”
 
118
하니, 올돌골이 말하기를,
 
119
“대왕의 말씀이 일리가 있소. 나도 이미 중국인들이 속임수를 많이 부림을 알고 있소. 이제부터 그 말씀을 따르겠소. 내가 앞에서 쳐부술 테니 대왕은 배후에서 길을 가르치시오.”
 
120
했다. 두 사람이 상의를 마치는데 갑자기 보고하기를, 촉병들이 도화수 나루 북쪽 물가에 영채를 세웠다고 했다. 올돌골이 즉시 부장 두 사람을 보내어 등갑군을 이끌고 강을 건너 촉병과 싸우게 했다. 몇 합 싸우지 않아서 위연이 패주했다. 남만병들이 매복이 있을까 두려워서 뒤쫓지 않고 스스로 돌아갔다. 다음날, 위연이 다시 가서 영채를 세웠다. 남만병들이 이를 알아채고 다시 대군을 이끌고 강을 건너 싸우러 왔다. 위연이 나가서 맞이했으나 몇 합 싸우지 않고 위연이 패주했다. 남만병들이 십여 리를 추격하더니 사방에 아무런 움직임이 없자 촉나라 영채에 주둔했다.
 
 
121
次日,二俘長請兀突骨到寨,說知此事。兀突骨即引兵大進,將魏延追一陣。蜀兵皆棄甲拋戈而走,只見前有白旗。延引敗兵,急奔到白旗處,早有一寨,就寨中屯住。兀突骨驅兵追至,魏延引兵棄寨而走。蠻兵得了蜀寨。次日,又望前追殺。魏延回兵交戰,不三合又敗,只看白旗處而走,又有一寨,延就寨屯住。次日,蠻兵又至。延略戰又走。蠻兵占了蜀寨。
 
122
다음날, 부장 둘이 올돌골을 영채로 모셔서 이 일을 이야기했다. 올돌골이 즉시 병력을 이끌고 크게 나아가 위연을 한바탕 추격했다. 촉병들은 모두 갑옷을 버리고 무기를 내던지고 달아나는데 앞쪽에 백기가 펄럭였다. 위연이 패잔병들을 이끌고 급히 백기가 있는 곳으로 달려가니 어느새 영채가 하나 있어서 영채 안에 주둔했다. 올돌골이 병력을 몰아서 뒤쫓아 오자, 위연이 병력을 이끌고 영채를 포기하고 달아났다. 남쪽 오랑캐 병사들이 촉나라 영채를 차지했다. 다음날, 다시 앞으로 추격했다. 위연이 병력을 되돌려 교전하다가, 3 합을 못 싸우고 패주했다. 다시 백기가 있는 곳으로 달아나니 역시 영채가 하나 있어서, 위연이 영채 안에 주둔했다. 다음날 다시 남만병들이 몰려오니, 위연이 조금 싸우다가 다시 달아났다. 남만병들이 촉나라 영채를 점령했다.
 
 
123
話休絮煩,魏延且戰且走,已敗十五陣,連棄七個營寨。蠻兵大進追殺。兀突骨自在軍前破敵,於路但見林木茂盛之處,便不敢進;卻使人遠望,果見樹陰之中,旌旗招颭。兀突骨謂孟獲曰:“果不出大王所料。”孟獲大笑曰:“諸葛亮今番被吾識破!大王連日勝了他十五陣,奪了七個營寨,蜀兵望風而走。諸葛亮已是計窮;只此一進,大事定矣!”兀突骨大喜,遂不以蜀兵爲念。
 
124
번거로운 이야기는 그만하고, 위연은 싸우고 또 달아나기를 되풀이해, 벌써 열다섯 차례나 패전하고 잇달아 일곱 개의 영채를 버렸다. 오랑캐 병사가 크게 진군해서 추격했다. 올돌골이 스스로 군사들 선두에서 적군을 격파하는데, 도중에 수풀이 무성한 곳이 나타나니, 감히 전진하지 못했다. 사람을 시켜 멀리 정찰하게 하니, 과연 수풀 그늘 속에 깃발들이 펄럭였다. 올돌골이 맹획에게 말하기를,
 
125
“과연 대왕께서 헤아리신 대로요.”
 
126
하니, 맹획이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127
“제갈량이 이번에 나에게 간파됐소! 대왕께서 날마다 열다섯 번을 이기고 입곱 개 영채를 빼앗으니 촉병들이 우리만 보고도 놀라서 달아나오. 제갈량이 이미 계책이 다했으니, 이렇게 한번만 진격하면 큰 일이 이뤄질 것이오!”
 
128
했다. 올돌골이 크게 기뻐하며, 마침내 촉병을 조심하지 않았다.
 
 
129
至第十六日,魏延引敗殘兵,來與藤甲軍對敵,兀突骨騎象當先,頭戴日月狼須帽,身披金珠纓絡,兩肋下露出生鱗甲,眼目中微有光芒,手指魏延大罵。延撥馬便走。後面蠻兵大進。魏延引兵轉過了盤蛇穀,望白旗而走。兀突骨統引兵 衆,隨後追殺。兀突骨望見山上並無草木,料無埋伏,放心追殺。趕到穀中,見數十輛黑油櫃車在當路。蠻兵報曰:“此是蜀兵運糧道路,因大王兵至,撇下糧車而走。”兀突骨大喜,催兵追趕。將出穀口,不見蜀兵,只見橫木亂石滾下,壘斷穀口。兀突骨令兵開路而進,忽見前面大小車輛,裝載幹柴,盡皆火起。
 
130
열엿새 째 되는 날, 위연이 패잔병을 이끌고, 등갑군과 싸우러 오니, 올돌골이 코끼리를 타고 선두에 서서, 머리에 일월랑수모를 쓰고, 몸을 황금, 진주, 옥돌로 꾸몄는데, 양쪽 갈빗대에 갑옷처럼 단단한 비늘이 드러나고, 눈동자에서 빛을 내뿜는 듯했다. 올돌골이 위연을 가리키며 크게 욕을 하니 위연이 말머리를 돌려 달아나고 그 뒤를 남만병들이 크게 진격했다. 위연이 병력을 이끌고 반사곡을 돌아서, 백기가 있는 쪽으로 달아났다. 올돌골이 병사들을 모두 이끌고 그 뒤를 추격했다. 올돌골이 멀리 바라보니 산 위에 아무런 초목이 없어, 매복이 없다고 여기고, 마음놓고 추격했다. 골짜기 안에 이르니, 수십 량의 검은 상자를 실은 수레가 길을 막고 있었다. 오랑캐 병사가 보고하기를,
 
131
“이곳은 바로 촉병의 군량을 나르는 길인데, 대왕께서 오시자, 군량 수레를 내던져 버리고 달아났습니다.”
 
132
했다. 올돌골이 크게 기뻐하며 병사들을 재촉해 추격했다. 곧 골짜기 입구를 나오려는데 촉병들은 보이지 않고, 다만 나무와 암석이 어지럽게 굴러떨어져서, 골짜기 입구를 겹겹이 차단했다. 올돌골이 병사들에게 길을 뚫고 나아가라고 명령했다. 문득 보니, 앞쪽의 크고 작은 수레에 마른 불쏘시개가 잔뜩 실려 있고 모조리 불길이 치솟았다.
 
 
133
兀突骨忙教退兵,只聞後軍發喊,報說穀中已被幹柴壘斷,車中原來皆是火藥,一齊燒著。兀突骨見無草木,心尚不慌,令尋路而走。只見山上兩邊亂丟火把,火把到處,地中藥線皆著,就地飛起鐵炮。滿穀中火光亂舞,但逢藤甲,無有不著。將兀突骨並三萬藤甲軍,燒得互相擁抱,死於盤蛇穀中。孔明在山上往下看時,只見蠻兵被火燒的伸拳舒腿,大半被鐵炮打的頭臉粉碎,皆死於穀中,臭不可聞。孔明垂淚而歎曰:“吾雖有功於社稷,必損壽矣!”左右將士,無不感歎。
 
134
올돌골이 황망히 병사들에게 후퇴하라 명하는데, 후군에서 함성이 들려왔다. 보고하기를, 골짜기 속에도 벌써 마른 불쏘시개로 겹겹이 차단됐고, 수레에 실린 것도 원래 모두 화약이라 일제히 불이 붙었다고 했다. 올돌골이 보니 초목이 전혀 없어 마음속으로 당황하지 않고 길을 찾아 달아나라 명령했다. 그런데 산 위 양쪽 가에서 횃불을 마구 던지고 횃불이 떨어지는 곳마다 땅속의 점화선에 불이 붙어 곧 땅에서 철포(쇠 폭탄)가 터져 올랐다. 골짜기 가득히 불빛이 난무하니 등갑에 닿은 대로 불이 붙었다. 곧 올돌골과 3만 등갑군이 불에 타서 서로 껴안은 채 반사곡 안에서 죽었다. 공명이 산 위에서 내려와 살펴보니, 남만 병사들이 불에 타서 주먹과 다리를 펼친 채 죽었고 태반이 철포를 맞아 머리와 얼굴이 분쇄됐다. 모조리 골짜기 안에서 죽어서 그 악취를 견딜 수가 없었다. 공명이 눈물을 흘리며 탄식하기를,
 
135
“내가 비록 종묘사직에 공을 세웠지만 반드시 내 수명이 줄어들겠구나!”
 
136
하니, 좌우의 장졸들이 감탄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137
卻說孟獲在寨中,正望蠻兵回報。忽然千餘人笑拜於寨前,言說:“烏戈國兵與蜀兵大戰,將諸葛亮圍在盤蛇穀中了。特請大王前去接應。我等皆是本洞之人,不得已而降蜀;今知大王前到,特來助戰。”孟獲大喜,即引宗黨並所聚番人,連夜上馬;就令蠻兵引路。方到盤蛇穀時,只見火光甚起,臭氣難聞。獲知中計,急退兵時,左邊張嶷,右邊馬忠,兩路軍殺出。獲方欲抵敵,一聲喊起,蠻兵中大半皆是蜀兵,將蠻王宗黨並聚集的番人,盡皆擒了。孟獲匹馬殺出重圍,望山徑而走。
 
138
한편, 맹획은 영채 안에서 오랑캐 병사들이 돌아와 보고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갑자기 1천여 명이 영채 앞에서 웃으며 절하고 말하기를,
 
139
“오과국 병력이 촉병과 크게 싸워 제갈량을 반사곡에서 포위했습니다. 대왕께서 도우러 가시기를 특별히 청합니다. 저희는 모두 이곳 사람이지만 부득이하게 촉나라에 항복했습니다. 이제 대왕께서 오신 것을 알고 특별히 싸움을 도우러 왔습니다.”
 
140
했다. 맹획이 크게 기뻐하며 즉시 종족과 불러모은 변방인을 이끌고 밤새 말을 타고 달렸다. 오랑캐 병사에게 길을 안내하게 하여 반사곡에 이르니, 불빛이 치솟고 악취가 견디기 어려웠다. 맹획이 계략에 빠진 것을 알고, 급히 군사를 물리려는데, 왼쪽에서 장의, 오른쪽에서 마충, 두 갈래 군사들이 몰려나왔다. 맹획이 맞서려는데, 한바탕 함성이 일어나고 오랑캐 병사 가운데 태반이 촉나라 병사였다. 이들이 남만왕의 종족과 소집한 변방인들을 모조리 사로잡았다. 맹확이 필마로 촉병의 두꺼운 포위를 뚫고, 산 속 지름길 쪽으로 달아났다.
 
 
141
正走之間,見山凹裏一簇人馬,擁出一輛小車;車中端坐一人,綸巾羽扇,身衣道袍,乃孔明也。孔明大喝曰:“反賊孟獲!今番如何?”獲急回馬走。旁邊閃過一將,攔住去路,乃是馬岱。孟獲措手不及,被馬岱生擒活捉了。此時王平、張翼已引一軍趕到蠻寨中,將祝融夫人並一應老小皆活捉而來。孔明歸到寨中,升帳而坐,謂 衆將曰:“吾今此計,不得已而用之,大損陰德。我料敵人必算吾於林木多處埋伏,吾卻空設旌旗,實無兵馬,疑其心也。
 
142
막 달아나고 있는데, 산 속의 우묵 들어간 곳에서 한 무리 인마가 작은 수레 하나를 호위해 나왔다. 수레에 단정히 앉은 사람은 머리에 윤건을 쓰고 손에 깃털부채를 들고 몸에 도포를 입은 바로 공명이었다. 공명이 크게 꾸짖기를,”
 
143
반적 맹획아! 이번에는 어쩔 셈이냐?”
 
144
하니, 맹획이 급히 말머리를 돌려 달아났다. 그런데 옆에서 한 장수가 번쩍 나타나서, 갈 길을 가로막으니 바로 마대였다. 맹획이 미처 손을 쓰지 못하고, 마대에게 사로잡혔다. 이때 왕평과 장익이 벌써 한 무리 군사를 이끌고 남만 영채에 이르러, 축융부인과 남녀노소 모두를 사로잡아 왔다. 공명이 영채 안으로 돌아와 군막에 앉아서 장수들에게 이르기를,
 
145
“나의 이번의 계책은 부득이하게 쓴 것이지만, 나의 숨은 덕행을 크게 해쳤소. 나는 적들이 틀림없이 수풀이 우거진 곳에 아군이 매복할 것이라고 계산하리라 예상했소. 내가 오히려 깃발들만 꽂고, 실은 아무 병마도 배치하지 않은 것은 저들을 현혹시키기 위해서였소.
 
 
146
吾令魏文長連輸十五陣者,堅其心也。吾見盤蛇穀止一條路,兩壁廂皆是光石,並無樹木,下面都是沙土,因令馬岱將黑油櫃安排於穀中,車中油櫃內,皆是預先造下的火炮,名曰‘地雷’,一炮中藏九炮,三十步埋之,中用竹竿通節,以引藥線;才一發動,山損石裂。吾又令趙子龍預備草車,安排於穀中。又於山上准備大木亂石。卻令魏延賺兀突骨並藤甲軍入穀,放出魏延,即斷其路,隨後焚之。吾聞:‘利於水者必不利於火。’藤甲雖刀箭不能入,乃油浸之物,見火必著。蠻兵如此頑皮,非火攻安能取勝?使烏戈國之人不留種類者,是吾之大罪也!” 衆將拜伏曰:“丞相天機,鬼神莫測也!”
 
147
내가 위문장(위연)에게 열다섯 번을 잇달아 패전하라 명령한 것은, 그들의 마음을 굳히기 위해서였소. 내가 보니, 반사곡은 오로지 한 줄기 길만 있고 양쪽은 모두 반짝이는 암석인데다 수풀이 전혀 없고 아래쪽은 모두 모래흙이었소. 그래서 마대에게 명령하여, 검은 상자를 골짜기 안에 배치하고, 수레의 상자 안에 미리 만들어둔 폭탄을 잔뜩 채웠소. 이 폭탄은 이름하여 ‘지뢰'인데, 한 포탄 안에 작은 포탄 아홉 개를 넣은 것을, 3십 보마다 파묻고, 속이 빈 대나무 안에 점화선을 넣었소. 한번 터지면 산이 무너지고 돌이 깨지오. 나는 또한 조자룡에게 명하여, 미리 풀을 실은 수레를 준비해 골짜기 안에 놓아두게 하였소. 또한 산 위에 미리 큰 나무와 돌덩이들을 준비했소. 한편 위연에게 명하여 올돌골과 등갑군을 꾀어서 골짜기에 들게하여, 위연을 내보낸 후 즉시 그 길을 차단하고, 뒤를 따라서 불을 질렀소. 내가 듣기에, ‘물에 유리한 것은 반드시 불에 불리하다’라고 했소. 등갑은 비록 칼과 화살로 뚫을 수 없으나 기름에 적신 것이라 불붙기 마련이오. 오랑캐 병사들이 이렇게 단단한 갑옷을 입었으니 화공이 아니면 어떻게 승리하겠소? 그러나 오과국 사람들을 씨도 남기지 않고 멸한 것은 나의 큰 죄요!”
 
148
했다. 장수들이 절을 올려 엎드려 말하기를,
 
149
“승상의 하늘이 낸 기지는 귀신도 헤아리지 못하겠습니다!”
 
150
했다.
 
 
151
孔明令押過孟獲來。孟獲跪於帳下。孔明令去其縛,教且在別帳與酒食壓驚。孔明喚管酒食官至坐榻前,如此如此,分付而去。卻說孟獲與祝融夫人並孟優、帶來洞主、一切宗黨在別帳飲酒。忽一人入帳謂孟獲曰:“丞相面羞,不欲與公相見。特令我來放公回去,再招人馬來決勝負。公今可速去。”孟獲垂淚言曰:“七擒七縱,自古未嘗有也。吾雖化外之人,頗知禮義,直如此無羞恥乎?”遂同兄弟妻子宗黨人等,皆匍匐跪於帳下,肉袒謝罪曰:“丞相天威,南人不複反矣!”孔明曰:“公今服乎?”
 
152
공명이 맹획을 압송해 오도록 명했다. 맹획이 군막 아래에서 무릎을 꿇었다. 공명이 그의 포박을 풀어주라 명하고, 우선 다른 군막에 머물게 하고 술과 밥을 주어 놀란 마음을 가라앉히게 했다. 공명이 술과 밥을 담당하는 관리를 가까이 불러서, 무엇인가 분부를 내려서 보냈다. 한편, 맹획은 축융부인, 맹우, 대래동주 등 모든 종족과 함께 다른 군막에서 술을 마셨다. 갑자기 한 사람이 군막으로 들어와 맹획에게 말하기를,
 
153
“승상께서 부끄러워하시면서, 공을 만나려 하시지 않습니다. 특별히 저를 시켜서 공을 풀어서 돌려보내주고, 다시 인마를 불러모아 승부를 내자고 하셨습니다. 공은 이제 어서 떠나시오.”
 
154
했다. 맹획이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
 
155
“칠금칠종(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풀어줌)은 옛부터 아직까지 없었소. 내가 비록 왕의 교화를 받지 못한 오랑캐이나 자못 예의를 알거늘, 곧바로 이런데도 수치를 모르겠소?”
 
156
했다. 곧 형제, 처자, 종족 등과 함께, 모두 땅을 기어서 군막 아래에 무릎을 꿇고, 웃옷을 벗어 상체를 드러낸 채 사죄하기를,
 
157
“승상의 위엄이 하늘 같으니, 남쪽 사람들이 다시는 반역하지 않을 것입니다!”
 
158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159
“공이 지금 복종하겠다는 것이오?”
 
160
했다.
 
 
161
獲泣謝曰:“某子子孫孫皆感覆載生成之恩,安得不服!”孔明乃請孟獲上帳,設宴慶賀,就令永爲洞主。所奪之地,盡皆退還。孟獲宗黨及諸蠻兵,無不感戴,皆欣然跳躍而去。後人有詩贊孔明曰:“羽扇綸巾擁碧幢,七擒妙策制蠻王。至今溪洞傳威德,爲選高原立廟堂。”長史費禕入諫曰:“今丞相親提士卒,深入不毛,收服蠻方;目今蠻王既已歸服,何不置官吏,與孟獲一同守之?”
 
162
맹획이 눈물흘리며 사죄하기를,
 
163
“저의 자자손손 모두는 거듭 목숨을 살려주신 은혜에 감격하는데, 어찌 복종하지 않겠습니까!”
 
164
하니, 공명이 이에 맹획을 군막의 윗자리로 불러서 연회를 베풀어 축하하고, 언제까지나 남만의 군주로 있게 했다. 빼앗은 땅은 모두 돌려주었다. 맹획의 종족과 여러 남만 병사들이 감격해서 우러러 받들지 않는 이 없었고, 모두 기뻐하며 껑충껑충 뛰며 떠났다. 뒷사람이 시를 지어 공명을 찬양하기를,
 
165
“깃털부채를 들고 윤건을 쓰고 푸른 군막 아래에서, 일곱 번이나 묘책을 내어서 오랑캐 왕을 붙잡았네. 지금도 그 위엄과 은덕이 변방에 전해지니, 높은 땅을 골라 묘당을 세웠구나.”
 
166
했다. 장사(참모) 비위가 들어와 간언하기를,
 
167
“이제 승상께서 몸소 사졸들을 거느리고 불모의 땅 깊숙히 들어와 오랑캐 나라를 복속시켰습니다. 지금 남만왕이 귀복했는데, 어찌 관리를 두어서 맹획과 함께 지키게 하지 않으십니까?”
 
168
했다.
 
 
169
孔明曰:“如此有三不易:留外人則當留兵,兵無所食,一不易也;蠻人傷破,父兄死亡,留外人而不留兵,必成禍患,二不易也;蠻人累有廢殺之罪,自有嫌疑,留外人終不相信,三不易也。今吾不留人,不運糧,與相安於無事而已。” 衆人盡服。於是蠻方皆感孔明恩德,乃爲孔明立生祠,四時享祭,皆呼之爲“慈父”;各送珍珠金寶、丹漆藥材、耕牛戰馬,以資軍用,誓不再反。南方已定。卻說孔明犒軍已畢,班師回蜀,令魏延引本部兵爲前鋒。延引兵方至瀘水,忽然陰雲四合,水面上一陣狂風驟起,飛沙走石,軍不能進。延退兵回報孔明。孔明遂請孟獲問之。正是:塞外蠻人方帖服,水邊鬼卒又猖狂。
 
170
공명이 말하기를,
 
171
“이러한 경우, 쉽지 않은 것이 세 가지가 있소. 외지인을 남기려면 병사들도 남겨야겠지만 병사들이 먹을 것이 없음이 첫번째 쉽지 않음이오. 오랑캐들이 다치고 부모형제가 사망했는데, 외지인을 남기면서 병력을 주둔하지 않으면 반드시 재앙이 있을 것이니 두번째 쉽지 않음이오. 오랑캐들이 여러 차례 죽일 죄를 저질러서 스스로 혐의가 있는데, 외지인을 남기면 서로 믿지 못하니 세번째 쉽지 않음이오. 이제 내가 사람을 남겨두지 않고 군량을 운반하지 않는 것이 서로 화평하고 무사히 지내는 길일 따름이오.”
 
172
했다. 사람들이 모두 탄복했다. 이에 오랑캐 땅의 사람들이 모두 공명의 은덕에 감격하여, 공명을 위해 생사당을 세우고 네 철로 제사를 올리며 모두들 그를 자비로운 아버지라고 불렀다. 제각기 진주와 금은보화, 붉은 칠과 약재, 농사짓는 소와 전투용 말 등을 보내어 군용으로 쓰게 하고, 다시는 반역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남방이 이렇게 평정되었다. 한편, 공명이 군사들을 먹고 쉬게한 뒤, 군사를 거두어 촉나라로 돌아가며, 위연에게 명하여, 휘하 병력을 이끌고 선봉을 맡게 했다. 위연이 병력을 이끌고 노수 물가에 이르자, 갑자기 먹구름이 사방에서 몰려오고, 물 위에서 한바탕 미친 바람이 불어오니, 모래가 날고 돌이 굴러 군사들이 전진할 수가 없었다. 위연이 병력을 되돌려 공명에게 돌아가 알렸다. 공명이 곧 맹획을 불러 이 일을 물어보았다. 이야말로, 변경 너머 오랑캐들이 이제서야 굴복했는데, 물가의 귀신이 갑자기 또 미쳐서 날뛰는구나.
 
 
173
未知孟獲所言若何,且看下文分解。
 
174
맹획이 어떻게 말할지 모르겠구나. 다음 회를 보면 풀릴 것이오.
【원문】제90회 큰 짐승을 부려서 남만병을 여섯번째 깨뜨리고, 등갑군을 불태워 맹획을 일곱번째 사로잡다.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중국고전〕
▪ 분류 : 소설
▪ 최근 3개월 조회수 : 5511
- 전체 순위 : 3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 위 / 2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8) 날개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나관중(羅貫中) [저자]
 
  소설(小說)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동양문학 > 소설 카탈로그   목차 (총 : 120권)     이전 90권 다음 한글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4월 12일